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라벨이 롬5:12-21인 게시물 표시

하나님의 나라에 합당한 생활을 하는 것이란 ...

하나님의 나라에 합당한 생활을 하는 것이란 그리스도의 복음에 합당하게 생활하는 것이요 , 하나님의 나라의 열매를 맺는다는 것이란 그리스도의 복음의 열매를 맺는다는 것입니다 . 즉 , 우리는 예수님과 복음을 위해 우리 생명을 버리는 예수님의 제자들로서 ( 막 8:35, 현대인의 성경 )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에 합당하게 생활하면서 ( 삶으로 복음전도 ) 우리의 입술로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을 전하므로 하나님께 복음의 열매를 맺어드려야 한다는 것입니다 .  

총체적 칭의론 (34) (로마서 5장 12-21절)

총체적 칭의론 (34)         [ 로마서 5 장 12-21 절 ]       우리가 “총체적 칭의론”란 대주제 아래 로마서 1 장 18 절부터 5 장 11 절까지 8 가지 소주제를 이미 묵상을 했습니다 : (1) 칭의의 필요성 ( 우리 모두가 칭의가 필요함 ), (2) 칭의의 근원 ( 성부 하나님 ), (3) 칭의의 근거 ( 성자 예수님과 그분의 보혈 ), (4) 칭의의 통로 ( 믿음을 통해서 ), (5) 칭의의 보편성 ( 모든 믿는 자는 다 칭의를 받음 ), (6) 칭의의 목적 ( 하나님의 의로우심을 나타내심와 예수님을 믿는 자를 의롭다하시고자 ), (7) 칭의의 예증 ( 믿음의 조상 아브라함과 다윗을 예를 들어서 증언함 ), (8) 칭의의 결과 [ 화평을 누림 (5:1), 하나님 안에서 즐거워함 (11 절 )].   그리고 나서 우리가 “칭의의 확증” ( 확실하게 증거를 보여줌 ) 이라는 아홉 번째 소주제 아래 로마서 5 장 12-21 절 말씀을 묵상하기 시작했습니다 .   우리가 지난 주에는 로마서 5 장 13-14 절 말씀을 묵상하면서 ‘ 아담은 오실 자이신 예수 그리스도의 모형이다 ’(14 절하 ) 라는 말씀도 묵상했었습니다 .   즉 , 아담은 “ 오실 자 ” 이신 예수 그리스도의 모형이지 실제가 아닙니다 .   다시 말하면 , 모형인 아담과 실제이신 예수 그리스도와 같은 점과 다른 점이 있습니다 .   사도 바울은 그 다른 점을 먼저 로마서 5 장 15-17 절에서 말씀하고 있고 , 그 다음에 같은 점을 18-21 절에서 말씀하고 있습니다 ( 다음 주에 묵상 ).   오늘은 로마서 5 장 15-17 절 말씀 중심으로 오실 자의 모형인 아담과 오실 자이신 예수 그리스도와 다른 점 3 가지를 묵상하면서 주시는 은혜를 받고자 합니다 .   로마서 5 장 15 절 ...

총체적 칭의론 (34) (롬 5장 12-21절)

총체적 칭의론 (34)         [ 로마서 5 장 12-21 절 ]       A.   A. 우리가 “총체적 칭의론”란 대주제 아래 로마서 1 장 18 절부터 5 장 11 절까지 8 가지        소주제를 이미 묵상을 했음 : 1.     (1) 칭의의 필요성 ( 우리 모두가 칭의가 필요함 ), (2) 칭의의 근원 ( 성부 하나님 ), (3) 칭의의 근거 ( 성자 예수님과 그분의 보혈 ), (4) 칭의의 통로 ( 믿음을 통해서 ), (5) 칭의의 보편성 ( 모든 믿는 자는 다 칭의를 받음 ), (6) 칭의의 목적 ( 하나님의 의로우심을 나타내심와 예수님을 믿는 자를 의롭다하시고자 ), (7) 칭의의 예증 ( 믿음의 조상 아브라함과 다윗을 예를 들어서 증언함 ), (8) 칭의의 결과 [ 화평을 누림 (5:1), 하나님 안에서 즐거워함 (11 절 )].   B B. 그리고 나서 우리가 “칭의의 확증” ( 확실하게 증거를 보여줌 ) 이라는 아홉 번째 소주제       아래 로마서 5 장 12-21 절 말씀을 묵상하기 시작했음 : 1.     우리가 지난 주에는 로마서 5 장 13-14 절 말씀을 묵상하면서 ‘ 아담은 오실 자이신 예수 그리스도의 모형이다 ’(14 절하 ) 라는 말씀도 묵상했었음 . a.     즉 , 아담은 “ 오실 자 ” 이신 예수 그리스도의 모형이지 실제가 아님 .   다시 말하면 , 모형인 아담과 실제이신 예수 그리스도와 같은 점과 다른 점이 있음 .   (1)   사도 바울은 그 다른 점을 먼저 로마서 5 장 15-17 절에서 말씀하고 있고 , 그 다음에 같은 점을 18-21 절에서 말씀하고 있음 ( 다음 주에 ...

총체적 칭의론 (31) (로마서 5장 12-21절)

총체적 칭의론 (31)         [ 로마서 5 장 12-21 절 ]       우리가 “총체적 칭의론”란 대주제 아래 로마서 1 장 18 절부터 하나님의 말씀을 묵상해 오면서 8 가지 소주제를 이미 묵상했고 , “칭의의 확증”이라는 아홉 번째 소주제 아래 로마서 5 장 12-21 절 말씀을 묵상하기 시작했습니다 : (1) 첫 번째 “ 칭의의 확증 ”: 로마서 5 장 12 절 , (2) 두 번째 “ 칭의의 확증 ”: 로마서 5 장 13-14 절 .   오늘은 (3) 세 번째 “ 칭의의 확증 ” 으로 로마서 5 장 15-17 절 말씀 중심으로 하나님의 말씀을 묵상하고자 합니다 : “ 그러나 이 은사는 그 범죄와 같지 아니하니 곧 한 사람의 범죄를 인하여 많은 사람이 죽었은즉 더욱 하나님의 은혜와 또한 한 사람 예수 그리스도의 은혜로 말미암은 선물은 많은 사람에게 넘쳤느니라 또 이 선물은 범죄한 한 사람으로 말미암은 것과 같지 아니하니 심판은 한 사람으로 말미암아 정죄에 이르렀으나 은사는 많은 범죄로 말미암아 의롭다 하심에 이름이니라 한 사람의 범죄로 말미암아 사망이 그 한 사람을 통하여 왕 노릇 하였은즉 더욱 은혜와 의의 선물을 넘치게 받는 자들은 한 분 예수 그리스도를 통하여 생명 안에서 왕 노릇 하리로다 .”              로마서 5 장 15 절 말씀입니다 : “ 그러나 이 은사는 그 범죄와 같지 아니하니 곧 한 사람의 범죄를 인하여 많은 사람이 죽었은즉 더욱 하나님의 은혜와 또한 한 사람 예수 그리스도의 은혜로 말미암은 선물은 많은 사람에게 넘쳤느니라 .”   여기서 “ 그러나 ” 는 앞의 내용과 뒤의 내용을 연결해주는 접속사로서 서로 반대되는 내용이 전개될 것을 알려줍니다 .   예를 들어 , 로마서 5 장 12...

총체적 칭의론 (31) (롬 5장 12-21절)

총체적 칭의론 (31)         [ 로마서 5 장 12-21 절 ]       A.   A. 우리가 “총체적 칭의론”란 대주제 아래 로마서 1 장 18 절부터 하나님의 말씀을 묵상해 오면서 8 가지 소주제를 이미 묵상했고 , “칭의의 확증”이라는 아홉 번째 소주제 아래 로마서 5 장 12-21 절 말씀을 묵상하기 시작했음 . 1.     첫 번째 “ 칭의의 확증 ”: 로마서 5 장 12 절 2.     두 번째 “ 칭의의 확증 ”: 로마서 5 장 13-14 절   B. B. 오늘은 세 번째 “ 칭의의 확증 ” 으로 로마서 5 장 15-17 절 말씀 중심으로 하나님의 말씀을 묵상하고자 함 : “ 그러나 이 은사는 그 범죄와 같지 아니하니 곧 한 사람의 범죄를 인하여 많은 사람이 죽었은즉 더욱 하나님의 은혜와 또한 한 사람 예수 그리스도의 은혜로 말미암은 선물은 많은 사람에게 넘쳤느니라 또 이 선물은 범죄한 한 사람으로 말미암은 것과 같지 아니하니 심판은 한 사람으로 말미암아 정죄에 이르렀으나 은사는 많은 범죄로 말미암아 의롭다 하심에 이름이니라 한 사람의 범죄로 말미암아 사망이 그 한 사람을 통하여 왕 노릇 하였은즉 더욱 은혜와 의의 선물을 넘치게 받는 자들은 한 분 예수 그리스도를 통하여 생명 안에서 왕 노릇 하리로다 .” 1.     “ 그러나 이 은사는 그 범죄와 같지 아니하니 곧 한 사람의 범죄를 인하여 많은 사람이 죽었은즉 더욱 하나님의 은혜와 또한 한 사람 예수 그리스도의 은혜로 말미암은 선물은 많은 사람에게 넘쳤느니라 ”( 롬 5:15 하 ). a.     여기서 “ 그러나 ” 는 앞의 내용과 뒤의 내용을 연결해주는 접속사로서 서로 반대되는 내용이 전개될 것을 알려줌 . (1) ...

총체적 칭의론 (29) (로마서 5장 12-21절)

총체적 칭의론 (29)         [ 로마서 5 장 12-21 절 ]     오늘 본문 로마서 5 장 12-21 절은 칭의와 관계가 없는 것 같아 보이지만 실제로는 “ 칭의의 확증 ” 을 보여줍니다 .   로마서 5 장 8 절 말씀입니다 : “ 우리가 아직 죄인 되었을 때에 그리스도께서 우리를 위하여 죽으심으로 하나님께서 우리에 대한 자기의 사랑을 확증하셨느니라 .”   “ 한 사람 ” 아담으로 말미암아 죄가 세상에 들어왔고 죄로 말미암아 사망이 들어왔나니 이와 같이 모든 사람이 죄를 지었으므로 사망이 모든 사람에게 이르렀을 때에 (12 절 ) “ 한 분 예수 그리스도 ”(17 절 ) 께서 우리를 위하여 십자가에 죽으심으로 하나님께서 우리에 대한 자기의 사랑을 확증하셨습니다 (8 절 ).   예수 그리스도께서 우리의 죄를 짊어지시고 십자가에서 우리의 형벌을 대신 받으시사 죽으심으로 하나님이 우리를 사랑하시는 것이 구체적이며 확실하게 나타내셨습니다 .   로마서 5 장 12-21 절에서 칭의를 확실하게 보여주고 있습니다 .   오늘부터 “ 칭의의 확증 ” 이란 소주제 아래 로마서 5 장 12-21 절을 묵상하고자 합니다 .   오늘은 첫 번째 칭의의 확증을 로마서 5 장 12 절 중심으로 생각하고자 합니다 : “ 그러므로 한 사람으로 말미암아 죄가 세상에 들어오고 죄로 말미암아 사망이 들어왔나니 이와 같이 모든 사람이 죄를 지었으므로 사망이 모든 사람에게 이르렀느니라 .”   우리가 총체적인 칭의론을 묵상하기 시작하면서 로마서 3 장 23 절에 근거하여 칭의의 필요성을 배웠습니다 : “ 모든 사람이 죄를 범하였으매 하나님의 영광에 이르지 못하더니 .”   우리 모두가 칭의가 필요한 이유는 “ 모든 사람 ” 이 죄를 범하므로 하나님의 영광에 이르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   여기서 “ 모든 사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