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눔 사역 일기 ( Sharing Ministry Journal ) 2025. 10. 23. 목요일. 오늘 YMCA 에서 운동을 하면서 두 지체하고 각각 따로 다른 시간에 카카오톡으로 대화를 나눴습니다. 그 나눔 속에서 저는 "나눔 사역 일기"(Sharing Ministry Journal)를 쓰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어서 이렇게 밤 11시가 좀 넘어서 잠들기 전에 오늘 하루를 뒤돌아보면서 나눔 사역에 관하여 배우게 된 점들이나 느낀 점들이나 생각하게된 점들을 좀 두리뭉실하게 기록해보고자 합니다. 저의 나눔 사역 일기가 여러분들에게도 조금이나마 유익되길 바랍니다. 1. Sharing is Caring ! 오늘 대화 속에서 저는 제 막내 딸 예은이가 초등학교 다닐 때 저에게 한 말인 "Sharing is Caring"란 말이 생각났습니다. 아마도 그 이유는 어느 한 지체와 주님 안에서 진솔한 대화를 나눴을 때 주님의 사랑으로 서로 care하기에 그 caring heart로 각자 마음의 이야기를 나눴기 때문인 것 같습니다. 2. 나눔은 관심 속에서 몇 마디 인사로 시작되었습니다. 여러번 경험케하셨는데 오늘도 저는 운동을 하면서 어느 지체가 생각나서 카카오톡으로 몇 마디 글을 적어 보냈는데 그 말로 말미암아 주님 안에서 진솔한 대화를 나누게 되었습니다. 다른 지체도 저는 몇 마디 글을 적어서 카카오톡으로 보낸 것뿐인데 귀한 마음의 대화를 나누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저는 그 때 그 때 생각나게 하시는 사람이 있고 관심이 생기면 서슴치 않고 마음으로 하고 싶은 말(그 말이 인사이든 다른 말이든)을 계속해서 해야겠다는 다짐입니다. 3. 나눔의 타이밍이 기가막힙니다. 하하. 오늘도 그 두 지제들 하고 각각 따로 대화를 하면서 공통적으로 그들이 저에게 한 말을 생각해보면 각자 무엇을 고민하고 있었을 때 제가 카톡으로 말을 걸었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그들은 제가 말을 걸었음으로 말미암아...
https://www.gospelandcity.org/news/articleView.html?idxno=31687 "타투와 세례: 내 몸에 새길까, 내 삶에 새길까? © koyu/Stock 자기표현의 시대, 그 가장 강력한 통로 중 하나는 ‘타투’가 아닐까? 자신에게 잊지 못할 중요했던 사건을 몸에 기록하고, 잊지 말아야 할 메시지를 새기며, ‘고유한 나다움의 미학을 몸에 그려 넣는 일’ 말이다. 전통 교회와 신학적 가르침은 단순하다. (1) 레위기 19:28의 “너희 살에 상처를 내지 말며 몸에 무늬를 새기지 말라”는 말씀과, 몸을 성령의 전(고전 6:19-20)이라 여겨 훼손하지 말라는 가르침을 이유로 금지하거나, (2) 존 파이퍼 목사와 같은 복음주의 신학자들 중 일부는 타투의 의도나 동기가 자기과시나 속된 욕망과 연결되어 있지는 않는지 점검할 필요가 있다고 온화한 제안을 한다. 오늘날 한국 교회 안에서 타투는 보통의 문화가 되었다. 그리 멀지 않은 과거만 해도 타투가 범죄 조직이나 비행 청소년의 전유물처럼 여겨졌지만, 이제는 목사들도 타투를 하고 페이스북에 인증샷을 올리고 있으며, 대중의 뜨거운 사랑을 받는 찬양그룹 멤버들은 타투가 없으면 (그 음악이 재즈이든, 힙합이든, 락이든, EDM이든) 음악의 스피릿을 온전히 나타낼 수 없다고 믿는 것 같다. 그리고 이 변화의 속도감은 굉장하다. 7년 전 서울의 한 신학교에서 ‘예배음악’을 강의할 당시 ‘유명한 찬양 팀의 타투 여부’는 매우 흥미로운 토론 주제였지만, 작년에 한국을 대표하는 교회음악과 학생들과의 수업에서는 (그들은 이미 타투를 하고 있었기 때문에) 토론이 아예 불가능했다. 타투를 한 신앙인을 비난하거나 판단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타투는 예술적으로 자기 정체성을 영구히 표현하는 행위이며, 극심한 고통을 극복한 자신만의 위대한 흔적이고, 숭고한 사랑과 신념을 기념하는 수단이 되기도 한다. 그리스도인은 대체로 성경문구나 십자가를 새기는 경우가 많고, 타투가 일상인 타문화권 젊은 세대에게 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