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시대적 사랑법, 복음 도시 운동"

" 시대적 사랑법, 복음 도시 운동 포스트모던 사회에서 전도 방법 세 번째, 복음 도시화입니다. 도시화입니다. 요나는 큰 도시 니느웨로 가라는 부름을 계속해서 세 번 받는다는 점에 주목하십시오. 큰 도시로 가라고 합니다. 요나서 전체는 하나님께서 요나에게 말씀하는 방식으로 끝납니다. 이곳에는 120,000명의 사람들이 있는데 내가 이 큰 도시를 사랑하지 않아야 겠느냐는 겁니다. 어떤 면에서 하나님은 요나에게 그 도시로 오라고 말씀하시는데 그 이유는 그렇게 거대한 잃어버린 백성을 어떻게 사랑하지 않을 수 있겠느냐는 겁니다.  하나님은 거의 이렇게 말씀하시는 것 같습니다. “솔직하게 여기 120명의 잃어버린 사람들이 있고 여기 120,000명의 잃어버린 사람들이 있다면, 120명이 중요하지 않다는 것이 아니라 120,000명에 약간 더 비중을 두어야 하는 것 아닌가?” 하나님의 그렇게 말씀하시는 것 같습니다. 빌 크리스핀이라는 오랜 도시 사역 친구가 있는데요. 그는 훌륭한 신학적 추론을 하면서 제게 이런 말을 했습니다. 시골에는 사람보다 식물보다 더 많고 도시에는 식물보다 사람이 더 많은데 하나님은 식물보다 사람을 더 사랑하시기 때문에 그는 시골보다 도시를 더 사랑해야 한다는 거였습니다. 그러나 하나님께서 요나를 도시로 부르셨을 때 그분은 단순히 길 잃은 사람들이 더 많은 곳으로 가라고 한 것은 아니라고 확신합니다. 그분은 전략이라고 말하고 있었습니다.  제가 이 말을 잘 말해야 하는데요. 제가 이것을 강조할 때마다 사람들이 항상 제게 “맞아요, 도시로 가야 합니다”라고 말합니다 그러나 확실히 성경에는 여러 곳에서 그것이 좋지 않은 생각이라고 합니다. 롯과 아브라함의 예가 있죠. 롯은 도시로 가서 파멸되고 아브라함은 도시 밖에 있기 때문에 멋진 농촌 생활을 하고 거룩하게 지냈습니다. 어떤 사람들은 그게 바로 자기라고 합니다. 왜 도시로 가는지에 따라 다르겠죠. 롯은 소돔과 고모라의 일원이 되고 싶어했습니다. 롯이 거기에 간 것은 그가 그 도시의 일...

"시대적 사랑법, 복음 도시 운동"

"시대적 사랑법, 복음 도시 운동

포스트모던 사회에서 전도 방법

세 번째, 복음 도시화입니다. 도시화입니다. 요나는 큰 도시 니느웨로 가라는 부름을 계속해서 세 번 받는다는 점에 주목하십시오. 큰 도시로 가라고 합니다. 요나서 전체는 하나님께서 요나에게 말씀하는 방식으로 끝납니다. 이곳에는 120,000명의 사람들이 있는데 내가 이 큰 도시를 사랑하지 않아야 겠느냐는 겁니다. 어떤 면에서 하나님은 요나에게 그 도시로 오라고 말씀하시는데 그 이유는 그렇게 거대한 잃어버린 백성을 어떻게 사랑하지 않을 수 있겠느냐는 겁니다. 

하나님은 거의 이렇게 말씀하시는 것 같습니다. “솔직하게 여기 120명의 잃어버린 사람들이 있고 여기 120,000명의 잃어버린 사람들이 있다면, 120명이 중요하지 않다는 것이 아니라 120,000명에 약간 더 비중을 두어야 하는 것 아닌가?” 하나님의 그렇게 말씀하시는 것 같습니다. 빌 크리스핀이라는 오랜 도시 사역 친구가 있는데요. 그는 훌륭한 신학적 추론을 하면서 제게 이런 말을 했습니다. 시골에는 사람보다 식물보다 더 많고 도시에는 식물보다 사람이 더 많은데 하나님은 식물보다 사람을 더 사랑하시기 때문에 그는 시골보다 도시를 더 사랑해야 한다는 거였습니다. 그러나 하나님께서 요나를 도시로 부르셨을 때 그분은 단순히 길 잃은 사람들이 더 많은 곳으로 가라고 한 것은 아니라고 확신합니다. 그분은 전략이라고 말하고 있었습니다. 

제가 이 말을 잘 말해야 하는데요. 제가 이것을 강조할 때마다 사람들이 항상 제게 “맞아요, 도시로 가야 합니다”라고 말합니다 그러나 확실히 성경에는 여러 곳에서 그것이 좋지 않은 생각이라고 합니다. 롯과 아브라함의 예가 있죠. 롯은 도시로 가서 파멸되고 아브라함은 도시 밖에 있기 때문에 멋진 농촌 생활을 하고 거룩하게 지냈습니다. 어떤 사람들은 그게 바로 자기라고 합니다. 왜 도시로 가는지에 따라 다르겠죠. 롯은 소돔과 고모라의 일원이 되고 싶어했습니다. 롯이 거기에 간 것은 그가 그 도시의 일원이 되고 싶었기 때문이죠. 선교를 하고 싶어서가 아니었죠. 그러나 일반적으로 성경에서 우리가 그 이유를 보게 됩니다. 

유대인들이 포로됨을 통해 그랬던 것처럼 우리도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습니다. 하나님께서 그들을 바벨론에서 도시인이 되도록 부르셨기 때문입니다. 예레미야 29장에서 하나님은 유대인 유배자들에게 “그 큰 도시로 들어가 도시 전체의 평안을 구하고 도시 전체의 샬롬을 구하라 도시가 번영하면 너희도 번영하리라”고 합니다. 그들이 가고 싶었던 교외에 머물지 말라고 합니다. 그들은 작은 게토에 머물고 싶었지만 도시로 들어가서 그들의 일원이 되라고 합니다. 사도행전에 보면 바울도 도시로 갔다고 합니다. 고인이 된 하비 칸은 웨스트민스터 신학교의 위대한 도시 사역 파트너였는데요. 그는 서기 300년까지 그리스-로마 제국의 도시 인구의 약 50%가 그리스도인이었지만 시골에는 이교도들이 거주했다고 했습니다. 

사실 ‘이교도’라는 단어는 시골 또는 농부를 의미하는 그리스어 라틴어 유래했을 가능성이 큽니다. 그리스도인은 도시인이었고 다른 사람들은 모두 이교도였습니다. 하지만 만일 도시가 세속적이고 시골은 기독교적이라면, 문화는 어디로 가게 될까요? 세속적으로 되겠죠. 만일 도시가 기독교적이고 시골이 세속적이라면 문화는 어디로 가게 될까요? 기독교적으로 되겠죠. 왜냐하면 도시가 가는 대로 문화도 따라가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사람들이 있는 곳엔 어디든 그리스도인이 있어야 합니다. 사람들이 있는 곳엔 어디든 교회가 있어야 합니다. 

사실 복음주의 교회는 도시를 가장 적게 사랑하는 교회들입니다. 가톨릭 신자들, 정교회 신자들, 유대교 신자들, 이슬람 신자들은 복음주의자들보다 모두 도시에서 훨씬 더 잘 사역합니다. 왜 복음주의자들은 도시를 좋아하지 않을까요? 저는 어쩔 수 없지만 좀 이런 생각이 듭니다. 그건 우리가 우리와 비슷하지 않은 사람들과 어울리는 걸 좋아하지 않기 때문이죠. 

백인이 아닌 그리스도인들이 종종 도시를 벗어나기도 한다고 하는데요. 그들 말로 그 이유는 한번 나가면 거기에 갇히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그러나 도시는 전략적인 장소이며 문화 엘리트가 있는 곳이고 가난한 사람들이 있는 곳이며 이민자가 와서 잠시 머물렀다가 전국의 다른 지역으로 이동하는 곳이죠 학생과 젊은 전문직 종사자들이 이곳에 와서 결혼하고 나중에 다른 지역으로 이사 나가는 곳입니다. 그래서 복음 도시화가 매우 중요합니다. 복음을 도시화하지 않으면 세계 주요 도시 공동체에 정말 중요한 복음 공동체가 없다면 우리는 그리스도를 위해 세상에 다가가지 못할 것입니다. 우리는 전도할 수 있는 방법이 없습니다. 우리가 복음 신학화, 복음 깨달음, 복음 도시화를 하지 않으면 말입니다. "



https://www.gospelandcity.org/news/articleView.html?idxno=31915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