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라벨이 예레미야인 게시물 표시

소중한 아내/엄마인데 ...

 소중한 아내/엄마인데 ... 제주도에 사는 사랑하는 어느 형제가 저의 부탁을 들어줘서 딜런과 제시카 결혼식 때 찍은 사진을 보냈더니 밑에 사진을 만들어 줬답니다 ㅎㅎ 그런데 희안한 것은 그 형제의 말로는 AI가 제 아내를 인식을 못한다고 하네요 ㅎㅎㅎ Mystery네요 ㅎㅎㅎ 왜 original 사진은 6명인데 제 아내를 인식을 못하는지 좀 이상하지만 제가 그 형제에게 어쩌면 하나님의 뜻이 있는 것 같다라고 말하면서 여기에 좀 글을 써서 나누겠다고 말했답니다 ㅎㅎ 제가 좀 나누고자 하는 것은 뭐냐면 제 아내 또는 세 자녀들의 엄마인 김(오)현영(Jane)이는 우리 가정에 없어서는 안되는 사람인데도 불구하고 AI가 인식을 못하듯이(그런데 AI이네요 ㅋㅋㅋ) 어쩌면 남편이 저나 세 자녀들이(이젠 며느리까지? ㅎㅎ) 아내/엄마의 소중함을 인식하지 못하지 않나 생각합니다. 좀(?) 슬픈 현실인 것 같아요, 아내/엄마라는 존재가요. 그리도 희생적으로 가정을 위해서 고생을 많이 하는데도 불구하고 남편이나 자녀들이 아내/엄마의 희생적인 사랑을 머리로는 좀 알면서도 실제로 삶 속에서는 인식(?)을(여기선 "인식"이란 단어보다 "인정"이란 단어가 적합하겠네요) 잘 못하고(안하고? ㅠ) 살고 있는 것 같아서요. 제가 밑에 사진을 저희 여섯 식구 카톡방에 나누고 싶어도 제 아내가 없어서 나누기가 좀 곤란하네요. 혹시나 아내가 섭섭해 하지 않을까 생각이 되어서요 ㅠ [근디 어떻게 AI 사진에 제 모습은 완전 할아버지네요 ㅎㅎㅎ] 다른 지체가 이렇게 만들어 줬습니다. 하하. 감사. 

"괴로운 행복"

"괴로운 행복" 예레미야 선지자가 그가 불러 준 모든 말을 책에 기록한 바룩에게 “ 이스라엘의 하나님 여호와께서 이렇게 말씀하신다고 일러 주었 ” 습니다 : “ 바룩아 , 너는 ‘ 아 , 괴롭다 .   여호와께서 나의 고통에 슬픔까지 더하셨으니 내가 탄식하다가 지쳐 평안을 얻지 못하였구나 .’ 하였다 ”( 예레미야 45:1-3, 현대인의 성경 ).   저는 이 말씀을 묵상할 때 사도 바울의 탄식과 절규인 로마서 7 장 24 절 말씀이 생각났습니다 : “ 오호라 나는 곤고한 사람이로다 이 사망의 몸에서 누가 나를 건져내랴 ”[( 현대인의 성경 ) “ 아아 , 나는 얼마나 비참한 사람인가요 ! 누가 이 죽음의 몸에서 나를 구해 내겠습니까 ?”].   그리고 또 생각난 말씀은 작년 12 월 14 일에 갑자기 사고로 이 세상을 떠난 친구 익순이의 어머님께서 저에게 카카오톡으로 보내신 메시지 중에 “ 괴로운 행복 ” 입니다 .   그리고 방금 생각난 것은 복음성가 “ 괴로울 때 주님의 얼굴 보라 ” 입니다 : (1 절 ) 괴로울 때 주님의 얼굴보라 평화의 주님 바라보아라 세상에서 짓밟힌 친구들아 위로의 주님 바라보아라 , (2 절 ) 힘이 없고 내 맘이 연약할 때 능력의 주님 바라보아라 주의 이름 부르는 모든 자를 힘주시고 늘 지켜주시리 , ( 후렴 ) 눈을 들어 주를 보라 네 모든 염려 주께 맡겨라 슬플 때에 주 예수 얼굴보라 사랑의 주님 안식 주리라 .

언행일치가 안 되는 제 자신의 모습은 결국 제가 교만해서 그렇다는 책망입니다.

언행일치가   안   되는   제   자신의   모습은   결국   제가   교만해서   그렇다는   책망입니다 . 하나님께서는 예레미야 선지자를 통해 유다 백성들에게 이집트로 가지 말라고 말씀하셨을 때 이사랴와 요하난과 그 밖의 모든 교만한 사람들은 하나님께서 예레미야를 보내 그들이 이집트에 가서 살면 안 된다는 것을 말하라고 하지 않았다고 예레미야에게 말했습니다 .   그러면서 그들은 바룩이 예레미야를 선동해서 자신들을 대적하게 한다고 말했습니다 .   그런데 그들은 하나님의 명령에 불순종하여 이집트로 가면서 바룩도 같이 갔습니다 ( 예레미야 43:1-7, 현대인의 성경 ).   저는 이 말씀을 묵상할 때 교만한 사람들의 말 ( 바룩이 예레미야를 선동해서 자신들을 대적하게 한다고 말했는데 ) 과 행동 ( 바룩도 거느리고 이집트로 함께 갔음 ) 이 다르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   언행일치가 안 되는 제 자신의 모습은 결국 제가 교만해서 그렇다는 책망입니다 .

"너희가 여호와께 범죄하고 그에게 순종하지 않았기 때문에 이 모든 일이 너희에게 일어난 것이다"(예레미야 40:3, 현대인의 성경).

"너희가 여호와께 범죄하고 그에게 순종하지 않았기 때문에 이 모든 일이 너희에게 일어난 것이다"(예레미야 40:3, 현대인의 성경). 유다와 예루살렘 사람들과 함께 포로가 되어 쇠사슬에 묶인 채 바빌로니아로 끌려가고 있었던 예레미야 선지자는 바빌로니아 사령관 느부사라단이 라마에서 그를 풀어준 후에 말씀이 하나님께로부터 예레미야에게 임했습니다 .   사령관 느부사라단이 예레미야를 불러다가 이렇게 말했습니다 : “' 너의 하나님 여호와께서 이 땅에 재앙을 선언하시더니 이제 그가 말씀하신 대로 행하셨다 .   너희가 여호와께 범죄하고 그에게 순종하지 않았기 때문에 이 모든 일이 너희에게 일어난 것이다 ”( 예레미야 40:1-3, 현대인의 성경 ).   저는 이 말씀을 묵상할 때 제일 먼저 생각난 것은 , 지금 제가 읽고 있는 로사리아 버터필드가 쓴 “ 복음과 집 열쇠 ” 란 책에 써 있는 “ 예수님에 대한 순종 (( 이것은 자아에 대한 죽음이요 , 육신의 정욕에도 불구하고 그분이 원하시는 일을 하는 것이다 ) 은 자유를 가져다 준다 " 라는 글입니다 .   참 선지자 예레미야는 주님께 순종하고 있었기에 하나님께서 그에게 자유를 주셨다고 생각합니다 .   둘째로 든 생각은 , 예레미야 선지자가 자유를 누리게 되었을 때 하나님께로부터 말씀이 그에게 임했다는 것을 생각할 때 하나님의 말씀은 그가 감옥에 갇혀 있든지 ( 참고 : 37:15, 21) 또는 자유를 누리고 있든지 (4 절 ; 40:1) 임했다는 것입니다 .   하나님의 말씀은 하나님의 말씀에 순종하는 하나님의 종에게 하나님의 때에 하나님의 방법으로 임한다고 생각합니다 .   셋째로 든 생각은 , 하나님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