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라벨이 보아스인 게시물 표시

소중한 아내/엄마인데 ...

 소중한 아내/엄마인데 ... 제주도에 사는 사랑하는 어느 형제가 저의 부탁을 들어줘서 딜런과 제시카 결혼식 때 찍은 사진을 보냈더니 밑에 사진을 만들어 줬답니다 ㅎㅎ 그런데 희안한 것은 그 형제의 말로는 AI가 제 아내를 인식을 못한다고 하네요 ㅎㅎㅎ Mystery네요 ㅎㅎㅎ 왜 original 사진은 6명인데 제 아내를 인식을 못하는지 좀 이상하지만 제가 그 형제에게 어쩌면 하나님의 뜻이 있는 것 같다라고 말하면서 여기에 좀 글을 써서 나누겠다고 말했답니다 ㅎㅎ 제가 좀 나누고자 하는 것은 뭐냐면 제 아내 또는 세 자녀들의 엄마인 김(오)현영(Jane)이는 우리 가정에 없어서는 안되는 사람인데도 불구하고 AI가 인식을 못하듯이(그런데 AI이네요 ㅋㅋㅋ) 어쩌면 남편이 저나 세 자녀들이(이젠 며느리까지? ㅎㅎ) 아내/엄마의 소중함을 인식하지 못하지 않나 생각합니다. 좀(?) 슬픈 현실인 것 같아요, 아내/엄마라는 존재가요. 그리도 희생적으로 가정을 위해서 고생을 많이 하는데도 불구하고 남편이나 자녀들이 아내/엄마의 희생적인 사랑을 머리로는 좀 알면서도 실제로 삶 속에서는 인식(?)을(여기선 "인식"이란 단어보다 "인정"이란 단어가 적합하겠네요) 잘 못하고(안하고? ㅠ) 살고 있는 것 같아서요. 제가 밑에 사진을 저희 여섯 식구 카톡방에 나누고 싶어도 제 아내가 없어서 나누기가 좀 곤란하네요. 혹시나 아내가 섭섭해 하지 않을까 생각이 되어서요 ㅠ [근디 어떻게 AI 사진에 제 모습은 완전 할아버지네요 ㅎㅎㅎ] 다른 지체가 이렇게 만들어 줬습니다. 하하. 감사. 

결코 "우연히" 아닙니다!

결코 "우연히" 아닙니다!   “ 그 수넴 여자 ” 는 “ 기근이 끝난 후에 ” “ 이스라엘로 돌아와 자기 집과 땅을 되찾기 위해 왕에게 호소하러 갔 ” 습니다 .   그런데 “ 바로 그때 ” (1) “ 왕은 엘리사의 사환 게하시와 이야기를 하고 있었 ” 고 , (2) “ 왕은 엘리사가 행한 기적에 대해서 알고 싶어 ” 했고 , (3) 그래서 게하시는 엘리사가 “ 그 수넴 여자 ” 의 “ 죽은 아이를 살렸던 일을 왕에게 말해 주었 ” 습니다 .   (4) “ 바로 이때 ” “ 그 아이의 어머니 ” 인 “ 그 수넴 여자 ” 가 “ 들어와서 자기 집과 땅을 되찾게 해 달라고 왕에게 호소 ” 한 것입니다 .   (5) “ 그러자 게하시는 ‘ 왕이시여 , 이 사람이 바로 그 여자입니다 .   그리고 이 아이는 엘리사가 그때 살려 낸 바로 그 여자의 아들입니다 .’ 하고 외쳤 ” 습니다 .   (6) “ 그래서 왕은 그 여자에게 물어보고 그것이 사실임을 확인한 다음 관리 한 사람을 불러 그 여자의 모든 소유를 돌려주고 그녀가 떠나고 없는 7 년 동안에 그녀의 토지에서 생산된 모든 농산물을 계산해 주라고 지시 ” 했습니다 ( 열왕기하 8:1-6, 현대인의 성경 ).   저는 이 말씀을 묵상할 때 “ 그 수넴 여자 ” 의 입장에서는 충분히 이 모든 일이 우연히 일어났다고도 생각할 수 있었을 것입니다 .   어떻게 그녀가 왕에게 호소하러 갔었을 바로 그 때 왕은 엘리사 선지자가 행한 기적에 대해서 알고 싶어했었을까요 ?   그리고 분명히 엘리사 선지자가 행한 기적들이 많았을 텐데 왜 하필이면 엘리사의 사환인 게하시는 엘리사 선지자가 그 수넴 여자의 죽은 아들을 살린 기적을 왕에게 말해줬을까요 ?   놀랍지 않습니까 ?   이것이 모두 다 우연히 일어난 것일까요 ?   룻이란 이방 여인도 “ 우연히 ” 자기 시아버지인 엘리멜렉의 친족 보아스의 밭에서 이삭을 줍고 ...

가정을 돌볼 책임을 다하십시다.

가정을 돌볼 책임을 다하십시다.  보아스는 룻에게 한 가지 문제가 무엇인지와 하나님의 이름으로 그녀에게 맹세를 했습니다 .   그 한 가지 문제란 보아스 자신이 룻을 돌볼 책임이 있는 가까운 친척인 것만은 사실이지만 그보다 룻에게 더 가까운 친척이 있다는 것이었습니다 .   그러나 그가 룻과 결혼하겠다고 하면 다행이지만 만일 그가 거절하면 보아스는 자기가 대신 그 책임을 다할 것을 살아 계신 하나님의 이름으로 맹세했습니다 .   그러면서 보아스는 룻에게 " 그대는 조금도 염려하지 말 " 라고 말했습니다 ( 사사기 3:12-13, 현대인의 성경 ).   이 말씀을 묵상할 때 가정을 돌볼 책임을 다해야 한다는 것을 다시금 도전 받습니다 .   비록 그 책임을 다함에 있어서 어떠한 문제가 있을지라도 하나님과 식구들 앞에서 헌신하여 묵묵히 신실하게 감당하길 기원합니다 .

현숙한 여인과 결혼해야 합니다.

현숙한 여인과 결혼해야 합니다.   보아스는 남편과 사별하여 과부가 된 룻이 시어머니를 받들어 섬기는 것을 볼 때 그녀의 정성이 처음보다 나중이 더한 것을 알고 있었습니다 .   즉 , 보아스는 룻이 현숙한 여인이라는 것을 알고 있었습니다 ( 룻기 3:10-11, 현대인의 성경 ).   그래서 결국 보아스는 룻과 결혼합니다 (4:13, 현대인의 성경 ).   인간적으로 보면 보아스에 입장에서 룻과 결혼하는 것은 아니다 라고 생각할 수 있을 것입니다 .   그 이유는 룻은 한번 결혼했다고 남편과 사별한 과부였을 뿐만 아니라 또한 유대인이 아닌 모압 ( 이방 ) 여인이었습니다 .   그리고 그녀의 시어머니인 나오미는 재산을 다 잃고 빈손이 된 여인이었습니다 .   그럼에도 불구하고 보아스는 룻과 결혼을 했습니다 .   그 이유는 그는 그녀가 현숙한 여인인 줄 알고 있었기 때문입니다 .

아름답고 본이되는 시어머니-며느리 관계

 아름답고 본이되는 시어머니-며느리 관계 과부 시어머니인 나오미는 과부 며느리인 룻이 재혼하여 다시 행복한 가정을 이루고 살기를 원하여 그녀에게 남편을 구해주고자 룻에게 목욕을 한 다음 몸에 향수를 바르고 제일 좋은 옷으로 차려 입고 타작 마당으로 내려가서 그녀에게 친절을 베푼 보아스가 잠이 들면 그의 발치로 가서 이불을 들고 거기 누우라고 말했습니다 .   " 그러자 룻은 ' 어머니께서 말씀하신 대로 다 하겠습니다 ' 하고 대답 " 했습니다 .   그리고 룻은 그 날 밤에 타작 마당으로 내려가서 시어머니가 지시한 대로 했습니다 ( 룻기 3:1-6, 현대인의 성경 ).   이 말씀을 묵상할 때 (1) 시어머니는 며느리의 행복을 생각해야 하고 (2) 며느리는 자기의 행복을 생각하는 시어머니의 말씀하신 대로 다 행할 때에 (3) 고부갈등이란 있을 수가 없고 오히려 아름답고 본이 되는 시어머니 - 며느리 관계로 견고히 세워진다고 생각합니다 .

하나님의 놀라운 풍성한 은혜가 아닐 수 없습니다!

하나님의 놀라운 풍성한 은혜가 아닐 수 없습니다 !   주인 보아스의 하녀 중의 하나와도 같지 못한 이삭을 줍는 일꾼 룻은 보아스가 불러 함께 식사하자는 말을 듣고 일꾼들과 함께 앉아 보아스가 주는 음식을 실컷 먹었습니다 ( 룻기 2:14, 현대인의 성경 ).   벌레만도 못한 죄인이 하나님의 전적인 은혜로 예수 그리스도를 믿어 의롭다 하심을 받아 장차 천국에 들어가서 어린 양의 혼인 잔치에 참여하여 주님과 함께 하나님께서 주시는 영의 양식을 실컷 먹게 되었습니다 .    하나님의 놀라운 풍성한 은혜가 아닐 수 없습니다 !

위험을 무릅쓰고 ...

위험을 무릅쓰고 ...  모압 땅에서 온 룻이 보아스에 밭에서 일꾼들을 따라다니면서 떨어진 이삭을 주었던 것은 그리 쉬운 일만은 아니었다고 생각합니다 .   그 이유는 젊은 남자 일꾼들이 롯을 건드릴 수도 있었을 것이기 때문입니다 .   그것을 어떻게 알 수 있는가 하면 보아스는 룻에게 " 내가 젊은 남자들에게 그대를 건드리지 말라고 단단히 타일러 놓았네 " 라고 말한 내용을 보면 좀 짐작할 수가 있습니다 ( 룻기 2:7, 9, 현대인의 성경 ).   이러한 위험도 무릅쓰고 룻은 늙은 시어머니를 봉양하고자 이삭을 줍는 일을 한 것입니다 .   이렇게 시어머니를 사랑하는 며느리의   모습을 본 받을 필요가 있습니다 .

친절한 사람을 만나게 하시사 일하게 하시는 하나님

친절한 사람을 만나게 하시사 일하게 하시는 하나님 시어머니 나오미에게 " 제가 밭에 가서 이삭을 줍게 해 주세요 .   혹시 친절한 사람이라도 만나면 제가 그를 따라다니며 이삭을 줍겠습니다 " 라고 말했을 때 룻은 이삭을 주을 수 있는 밭 ( 일할 수 있는 곳 ) 이 정해졌던 것이 아니었습니다 .   그저 시어머니 나오미가 " 내 딸아 , 가거라 " 하고 말씀을 하셔서 룻은 밭으로 나아갔는데 공교롭게도 그 곳은 시아버지 엘리멜렉의 친척 보아스의 밭이었고 또한 보아스의 일꾼들을 감독하는 사람이 모압 땅에서 나오미와 함께 온 룻이 자기에게 일꾼들을 따라다니면서 떨어진 이삭을 줍게 해 달라고 부탁한 것을 들어줘서 룻이 " 아침부터 지금까지 계속 이삭을 " 줍는 일을 할 수 있었던 것입니다 ( 룻기 2:1-7, 현대인의 성경 ).

섬세하게 우리를 인도하시사 주님 안에서 귀한 만남을 주시는 하나님

섬세하게 우리를 인도하시사 주님 안에서 귀한 만남을 주시는 하나님  룻이 " 우연히 " 자기 시아버지인 엘리멜렉의 친족 보아스의 밭에서 이삭을 줍고 있었는데 " 그때 마침 " 보아스가 베들레헴에서 막 도착하였고 또한 그는 일꾼들 중에 룻을 주목하였습니다 .   그래서 그는 일꾼들을 감독하는 사람에게 " 저 젊은 여자가 누구냐 ?" 하고 룻에 대해서 물었습니다 ( 룻기 2:3-5, 현대인의 성경 ).   저는 이 말씀을 묵상할 때 주권자 하나님께서는 룻과 보아스를 인도하시사 서로 만나게 하시되 하나님의 때 ( 타이밍 ) 에 하나님의 방법으로 만나게 하셨고 또한 많고 많은 일꾼들 중에 보아스로 하여금 " 나오미와 함께 모압 땅에서 온 "(6 절 , 현대인의 성경 ) 한 " 이방 여자 "(10 절 , 현대인의 성경 ) 룻에게 관심을 갖고 주목케 하시사 대화하게 만드셨다고 생각합니다 .   이렇게 하나님께서는 하나님의 주권적인 선하신 뜻을 이루심에 있어서 섬세하게 우리를 인도하시사 주님 안에서 귀한 만남을 주신다고 생각합니다 .

무엇을 보고 책임을?

무엇을 보고 책임을? 기업 무를 자 보아스는  " 현숙한 여자 " 인 룻을 보고  " 기업 무를 자의 책임 " 을  그녀에게 이행하겠다고 말했지만 ( 룻 3:11, 13) " 기업 무를 자로서 " 보아스보다  " 더 가까운 사람 " 은 (12 절 )  그의 " 형제 엘리멜렉의 소유지 " 인 (3 절 ) " 밭 " 을 보고 (5 절 ) " 내가 무르리라 " 고 말했다가 (4 절 ) " 죽은 자의 아내 모압 여인 룻에게서 사서  그 죽은 자의 기업을 그의 이름으로 세워야 " 한다고  하니까 (5 절 ) 자기 기업에 " 손해가 있을까 하여 "  자기 자신을 위하여 " 무르지 못하 " 겠다고 말했습니다 (6 절 ).

은혜를 베풀었습니다.

은혜를 베풀었습니다. 누군가에게 은혜를 입기를 원했던 룻 ( 룻 2:2),  결국에 가서는 보아스에게 은혜를 입기를 원했습니다 (13 절 ).   보아스는 룻으로 하여금  곡식 베는 자 곁에 앉아 떡을 먹게 했으며 ,  볶은 곡식을 그녀에게 주므로  롯이 배불리 먹었습니다 (14 절 ).   또한 보아스는 룻이 이삭을 주우러 일어났을 때  자기 소년들에게 그녀를 곡신 단 사이에서 줍게하고  책망하지 말라고 명령했습니다 (15 절 ).   보아스는 룻을 위하여  곡식 다발에서 조금씩 뽑아 버려서  그녀로 하여금 줍게하고 꾸짖지 말라고 명령했습니다 (16 절 ).   이렇게 보아스는 자기에게 은혜를 입기 원하는  룻에게 은혜를 베풀기를 그치지 않았습니다 (20 절 ).

나는 죄인인데 ...

 나는 죄인인데 ... 누구에겐가 은혜를 입길 원했던 모압 여인 룻은 ( 룻 2:2)  시아버지 엘리멜렉의 유력한 친족인 보아스 (1 절 ) 에게 은혜를 입으므로 (5-9 절 )  엎드려 얼굴을 땅에 대고 절하며  보아스에게 이렇게 말했습니다 : " 나는 이방 여인이거늘  당신이 어찌하여 내게 은혜를 베푸시며 나를 돌보시나이까 "(2:10). 나 같은 죄인에게  하나님께서는 어떻게 이렇게도 큰 은혜를 베풀어주시며  나 같은 자를 돌보시는지 잘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

옳바른 가치관을 가진 현숙한 부모는 ...

옳바른 가치관을 가진 현숙한 부모는 ...    현숙한 부모는 옳바른 가치관을 가지고 있기에 사랑하는 자녀를 위해 진주보다 더 값진 현숙한 배우자를 위해 기도할 것입니다 : 조금 전 수요기도회 때 " 현숙한 여인 "( 룻기 3:11) 인 룻에 대해서 묵상하면서 적용하되 현숙한 그리스도인은 누구인지  한 가지만 설교한 후 함께 기도하는 시간을 가졌었다 .   그 한 가지란 현숙한 그리스도인은 하나님의 은혜를 사모하는 자이다 .   룻이란 모압 여인이 보아스라는 유대인 남자 앞에 " 엎드려 얼굴을 땅에 대고 절하며 그 에게 " 이렇게 말했다 :  " 나는 이방 여인이거늘 당신이 어찌하여 내게 은혜를 베푸시며 나를 돌보시나이까 "(2:10).   그리고 룻은 보아스에게 " 내 주여 내가 당신케 은혜 입기를 원하니이다 " 라고 말했다 (13 절 ).   룻은 보아스에게 그가 베풀어 준 은혜를 이해할 수 없었다 .   그리고 너무나 그 은혜에 감사했던 것이다 .   그러면서 그녀는 보아스에게 더욱더 은혜 입기를 사모했다 .   이것이 바로 현숙한 여인이다 , 은혜를 사모하는 여자 .   나는 현숙한 그리스도인이 되고 싶다 .   나는 하나님의 은혜를 알아가며 하나님의 은혜를 더욱더 사모하고 싶다 .   하나님의 은혜를 알아가는 그리스도인은  하나님 앞에 엎드려 겸손히 하나님께 예배를 드리면서  ' 나는 큰 죄인이어늘 어찌하여 저에게 은혜를 베푸시며 저를 돌보시나이까 ' 라며  고백하지 않을 수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