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라벨이 성도님인 게시물 표시

소중한 아내/엄마인데 ...

 소중한 아내/엄마인데 ... 제주도에 사는 사랑하는 어느 형제가 저의 부탁을 들어줘서 딜런과 제시카 결혼식 때 찍은 사진을 보냈더니 밑에 사진을 만들어 줬답니다 ㅎㅎ 그런데 희안한 것은 그 형제의 말로는 AI가 제 아내를 인식을 못한다고 하네요 ㅎㅎㅎ Mystery네요 ㅎㅎㅎ 왜 original 사진은 6명인데 제 아내를 인식을 못하는지 좀 이상하지만 제가 그 형제에게 어쩌면 하나님의 뜻이 있는 것 같다라고 말하면서 여기에 좀 글을 써서 나누겠다고 말했답니다 ㅎㅎ 제가 좀 나누고자 하는 것은 뭐냐면 제 아내 또는 세 자녀들의 엄마인 김(오)현영(Jane)이는 우리 가정에 없어서는 안되는 사람인데도 불구하고 AI가 인식을 못하듯이(그런데 AI이네요 ㅋㅋㅋ) 어쩌면 남편이 저나 세 자녀들이(이젠 며느리까지? ㅎㅎ) 아내/엄마의 소중함을 인식하지 못하지 않나 생각합니다. 좀(?) 슬픈 현실인 것 같아요, 아내/엄마라는 존재가요. 그리도 희생적으로 가정을 위해서 고생을 많이 하는데도 불구하고 남편이나 자녀들이 아내/엄마의 희생적인 사랑을 머리로는 좀 알면서도 실제로 삶 속에서는 인식(?)을(여기선 "인식"이란 단어보다 "인정"이란 단어가 적합하겠네요) 잘 못하고(안하고? ㅠ) 살고 있는 것 같아서요. 제가 밑에 사진을 저희 여섯 식구 카톡방에 나누고 싶어도 제 아내가 없어서 나누기가 좀 곤란하네요. 혹시나 아내가 섭섭해 하지 않을까 생각이 되어서요 ㅠ [근디 어떻게 AI 사진에 제 모습은 완전 할아버지네요 ㅎㅎㅎ] 다른 지체가 이렇게 만들어 줬습니다. 하하. 감사. 

거짓 목사들과 참된 목사님?

거짓 목사들과 참된 목사님? 아무리 400 명의 거짓 목사들이 교인들의 귀를 즐겁게하는 설교를 하므로 그 교인들이 그 설교를 ‘ 좋은 설교 ’ 요 ‘ 은혜 ’ 를 받았다고 말할지라도 참된 목사님은 아무리 그 교인들이 자기의 설교가 ‘ 나쁜 설교 ’ 라고 말할지라도 살아 계신 하나님의 이름으로 맹세한대로 하나님께서 자기에게 말씀하시는 것만 설교합니다 ( 참고 : 열왕기상 22:14; 디모데후서 4:3, 현대인의 성경 ).

마음이 너무 괴로워서 자신의 심정을 하나님께 털어놓고 있는데 목사님이란 분이 ...

마음이 너무 괴로워서 자신의 심정을 하나님께 털어놓고 있는데 목사님이란 분이 ... 술을 마시지도 못하는 여성도님이 예배당에 올라와서 마음이 너무 괴로워서 자신의 심정을 하나님께 털어놓고 있는데 목사님이란 분이 그 여성도님이 술 취한 줄로 생각하고 그녀에게 " 언제까지 술주정만 하고 있을 작정이오 ?   당장 술을 끊으시오 !" 라고 꾸짖는다면 ...? ( 참고 : 사무엘상 1:13-15, 현대인의 성경 )

그리하면 우리가 살 것입니다!

그리하면 우리가 살 것입니다! 하나님의 종은 하나님께 말씀을 받아 성도님들을 부지런히 가르쳐서 그 말씀을 지키게 해야 합니다 .   성도님들은 하나님의 종을 통해 하나님의 말씀을 다 듣고 순종해야 합니다 ( 참고 : 신명기 5:27, 31, 현대인의 성경 ).   " 그리하면 너희가 살 것이요 복이 너희에게 있을 것이며 너희가 치지한 땅에서 너희의 날이 길리라 "(33 절 ).

행함보다 존재에!

행함보다 존재에! 행함보다 존재에 초점을 맞춘 신앙 생활을 추구하고 싶습니다 .   내가 주님을 위해서 또한 성도님들을 위해서 무엇을 하고 있는가 라는  질문에 초첨을 맞추기 보다  하나님 앞에서 나는 누구인가 라는 질문에 초점을 맞추면서  신앙생활을 하고 싶습니다 .

목사님과 성도님의 관계에서 ...

목사님과 성도님의 관계에서 ...  성도님이 하나님께 용서를 구한 후 목사님에게 진심으로 사과했을 때  목사님은 그 성도님을 용서하고 용납하는 것이 마땅합니다 .   더 나아가서 목사님은 그 성도님을 위로하고 세워줘야 합니다 .    목사님이 하나님께 회개한 후 성도님에게 정중히 사과했을 때   성도님은 상처와 오해와 분노 속에서 그 목사님을 용서하기를 거부하지 말고  그 목사님의 사과를 받아들여 용서해야 합니다 .   더 나아가서 성도님은 그 목사님의 말씀에 다시금 순종할 수 있어야 합니다 .

성령 충만한 목사님과 성령 충만한 성도님

성령 충만한 목사님과 성령 충만한 성도님 진리의 성령님이 충만한 목사님은 자기 생각대로 말씀하지 않고 주님께 들은 것만 말씀하실 것이며 앞으로 일어날 일도 우리에게 말씀해 주실 것입니다 ( 예 : 예수님의 재림 )( 참고 : 요한복음 16:13, 현대인의 성경 ).   성령 충만한 성도님은 성령 충만한 목사님에게 들은 바 하나님의 말씀을 받을 때에 사람의 말로 받지 않고 하나님의 말씀을 받아 그 말씀이 믿는 자 가운데에서 역사합니다 ( 데살로니가전서 2:13).

"성령의 검"에 "익숙한" 성경 교사가 되야 합니다.

"성령의 검"에 "익숙한" 성경 교사가 되야 합니다. 우리는 " 성령의 검 곧 하나님의 말씀 "( 엡 6:17) 에  " 익숙한 "( 스 7:6) 성경 교사 ( 목사 ) 가 되야 합니다 .    우리는 그 하나님의 말씀을  연구하여  준행하며  그 말씀을 성도님들에게 가르치기를  결심해야 합니다 (10 절 ).   " 하나님의 선한 손의 도우심을 입어 "(9 절 )  성실하게 잘 감당할 수 있길 기원합니다 .

회개하는 성도님들 그러나 회개하지 않는 목사

 회개하는 성도님들 그러나 회개하지 않는 목사 니느웨 백성들은  주님의 종인 요나 선지자를 통하여 말씀을 듣고 회개를 하였는데 ( 요나 3 장 )  하나님의 말씀을 전했던  하나님의 종 요나는 진정으로 회개를 하지 않았습니다 (4 장 ). 하나님의 말씀을 선포하는 목사인 나는 진정으로 회개하지 않고 있는데  나를 통하여 하나님의 말씀을 듣는 성도님들은 회개를 하고 있다면 ?

우리 목사들은 성도님들에게 두 가지를 명백하게 전파해야 합니다.

  우리 목사들은 성도님들에게 두 가지를 명백하게 전파해야 합니다 ( 고후 4:5):   1. 오직 그리스도 예수의 주님 되신 것과 2. 예수님을 위하여 우리가 그들의 종 된 것 .   그런데 지금 우리는  오직 그리스도 예수의 주님 되신 것 보다  우리 자신을 위하여  우리가 성도님들의 주 되고픈 심정을 쏟아내고 있던지 또는 / 아니면  우리가 성도님들의 주 되었다는 착각으로 그들에게 섬김을 마땅히 받아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 ㅠㅠ

목사님의 그 말을 들은 성도님의 심정은?

목사님의 그 말을 들은 성도님의 심정은? 여 성도님은 마음이 괴로워서 하나님께 통곡하면서 오래 동안 기도하고 있는데  목사님은 그녀가 술에 취한 줄 생각하고  ' 당신이 언제까지 취하여 있을 것입니까 .   술을 끊으십시오 ' 라고 말했다 ( 사무엘상 1:9-14).   그 말을 들은 여성도님의 심정은 어떠할까 ?

성도님과 목사님과의 관계

성도님과 목사님과의 관계 성도님 ( 들 ) 은 목사님 ( 들 ) 을 위로해야 합니다 ( 고후 7:6-7). 위로하되 목사님 ( 들 ) 을 기쁘게 해야 합니다 (7 절 ). 목사님 ( 들 ) 은 성도님 ( 들 ) 을 근심하게 해야 합니다 (8 절 ). 근심하게 하되 성도님 ( 들 ) 을 하나님의 뜻대로 근심하게 해야 합니다 (9-10 절 ).

위로하는 성도님들, 근심케 하는 목사님

위로하는 성도님들 ,   근심케 하는 목사님   “ 그러나 비천한 자들을 위로하시는 하나님이 디도의 옴으로 우리를 위로하셨으니 저의 온 것뿐 아니요 오직 저가 너희에게 받은 그 위로로 위로하고 너희의 사모함과 애통함과 나를 위하여 열심 있는 것을 우리에게 고함으로 나로 더욱 기쁘게 하였느니라 .   그러므로 내가 편지로 너희를 근심하게 한 것을 후회하였으나 지금은 후회하지 아니함은 그 편지가 너희로 잠시만 근심하게 한 줄을 앎이라 내가 지금 기뻐함은 너희로 근심하게 한 까닭이 아니요 도리어 너희가 근심함으로 회개함에 이른 까닭이라 너희가 하나님의 뜻대로 근심하게 된 것은 우리에게서 아무 해도 받지 않게 하려 함이라 하나님의 뜻대로 하는 근심은 후회할 것이 없는 구원에 이르게 하는 회개를 이루는 것이요 세상 근심은 사망을 이루는 것이니라 ” ( 고린도후서   7 장   6-10).           우리 주위엔 위로가 필요한 성도님들이 참 많습니다 .   궁핍과 고난 ,   외로움과 괴로움 ,   질병과 고통 ,   상처와 아픔 ,   심지어 생사의 갈림길에서 허덕이는 사랑하는 성도님들을 생각할 때 그 분들 모두 다 위로가 절실히 필요한 사람들입니다 .   그런데 왠지 그   “ 사람들 ”   가운데 우리가 우리   “ 목사님 ” 은 잘 포함시키지 않는 것 같습니다 .   그 이유는 어쩌면 우리가 생각할 때   ‘ 우리 목사님은 믿음이 좋으시닌까 뭐 믿음으로 다 잘 이겨 나아가실꺼야 ’ 라고 생각하기 때문일 수도 있을 것입니다 .   그러나 우리가 기억해야 할 것은 사도 바울조차도 위로가 필요한 하나님의 종이였다는 사실입니다 ( 고후 7:6).           오늘 본문 고린도후서   7 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