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라벨이 흉년인 게시물 표시

하나님의 나라에 합당한 생활을 하는 것이란 ...

하나님의 나라에 합당한 생활을 하는 것이란 그리스도의 복음에 합당하게 생활하는 것이요 , 하나님의 나라의 열매를 맺는다는 것이란 그리스도의 복음의 열매를 맺는다는 것입니다 . 즉 , 우리는 예수님과 복음을 위해 우리 생명을 버리는 예수님의 제자들로서 ( 막 8:35, 현대인의 성경 )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에 합당하게 생활하면서 ( 삶으로 복음전도 ) 우리의 입술로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을 전하므로 하나님께 복음의 열매를 맺어드려야 한다는 것입니다 .  

“풍년”은 그들로 하여금 다시 고향으로 돌아오게 만듭니다.

 “풍년”은 그들로 하여금 다시 고향으로 돌아오게 만듭니다. “ 그 수넴 여자 ” 는 “ 가족을 데리고 블레셋 사람의 땅으로 가서 7 년 동안 살 ” 다가 “ 기근이 끝난 후에 ” 다시 이스라엘로 돌아왔습니다 ( 열왕기하 8:2-3, 현대인의 성경 ).   나오미의 경우도 “ 흉년 ” 으로 인해 “ 고향을 떠나 모압 땅에 가서 살 ” 다가 ” 남편이 죽고 “10 년쯤 되었을 때 ” 두 아들들마저 죽고 홀로 남게 된 “ 그로부터 얼마 후 ” 하나님께서 자기 백성 ( 유다 백성 ) 을 축복하여 유다 땅에 “ 풍년 ” 이 들게 하셨다는 소식을 듣고 모압 땅을 떠나 유다 땅으로 돌아왔습니다 ( 룻 1:1-7, 19, 현대인의 성경 ).   이 말씀들을 묵상할 때 저는 비록 “ 기근 ” 이나 “ 흉년 ” 으로 고향을 떠나 다른 나라로 이주케 만들었지만 , “ 풍년 ” 은 그들로 하여금 다시 고향으로 돌아오게 만들었다고 생각합니다 .   하나님께서 우리 인생에도 여러 종류의 “ 흉년 ” 과 “ 풍년 ” 을 듣게 하시사 인생의 “ 흉년 ” 때에는 우리로 하여금 하나님을 간절히 찾게 만드실 뿐만 아니라 우리를 이주케하시고 , 인생의 “ 풍년 ” 때에는 우리로 하여금 하나님께 감사로 찬양케 하실 뿐만 아니라 다시 돌아오게 하신다고 생각합니다 .

"기근"을 통해 우리를 이주케 하시는 하나님

 "기근"을 통해 우리를 이주케 하시는 하나님 엘리사 선지자가 전에 아들을 살려준 그 수넴 여자에게 “ 당신은 가족과 함께 이곳을 떠나 다른 나라에 가서 살도록 하시오 .   여호와께서 7 년 동안 계속될 기근을 이스라엘 땅에 내리시겠다고 선언하셨소 ”( 열왕기하 8:1, 현대인의 성경 ) 라고 말씀하신 내용을 묵상할 때 하나님께서는 “ 기근 ” 을 통해 하나님의 백성을 이주케 하셨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   예를 들어 , 하나님께서 야곱과 그의 자녀와 후손들을 심한 “ 기근 ”( 창세기 43:1) 을 통해 이집트로 이주케 하셨습니다 (46:7, 27).   또한 사사들이 나라를 다스리던 시대에 유다 땅에 “ 흉년 ” 이 들므로 엘리멜렉과 그의 아내 나오미와 두 아들들이 고향을 떠나 모압 땅으로 이주했습니다 ( 룻기 1:1, 현대인의 성경 ).   탕자의 비유도 보면 하나님께서는 자기 아버지에게 미리 자기 몫으로 돌아올 재산을 받아 먼 나라로 가서 방탕한 생활을 하다가 재산을 모두 날려 버린 둘째 아들이 살고 있었던 그 먼 나라에 “ 크게 흉년 ” 이 들게하시므로 그 둘째 아들로 하여금 다시 아버지의 집으로 돌아오게 하셨습니다 ( 누가복음 15:11-20).   이 말씀들을 근거로 해서 적용해보면 하나님께서 지금도 우리 삶 속에 여러 종류의 “ 기근 ” 이나 “ 흉년 ” 을 통해 궁핍케하시므로 우리를 한 곳에서 다른 곳을 이주케 하시지 않나 생각합니다 .   그리고 하나님께서는 우리를 이주케 하실 때에 계획하시고 뜻하신바를 이루신다고 생각합니다 .   즉 , 하나님께서는 “ 기근 ”( 궁핍케하심 ) 을 통해 우리는 이주케하시므로 하나님의 선하시고 기뻐하시고 온전하신 뜻을 이루신다 ( 로마서 12:2) 는 것입니다 .

‘하나님, 우리 가정에 풍년이 들게 하소서.’ (룻기 1장 1-6절)

‘ 하나님 , 우리 가정에 풍년이 들게 하소서 .’         [ 룻기 1 장 1-22 절 ]     우리가 평생 죽을 때까지 기도해야 할 기도 제목 중에 하나는 바로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은혜의 선물로 주신 가정이라 생각합니다 .   우리 각자 가정을 위하여 하나님께 간구하는 기도 제목들이 다 있을 것입니다 .   물론 우리가 배우자를 위하여 하나님께 기도를 드리고 있겠지만 아마도 우리 자녀를 놓고 하나님께 날마다 기도를 드리지 않을 수가 없을 것입니다 .   그 이유는 다양한 이유가 있겠지만 한 마디로 말할 수 있다면 그 이유는 우리 부모의 마음은 자녀를 사랑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   그래서 우리는 사랑하는 자녀를 날마다 , 순간 순간마다 생각날 때에 마음으로라도 하나님 아버지께 기도를 드리고 있는 것입니다 .   그 기도 제목들 중에 저는 오늘 룻기 1 장 말씀 중심으로 새로운 기도 제목을 갖게 되었습니다 .   그 기도 제목은 바로 ‘ 하나님 , 우리 가정에 풍년이 들게 하소서 ’ 입니다 .   저는 오늘 본문 룻기 1 장 1-22 절을 목요일 아침에 묵상한 후 짧은 말씀 묵상 글을 써서 여기저기 나눈 후 금요일 오후에 다시금 묵상하면서 1 장 1 절에 “ 흉년 ” 이란 단어와 6 절 현대인의 성경에 “ 풍년 ” 이란 단어에 좀 관심을 갖게 되었습니다 .   그리고 저는 룻기 1 장 전체를 다시금 묵상할 때에 비록 룻기 1 장에서는 유다 땅에 “ 흉년 ” 이 들었다가 (1 절 ) 10 년쯤이 지난 후에야 (4 절 ) 하나님께서 자기 백성을 축복하여 그 유다 땅에 “ 풍년 ” 이 들게 하셨다 (6 절 , 현대인의 성경 ) 는 말씀을 묵상하면서 우리 가정에 적용을 해 보았습니다 .   적용하되 저는 우리 각 가정에도 흉년과 풍년이 있을 수 있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   예를 ...

가족의 흉년?

가족의 흉년?  나오미에게 있어서 " 흉년 " 은 그저 고향을 떠나 모압 땅으로 이주해서 산 것 외에도 남편인 엘리멜렉과 두 아들인 말론과 기룐까지 다 잃어 홀로 남게 되었습니다 ( 룻기 1:1-5, 현대인의 성경 ).   즉 , 나오미에게 있어서 " 흉년 " 이란 ' 가족의 흉년 ' 이었다고 생각됩니다 .   그 가족의 흉년은 그저 돈만 잃는 게 아니라 사랑하는 식구도 잃는 것입니다 .

인생의 풍년 때 비축해 놓고, 인생의 흉년 때 절약해야 합니다.

인생의 풍년 때 비축해 놓고, 인생의 흉년 때 절약해야 합니다.  다른 나라에는 기근이 들어 굶주렸으나 이집트 ( 애굽 ) 전역에는 식량이 있었습니다 .   그 이유는 요셉이 하나님의 영이 충만하여 총명하고 지혜롭게 7 년 풍년 때 엄청난 양의 곡식을 저장해서 그 저장한 곡식이 바다의 모래처럼 많이 비축량을 계산할 수가 없었기 때문입니다 ( 창세기 41:38-39, 47-49, 현대인의 성경 ).   인생의 풍년 때 낭비하지 말고 비축해 놓고 , 인생의 흉년 때 절약해야 합니다 .

양가 부모님께서 주님께 순종하셨고 지금도 순종하고 계시기 때문입니다.

양가 부모님께서 주님께 순종하셨고 지금도 순종하고 계시기 때문입니다 .   아버지 아브라함도 거주하고 있었던 가나안 땅에 심한 흉년이 들어서 이집트로 이주했었는데 ( 창세기 12:10, 현대인의 성경 ) 그의 아들인 이삭도 아버지 때에 있었던 것과 같은 흉년이 그 땅에 다시 들어서 이삭은 불레셋 왕 아비멜렉이 사는 그랄로 갔습니다 ( 창세기 26:1, 현대인의 성경 ).   그런데 다른 점은 하나님께서 이삭에게 " 너는 이집트로 내려가지 말고 내가 지시하는 대로 이 땅에 머물러 있거라 .   네가 이 땅에서 살면 내가 너와 함께 하여 너를 축복하고 이 모든 땅을 너와 네 후손에게 주겠다 .   내가 네 아버지 아브라함에게 약속한 것을 지켜 네 후손들을 하늘의 별처럼 많게 하며 이 모든 땅을 그들에게 주겠다 .   네 후손을 통해서 세상의 모든 민족이 복을 받을 것이다 .   이것은 아브라함이 나에게 순종하였고 나의 법과 명령을 지켰기 때문이다 " 라고 말씀하신 것입니다 (3-5 절 , 현대인의 성경 ).   아버지 아브라함은 이집트로 내려가서 아내 사래 덕분에 이집트 왕 바로로부터 후한 대접을 받았을 뿐만 아니라 양과 소와 나귀와 남녀 종들과 낙타도 받았는데 (12:16, 현대인의 성경 ), 아들 이삭은 이집트로 내려가지 말라고 말씀하시고 그랄 때에 머물러 있으라고 명하신 후 그 그랄 땅에 살면 하나님께서 이삭과 함께 하여 그를 축복하고 그 모든 땅을 이삭와 그의 후손에게 주시겠다고 약속하신 것입니다 .   그 이유는 아브라함이 하나님께 순종하였기에 , 하나님의 법과 명령을 지켰기 때문에 그의 아들 이삭도 축복해 주시겠다고 약속하신 것입니다 .   제가 이렇게 큰 은혜와 축복을 누리고 있는 것은 양가 부모님께서 주님께 순종하셨고 지금도 순종하고 계시기 때문입니다 .

하나님의 뜻이었을까요?

하나님의 뜻이었을까요?   가나안 땅에 심한 흉년으로 인해 아브라함이 가나안 땅을 떠나 애굽 ( 이집트 ) 으로 가는 것이 하나님의 뜻이었을까요 ?( 창세기 12:10, 현대인의 성경 )   유다 땅에 흉년이 들어 엘리메렉이 아내 나오미와 두 아들과 함께 유다 땅을 떠나 모압 땅으로 가는 것이 하나님의 뜻이었을까요 ? ( 룻기 1:1, 현대인의 성경 )   탕자가 아버지에게 자기 몫으로 돌아올 재산을 다 정리하여 먼 나라로 가서 방탕한 생활을 하다가 재산을 모두 날려버렸을 때 그 나라에 심한 흉년까지 들어 굶주리게 된 탕자가 결국에 가서는 다시 아버지의 집으로 돌아오는 것이 하나님의 뜻이었을까요 ?( 누가복음 15:11-20, 현대인의 성경 )

"흉년"으로 말미암은 "큰 어려움"도 사용하시는 하나님

"흉년"으로 말미암은 "큰 어려움"도 사용하시는 하나님 하나님께서는 야곱의 시대에 애굽과 가나안 온 땅에 든 " 흉년 " 으로 말미암은 먹을 것이 없을 정도로의 " 큰 어려움 " 도 사용하셔서 야곱의 할아버지인 아브라함의 시대 때 약속하신 말씀대로 아브라함의 후손인 야곱과의 그의 열 두 아들들 및 후손들을 " 외국 땅 " 인 애굽에서 " 나그네가 되어 400 년 동안 종살이하며 학대를 받 " 게 하셨습니다 ( 사도행전 7:6, 11-14, 현대인의 성경 ).   하나님께서 저의 외증조 할아버지 목사님에게 약속하신 말씀을 저희 세대 뿐만 아니라 우리 자녀 대대 후손을 통해서라도 하나님의 때에 하나님의 방법으로 이루실 줄 믿습니다 .

인생의 쓴맛을 본 여인 ...

인생의 쓴맛을 본 여인 ... 인생의 쓴맛을 본 여인 나오미 ,  그녀는 소망이 없었습니다 ( 룻 1:12).   그녀는 모압 지방에 가서 거류하다가  남편만 죽은게 아니라 그녀의 두 아들도 죽었습니다 (1, 3, 5 절 ).   그녀는 늙어서 남편을 둘 수가 없었습니다 (12 절 ).   그 말은 또 다시 아들들을 낳을 수가 없었다는 말입니다 (12 절 ).   그녀는 " 여호와의 손이 나를 치셨 " 다고 생각했습니다 (13 절 ).   그녀는 " 전능자가 나를 심히 괴롭게 하셨 " 다고 생각했습니다 (20 절 ).  그녀는 유다 베들레헴 (1 절 ) 에서 " 풍족하게 " 살다가 (21 절 ) " 흉년 " 이 들므로 모압 지방으로 이사갔다가 (1 절 ) " 여호와께서 내게 비어 " 다시 유다 베들레헴으로 돌아오게 하셨다고 말했습니다 (21 절 ).   그녀는 " 여호와께서 나를 징벌하셨고 전능자가 나를 괴롭게 하셨 " 다고 믿었습니다 (21 절 ).   그래서 나오미는 자기를 " 나오미 " 라 더 이상 부르지 말고  " 나를 마라라 부르라 " 고 말했습니다 (20 절 ). [" 나오미 " 의 뜻은 " 나의 즐거움 ", " 마라 " 의 뜻은 " " 쓰다 " 또는 " 괴로움 " 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