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라벨이 인 게시물 표시

천국 시민이요 미국 시민인 "동전 목사님"의 책임?

천국 시민이요 미국 시민인 "동전 목사님"의 책임?       악한 포도원 농부 비유가 자기들을 가리켜 한 말인 줄 알고 예수님을 잡으려고 했으나 군중들이 두려워 예수님을 잡지 못하고 그냥 가 버렸던 대제사장들과 율법학자들 ( 서기관들 ) 과 장로들은 어떻게 해서든지 구실을 붙여 예수님을 잡으려고 바리새파 사람들과 헤롯 당원 중 몇 사람을 예수님께 보내 이렇게 물어보게 하였습니다 : “선생님 , 우리가 알기에 선생님은 진실하셔서 사람의 겉모양을 보지 않으시고 진리대로 하나님의 교훈을 가르치시기 때문에 누구에게도 거리낌이 없으십니다 .   그런데 로마황제에게 세금을 바치는 것이 옳습니까 , 옳지 않습니까 ?   우리가 바쳐야 합니까 , 바치지 말아야 합니까 ? ”   그러나 예수님은 그들의 위선을 아시고 “왜 나를 시험하느냐 ?   데나리온 하나를 가져와 내게 보여라”하고 말씀하셨습니다 .   그들이 그것을 가져오자 예수님은 “이 초상과 글이 누구의 것이냐 ? ”하고 물으셨습니다 .   그들이 “황제의 것입니다”하고 대답하자 예수님이 “황제의 것은 황제에게 , 하나님의 것은 하나님께 바쳐라”하고 말씀하셨습니다 .   그래서 그들은 예수님의 말씀을 듣고 말문이 막혀 버렸습니다 ( 마가복음 12:12-17, 현대인의 성경 ).   저는 이 말씀을 마태복음 22 장 15-22 절과 누가복음 20 장 19-26 절 현대인의 성경 말씀과 연관해서 묵상할 때 오늘은 예수님께서 “데나리온 하나를 가져와 내게 보여라” [“ 세금으로 바치는 돈을 내게 보여라 ”( 마태복음 22:19, 현대인의 성경 )] 하고 말씀하시자 바리새파 사...

갈라서게 하시는 방법?

갈라서게 하시는 방법? 아브람과 그의 조카 롯에게 소유가 너무 많아서 함께 살기에는 " 그 땅 "( 벧엘과 아이 사이에 있는 땅 ) 의 목초지가 부족하여 결국 롯이 그 땅을 떠나 동쪽인 소돔과 고모라로 떠나므로 서로 갈라서게 되었는데 ( 창세기 13:6-11, 현대인의 성경 ) 야곱과 에서도 소유가 너무 많아 그들의 짐승을 함께 기르기에는 " 그 땅 "( 가나안 땅 ) 이 부족하여 결국 에서가 그 땅을 떠나 세일의 산간 지역에서 살게 되므로 서로 갈라서게 되었습니다 (36:6-8, 현대인의 성경 ).   이 사실을 묵상할 때 하나님께서는 형제이든 친척이든 그들의 소유가 너무 많게 하시므로로 서로 갈라서게 하신다는 생각이 듭니다 .   즉 , 하나님은 물질의 축복을 베풀어주셔서도 서로 갈라서게 하신다는 생각입니다 .

서로 다투지 않길 기원합니다.

서로 다투지 않길 기원합니다.   아버지 아브라함의 목자들은 너무 많은 가축으로 인해 조카 롯의 목자들끼리 서로 다퉜는데 ( 창세기 13:6-7) 아들 이삭의 종들은 그랄 목자들과 우물들로 인해 다퉜습니다 (26:20).   친척 식구끼리 다투지 말고 , 예수님을 믿지 않는 자들과도 다투지 말아야 하는데 ...

자식을 떠나보내야 합니다! (창세기 13장 9절)

자식을 떠나보내야 합니다 !         “ 네 앞에 온 땅이 있지 아니하냐 나를 떠나가라 네가 좌하면 나는 우하고 네가 우하면 나는 좌하리라 ”( 창세기 13 장 9 절 ).               지금 제가 알고 지내는 부부들 중에 몇 부부가 시어머니와 며느리 사이에 갈등 ( 고부 갈등 ) 이 있습니다 .   며느리 자매들 입장에서 많이들 힘들어 합니다 .   여러모로 힘들 텐데 그 중에 제일 힘든 것은 제가 보기엔 며느리와 시어머니 사이에서 우왕좌왕하는 남편 때문이라 생각합니다 .   부인 자매들의 입장에선 자신들의 남편이 진짜 소위 말하는 ‘ 남의 편 ’ 이 되어서 자기보다 시어머니의 편을 드는 모습을 볼 때에 당연히 마음이 힘들 수밖에 없을 것입니다 .   특히 자신들의 남편이 소위 말하는 ‘ 마마보이 ’ 라고 생각될 때에는 더 마음이 괴로울 수 밖에 없을 것입니다 .   아내인 자기보다 남편의 어머니이 시어머니에게 강한 애착과 집착을 가지고 있어서 아내하고는 이렇게 대화를 했는데 또 다시 시어머니하고 밀착되어서 시어머님의 말씀에 순종하는 남편을 보면 부인 자매들 입장에서는 속이 터질 것 같습니다 .   아마 숨이 막힐 것 같습니다 .   자신의 남편과 자신의 시어머니의 사이가 너무나 지나치게 애착과 집착과 밀착이 되 있어서요 .   그 결과로 오는 시어머니와 며느리의 갈등 ( 고부 갈등 ) 을 어떻게 해결해야 하는 것일까요 ?   이 고부 갈등 외에도 시부모님과 며느리와의 갈등도 있을 수 있고 또한 장인 장모님과 사위와의 갈등도 있을 수 있습니다 .   이러한 갈등 외에도 가족 안에서는 부부 갈등도 충분히 있을 수 있고 , 부모와 자녀와의 갈등과 자녀들 사이에서의 갈등도 충분히 있을 수 있습니다 ...

“서로 다투게 하지 말자” (창세기 13장 8절)

“ 서로 다투게 하지 말자 ”         “ 아브람이 롯에게 이르되 우리는 한 친족이라 나나 너나 내 목자나 네 목자나 서로 다투게 하지 말자 ”( 창세기 13 장 8 절 , 현대인의 성경 ).               한 2 주전 화요일 온라인 가족 기도 모임 때 에베소서 5 장 31-33 절과 제가 쓴 2 개의 글 중심으로 “ 주님 , 우리 온 가정 친척 식구를 사랑의 가정으로 세워주소서 ” 란 제목 아래 7 가지 생각을 나눴었습니다 : (1) 가정은 참 중요합니다 , (2) 가정의 가장인 남편의 영적 건강이 참 중요합니다 , (3) 가정의 가장인 남편의 영적 성숙과 지도력이 참 중요합니다 , (4) 영적으로 건강하고 성숙한 남편은 아내를 우선으로 사랑합니다 , (5) 영적으로 건강하고 성숙한 남편은 건강한 경계선을 분명하게 급니다 , (6) 부부 관계의 위기나 고비가 올 수 있습니다 , (7) 부부 관계는 그리스도와 교회와의 관계와 일치해야 합니다 .   이 7 가지 생각 중 “ 영적으로 건강하고 성숙한 남편은 건강한 경계선을 분명하게 급니다 ” 라는 5 번째 생각을 하면서 저는 에베소서 5 장 31 절 말씀을 인용했습니다 : “ 그래서 성경에는 ' 사람이 부모를 떠나 자기 아내와 합하여 두 사람이 한 몸이 될 것이다 .' 라고 했습니다 ”( 현대인의 성경 ).   그리고 저는 이 말씀을 인용해서 5 번째 생각을 나눴을 때 고부갈등을 예로 들었습니다 .   저는 시어머니와 며느리의 갈등에서 남편이 에베소서 5 장 31 절 말씀대로 “ 부모를 떠나 ” 지 못한 경우를 예로 들었습니다 .   만일 남편이 부모 ( 특히 어머니 ?) 를 떠나지 못하면 자신의 어머니와 자신의 아내와의 관계에서 고부갈등은 끊임이 없을 수밖에 없다고 생각합니다...

안전할 줄 알아는데

안전할 줄 알아는데  소알이 안전할 줄 알고 그리로 도망갔다가 소알에서 사는 것이 두려워 두 딸과 함께 산으로 올라가 동굴 속에서 살았던 롯은 두 딸이 자기에게 술을 먹이고 잠자리에 들어 결국 그 두 딸은 자기들의 아버지 롯을 통해서 임신하게 되어 자기들의 가족의 혈통을 이어 가게 되었습니다 .   큰 딸은 아들을 낳아 이름을 모압이라고 지었는데 그는 오늘날 모압 사람들의 조상이 되었고 , 작은 딸도 아들을 낳아 이름을 벤암미라고 지었는데 그는 오늘날 암몬 사람들의 조상이 되었습니다 ( 창세기 19:30-38, 현대인의 성경 ).   결국 두려워하던 롯은 안전하다고 생각하여 산으로 올라가 동굴 속에서 두 딸과 함께 살았는데 두 딸이 자신에게 술을 먹이고 자기의 잠자리에 들므로 자기를 통해 두 딸이 임신하여 아들을 낳게 된 것입니다 .

두려워하는 마음에는 안전한 곳이 있을리라 만무합니다.

두려워하는 마음에는 안전한 곳이 있을리라 만무합니다 .   소알이 안전할 것이라고 생각하여 천사들에게 허락을 받고 산으로 도망가지 않고 작은 성 소알로 도망갔던 롯은 소돔과 고모라가 멸망을 당한 후 소알에 사는 것도 두려워서 두 딸과 함께 그 곳을 떠나 산으로 올라가서 동굴 속에 살았습니다 ( 창세기 19:17-22, 30, 현대인의 성경 ).   이렇게 두려워하는 마음에는 안전한 곳이 있을리라 만무합니다 .

우리가 보기에 안전한 곳이 하나님 보시기에는 안전한 곳이 아닐 수 있습니다.

우리가 보기에 안전한 곳이 하나님 보시기에는 안전한 곳이 아닐 수 있습니다.   천사들은 롯에게 " 산으로 도망하라 " 고 말씀했는데 롯은 도중에 재앙을 만나 죽을까봐 산까지 달아날 수가 없으니 도망하기 가까운 작은 성 ( 소알 ) 로 도망가게 해 주시길 부탁드렸습니다 .   롯이 천사들에게 그리 말한 이유는 천사들이 볼 때에는 산이 안전한게 , 롯이 볼 때에는 그 작은 성 ( 소알 ) 이 안전할 것이라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   그리했을 때 천사들은 롯의 요구대로 그 작은 성 ( 소알 ) 을 멸망시키지 않고 롯으로 하여금 가족과 함께 소알로 도망할 때까지 소돔과 고모라를 멸망시키지 않으셨습니다 ( 창세기 19:17-22, 현대인의 성경 ).   재앙을 만나 죽을까봐 하는 두려움은 우리가 보기에 안전한 곳을 찾게 만듭니다 .   그런데 그 안전한 곳이 하나님 보시기에는 안전한 곳이 아닐 수 있습니다 .    

혹시 우리가 지금 망설이고 있는 것은 아닌지요?

혹시 우리가 지금 망설이고 있는 것은 아닌지요 ?    왜 우리는 망설이는 것일까요 ?   소돔과 고모라를 멸망시키기 전에 천사들이 롯을 재촉하였지만 롯은 서둘러 자기 아내와 두 딸을 데리고 나가지 않고 망설였습니다 .   결국 그 천사들은 롯과 그의 아내와 두 딸의 손을 잡아 성 밖으로 이끌어내었는데 이것은 하나님께서 롯에게 자비를 베푸셨기 때문입니다 ( 창세기 18:15-16, 현대인의 성경 ).   주님께서 재촉하시면서 서두루라고 말씀하고 계신대 혹시 우리가 지금 망설이고 있는 것은 아닌지요 ?   왜 우리는 망설이는 것일까요 ?

이것이 우리 선택의 기준이 돼야 합니다.

이것이 우리 선택의 기준이 돼야 합니다.  소돔을 선택한 롯은 전쟁가운데서 붙잡혀 가면서 자신의 풍부한 재산까지 다 약탈을 당했습니다 ( 창세기 14:12, 현대인의 성경 ).   풍부한 재산을 지키려고 하기보다 우리의 믿음을 지켜야 합니다 .   이것이 우리 선택의 기준이 돼야 합니다 .

서로 갈라설 때에 선택한 곳의 기준?

서로 갈라설 때에 선택한 곳의 기준? 아브람과 그의 조카 롯이 가축의 풍부함으로 인해 그들의 목자들이 서로 다투므로 서로 갈라섰을 때 롯은 마치 에덴 동산 같고 이집트의 비옥한 땅과 같은 요단강 유역을 택하자 아브람은 가나안 땅에 머물렀습니다 .   여기서 롯의 선택의 근거는 그 요단강 유역을 바라보니 소알까지 온 땅에 물이 넉넉하였기 때문입니다 .   그러나 롯은 소돔 사람들이 대단히 악하여 하나님께 크게 범죄하므로 아직 하나님께서 소돔과 고모라를 멸망시키기 전이라는 것을 모르고 그저 너무 많은 가축 등을 위해 물이 넉넉한 요단강 유역을 선택한 것 같습니다 ( 창세기 13:10-13, 현대인의 성경 ).   물질의 풍부함으로 인해 친척끼리 서로 다툼으로 인해 서로 갈라설 때에 선택한 곳의 기준이 그 풍부한 물질을 지킬 수 있는 것보다 더 중요한 것은 그곳 사람들이 악한지 아니면 선한지 그래서 하나님께 크게 범죄하는 사람들인지 아니면 하나님께 순종하는 사람들인지 입니다 .

우리의 의로운 심령이 상하고 큰 고통을 당할 수 밖에 없습니다.

우리의 의로운 심령이 상하고 큰 고통을 당할 수 밖에 없습니다.  의로운 롯처럼 우리도 경건하지 않은 소돔과 고모라 성의 무법한 자들과 같은 악한 사람들 중에 거하여 날마다 그들의 불법한 행실과 음란한 행실을 보고 들으면 우리의 의로운 심령이 상하고 큰 고통을 당할 수 밖에 없습니다 ( 베드로후서 2:6-8).

가까이 가지 말았어야 했다.

가까이 가지 말았어야 했다. 장차 주님께서 멸망시킬 그곳을  롯은 가까이 가지 말았어야 했다 ( 창 13:10, 12).   결국에는 그는 그곳 ( 안 ) 에서 살게 되었고 (14:12)  또한 그곳 사람들을 친구로 삼게 되었다 (19:7).   그리고 그는 그곳에서 권위있는 지위까지 얻었다 (1 절 ).   그곳은 다름 아닌 악하고 큰 죄인들이 살고 있었던 소돔과 고모라다 (13:13).

성경을 읽다가 비슷한 말씀이 나올 때 ...

성경을 읽다가 비슷한 말씀이 나올 때 ... 아브람과 그의 조카 롯이 약속의 땅인 가나안에서 함께 동거할 수가 없었습니다 .   그 이유는 그들의 소유가 많았기 때문입니다 ( 창 13:6).   그래서 롯은 가나안 땅을 떠났습니다 (9-11 절 ).   야곱과 에서가 약속의 땅인 가나안에서 함께 동거할 수가 없었습니다 .   그 이유는 그들의 소유가 풍부하여 그들이 거주하는 가나안 땅이 그들의 가축으로 말미암아 용납할 수 없었기 때문입니다 (36:7).   그래서 에서는 가나안 땅을 떠났습니다 (6 절 ).   성경을 읽다보면 비슷한 말씀들이 나옵니다 .   그리할 때 그 말씀들을 연관해서 묵상해 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   저는 위에 두 말씀들을 연관해서 묵상할 때  왜 롯과 에서는 가나안 땅을 떠나고  아브람과 야곱은 그 땅에 남아 있었을까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   그리했을 때 든 생각은 창세기 12 장의 말씀입니다 .   가나안 땅은 하나님께서 아브람에게 가라고 명하시고 보여주신 땅입니다 (12:1).   그리고 가나안 땅은 하나님께서 아브람의 자손에게 주시겠다고 약속하신 땅입니다 (7 절 ).   그래서 하나님께서는 언약을 맺으신 아브람과 그의 후손인 야곱으로 하여금  그 가나안 땅에 두신 것입니다 .   그리고 롯과 에서를 풍부하게 축복하신 후 그 가나안 땅을 떠나게 하셨다고 생각합니다 .   이 말씀을 적용해 볼 때 하나님께서는 하나님의 언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