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사람을 만드시고 그 존재와 운명을 아시는 하나님만이 대답하실 수 있는 것이었다."

"사람을 만드시고 그 존재와 운명을 아시는  하나님만이 대답하실 수 있는 것이었다."       부활이 없다고 주장하는 사두개파 사람들이 예수님께 와서 물었습니다 : “선생님 , 모세의 법에는 형이 자식 없이 아내를 두고 죽으면 동생이 형수와 결혼하여 형의 대를 이어야 한다고 했습니다 .   어느 곳에 일곱 형제가 있었는데 맏이 결혼해 살다가 자식 없이 죽었습니다 .   그리고 둘째가 형수와 살다가 자식 없이 죽고 세째도 그랬으며 일곱이 모두 그렇게 자식 없이 죽고 맨 나중에 그 여자도 죽었습니다 .   이렇게 일곱 형제가 모두 한 여자와 살았으니 부활 때 그 여자는 누구의 아내가 되겠습니까 ? ”   그래서 예수님은 그들에게 이렇게 대답하셨습니다 : “너희가 성경과 하나님의 능력을 모르기 때문에 잘못 생각하고 있는 것이 아니냐 ?   사람이 죽었다가 다시 살아날 때는 장가도 시집도 안 가며 하늘의 천사들과 같이 된다 .   너희는 죽은 사람들의 부활에 대하여 모세의 떨기나무 기사에서 하나님이 모세에게 ' 나는 아브라함의 하나님 , 이삭의 하나님 , 야곱의 하나님이다 .' 라고 하신 말씀을 읽어 보지 못했느냐 ?   하나님은 죽은 사람들의 하나님이 아니라 살아 있는 사람들의 하나님이시다 .   너희는 크게 잘못 생각하고 있다” ( 마가복음 12:18-27, 현대인의 성경 ; 참고 : 마태복음 22:23-28; 누가복음 20:27-33) 는 말씀 중 오늘은 사두개파 사람들 ( 사두개인들 ) 이 예수님께 “선생님 , 모세의 법에는 형이 자식 없이 아내를 두고 죽으면 동생이 형수와 결혼하여 형의 대를...

짧은 말씀 묵상 (2023년 8월 3일)

                          짧은 말씀 묵상

 

 

 

 

욥은 자기가 받는 재앙이 탄식보다 무거움으로 인하여 반항하는 마음과 근심이 있었습니다.  그 와중에 그는 하나님 앞에 나아가 자기의 문제를 내어놓고 변명하길 원했습니다.  또한 그는 하나님께서 자기에게 대답하시는 말씀을 듣고 그 말씀을 깨닫길 원했습니다.  욥은 정직한 자가 하나님 앞에 자기 문제를 내어놓고 호소하면 하나님께서 자기의 말을 들어주시사 자기가 영원히 구제될 것을 믿었습니다(욥기 23:2-7, 현대인의 성경).  우리도 욥을 본받아 재앙이 탄식보다 무거울 때 하나님 앞에 나아가 우리의 문제를 내어놓고 호소하고, 우리의 말을 들어주시는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하시는 말씀을 듣고 깨달아 그 말씀을 신실하게 성취하시는 하나님을 믿어야 합니다.

 

재앙이 탄식보다 무거울 때 우리는 하나님을 간절히 찾지만(갈망하지만) 하나님을 만날 수 없음으로 인하여 충분히 낙망할 수 있습니다(욥기 23:2-3, 8-9).  그 때 우리가 잊지말아야 할 것은 우리가 왜 이러한 재앙을 혹독하게 겪고 있는지는 모르겠지만 그러나 하나님은 내가 가는 길을 다 알고 계신다라는 진리입니다(10절 상반절).

 

탄식보다 더 무거운 혹독한 재앙이 왜 우리에게 임했는지 모르겠지만(욥기 23:2) 우리가 명심해야 할 진리는 그가(하나님께서) 나를 단련하신 후에는 내가 순금 같이 되어 나오리라는 말씀입니다(10절 하반절).

 

우리는 욥처럼 어떠한 혹독하고 무거운 재앙이 우리에게 임했다 할지라도 주님의 걸음을 바로 따르며, 주님의 길을 지켜 치우치지 않고, 주님의 명령을 어기지 않고, 주님의 입의 말씀을 매일 먹는 음식보다 더 소중히 여겨야 합니다(참고: 욥기 23:2, 11-12).

 

하나님은 우리에게 작정하신 일을 반드시 이루실 것입니다.  심지어 하나님은 우리에게 임한 혹독하고 무거운 재앙도 사용하시사 우리에게 작정하신 일을 반드시 이루실 것입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하나님 앞에서 떨며 이 모든 것을 생각하고 하나님을 두려워해야 합니다(참고: 욥기 23:2, 14-15, 현대인의 성경).

 

하나님은 인생의 어두움으로 인해 우리의 마음을 약하게 하시며 우리를 두렵게 하십니다(참고: 욥기 23:16-17).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