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라벨이 의무인 게시물 표시

소중한 아내/엄마인데 ...

 소중한 아내/엄마인데 ... 제주도에 사는 사랑하는 어느 형제가 저의 부탁을 들어줘서 딜런과 제시카 결혼식 때 찍은 사진을 보냈더니 밑에 사진을 만들어 줬답니다 ㅎㅎ 그런데 희안한 것은 그 형제의 말로는 AI가 제 아내를 인식을 못한다고 하네요 ㅎㅎㅎ Mystery네요 ㅎㅎㅎ 왜 original 사진은 6명인데 제 아내를 인식을 못하는지 좀 이상하지만 제가 그 형제에게 어쩌면 하나님의 뜻이 있는 것 같다라고 말하면서 여기에 좀 글을 써서 나누겠다고 말했답니다 ㅎㅎ 제가 좀 나누고자 하는 것은 뭐냐면 제 아내 또는 세 자녀들의 엄마인 김(오)현영(Jane)이는 우리 가정에 없어서는 안되는 사람인데도 불구하고 AI가 인식을 못하듯이(그런데 AI이네요 ㅋㅋㅋ) 어쩌면 남편이 저나 세 자녀들이(이젠 며느리까지? ㅎㅎ) 아내/엄마의 소중함을 인식하지 못하지 않나 생각합니다. 좀(?) 슬픈 현실인 것 같아요, 아내/엄마라는 존재가요. 그리도 희생적으로 가정을 위해서 고생을 많이 하는데도 불구하고 남편이나 자녀들이 아내/엄마의 희생적인 사랑을 머리로는 좀 알면서도 실제로 삶 속에서는 인식(?)을(여기선 "인식"이란 단어보다 "인정"이란 단어가 적합하겠네요) 잘 못하고(안하고? ㅠ) 살고 있는 것 같아서요. 제가 밑에 사진을 저희 여섯 식구 카톡방에 나누고 싶어도 제 아내가 없어서 나누기가 좀 곤란하네요. 혹시나 아내가 섭섭해 하지 않을까 생각이 되어서요 ㅠ [근디 어떻게 AI 사진에 제 모습은 완전 할아버지네요 ㅎㅎㅎ] 다른 지체가 이렇게 만들어 줬습니다. 하하. 감사. 

부모의 의무

  부모의 의무 오늘 토요일 새벽기도회 때 로마서 12장 16절 말씀 중심으로 "분쟁은 기회입니다"란 제목 아래 하나님의 말씀을 선포하면서 자녀 양육에 관하여 부모의 의무에 대해서 여러모로 적용을 해 보았습니다. 그 부모의 의무에 대해서 이렇게 다시금 생각해 보면서 글을 적어내려갑니다: 저희 부부가 세 자녀들의 부모가 된 것은 전적인 하나님의 은혜입니다. 그 말은 저희 부부는 세 자녀들의 부모될 자격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하나님께서 저희 부부에게 귀한 생명들(자녀들)을 선물로 주셨습니다. 하나님께서는 저희 자녀들로 하여금 저희에게 은혜를 받게 하고 계십니다. 그 말은 저의 경우 세 자녀들의 아빠로서 그들에게 잘못하고 죄를 범한 것이 많은데도 불구하고 제 세 자녀들은 저에게 쓰라림(bitterness)이라 원망(resentment)이 없다는 것입니다. 저는 이것이 하나님의 놀라운 은혜요 기적이라 생각합니다. 저는 자녀들에게 은혜와 용서와 사랑을 받는 아빠입니다. 저는 하나님의 은혜로 아내와 결혼한 후 하나님께 은혜의 선물로 첫째 아기 주영(Charis)이를 선물로 받기 전에 제가 사랑하는 아내에게 제 3자인 우리 자녀로 하여금 우리 부부 관계에 개입하지 못하도록 (분명한) 경계선[(clear) boundary]을 긎자고 권면했었습니다. 그런데 그 아기 주영이가 질병을 가지고 태어나는 바람에 저희 부부는 그녀와의 분명한 경계선을 그을 수가 없이 그녀에게 푹 빠져버릴 수 밖에 없었습니다. 그리고 주영이가 제 품 안에서 죽은 후 하나님께서는 딜런(하나님의 회복의 사랑 경험), 예리(하나님의 풍성한 사랑 경험), 그리고 예은[Karis(죽은 첫째 아기 주영이의 영어 이름과 같은 의미("은혜")의 이름임]('하나님은 사랑이십니다'라고 고백케 하셨음)이를 저희 부부에게 선물로 주셨습니다. 그런데 저희 부부는 세 자녀들을 양육하면서 참 많이 다투었던 것 같습니다. 그 말은 저희 부부는 세 자녀들로 하여금 저희 ...

고용인과 고용주의 의무 (2) (골로새서 3장 22절 - 4장 1절)

고용인과 고용주의 의무 (2)     [ 골로새서 3 장 22 절 – 4 장 1 절 ]   그러면 어떻게 고용인의 고용주에게 순종해야 합니까 ?   한 3 가지로 묵상하고자 합니다 :   (1)   고용인은 고용주가 지켜보고 있을 때만 열심히 또는 부지런히 일하면 안 됩니다 .   골로새서 3 장 22 절 상반절 말씀입니다 : “종들아 모든 일에 육신의 상전들에게 순종하되 사람을 기쁘게 하는 자와 같이 눈가림만 하지 말고 …” [( 현대인의 성경 ) “종들은 모든 일에 자기 주인에게 순종하십시오 . 단순히 사람을 기쁘게 하는 사람들처럼 눈가림만 하지 말고 …” ]; ( 엡 6:6 상 ) “눈가림만 하여 사람을 기쁘게 하는 자처럼 하지 말고 …” [( 현대인의 성경 ) “아첨하는 사람처럼 눈가림으로 하지 말고 …” ].   제가 고등학교 때 칼스 주니어 (Carl ’ s Jr.) 라는 햄버거 식당에서 일을 했었습니다 .   아직도 생생하게 기억나는 것은 저는 그 때 미국 사람 메니저 (manager) 가 식당에 와 있으면 열심히 일을 하다가 그 메니저가 식당에 없을 때에는 주방에서 햄버거를 만들면서 몰래 훔쳐 먹었었습니다 . ㅠ   그러다가 제가 대학교에 가서도 대학 후배 자매의 부모님이 운영하시는 가게에서 일을 했었는데 그 때에도 가게 주인되시는 후배의 부모님이 가게에 오시면 그분들 보는데서 열심히 일을 하다가 그분들이 가시고 나면 더 이상 열심히 일하는 척하지 않고 그냥 제 편안한대로 일을 했었습니다 .   오늘 본문 골로새서 3 장 22 절 상반절을 보면 성경은 “종들아 모든 일에 육신의 상전들에게 순종하되 사람을 기쁘게 하는 자와 같이 눈가림만 하지 말”라고 말씀하고 있습니다 .   여기서 “눈가림”이란 영어로 “ eyeservice ”라고 번역을 했는데 그 의미는 “주인 눈앞에서만 일함”입니다 ( 네이버...

고용인과 고용주의 의무 (2)

고용인과 고용주의 의무 (2)     고용인은 애매히 까다로운 고용주에게 고난을 받아서 슬픔을 당해도 참고 순종해야 합니다 .   그 첫 번째 이유는 오직 선을 행함으로 고난을 받고 참는 것이 하나님 앞에서 아름답기 때문입니다 . ( 벧전 2:19-20) “애매히 고난을 받아도 하나님을 생각함으로 슬픔을 참으면 이는 아름다우나 죄가 있어 매를 맞고 참으면 무슨 칭찬이 있으리요 오직 선을 행함으로 고난을 받고 참으면 이는 하나님 앞에 아름다우니라 . ”   또 한가지 이유는 고용인은 선을 행함으로 고난을 받고 참음을 위하여 부르심을 받았기 때문입니다 .   이 말은 우리가 직장에서 신적 소명 의식을 갖아야 할 것을 도전하고 있습니다 .   ( 벧전 2:21) “이를 위하여 너희가 부르심을 입었으니 그리스도도 너희를 위하여 고난을 받으사 너희에게 본을 끼쳐 그 자취를 따라 오게 하려 하셨느니라 . “   예수님을 믿는 고용인은 예수님의 발자취를 따르기 위하여 부르심을 입었습니다 .   그 발자취는 결코 편안하고 고난이 없는 발자취가 아닙니다 .   그러므로 그는 예수님의 본을 본받아서 까다로운 고용주에게 괴롭힘을 당하고 애매히 고난을 받을지라도 “하나님의 생각하므로” 슬픔을 참고 이겨 나아가므로 하나님께 영광을 돌려야 합니다 .

저는 ‘목사’라고 칭함을 받기도 부끄러운 보잘 것 없는 사람인데 ...

저는 ‘목사’라고 칭함을 받기도 부끄러운 보잘 것 없는 사람인데 ... 저는 ‘ 목사 ’ 라고 칭함을 받기도 부끄러운 보잘 것 없는 사람인데 주님께서는 저를 부르시사 “… 내가 … 내 교회를 세우리니 …”( 마태복음 16:18) 라는 약속의 말씀을 주시고 승리장로교회로 다시 보내셨습니다 .   그러므로 저의 의무는 하나님께서 저에게 주시는 말씀을 하나님의 양떼들에게 성실하게 전하는 것입니다 ( 참고 : 아모스 7:12-15; 고린도전서 1:28, 15:9; 고린도후서 12:11; 에베소서 3:8, 현대인의 성경 ).

감사하는 마음으로 하나님 아버지께 찬양하는 가정 (5) (골 3:18~21)

믿음의 여인들인 여자 성도님들, 하나님의 말씀은 분명합니다. 하나님의 말씀은 여러분들이 남편에 복종하라는 것입니다(골3:18; 엡5:22; 벧전3:1, 5). 왜(why) 아내는 남편에게 복종해야 하나요?  어떻게(how) 복종해야 하나요?  무엇에(what) 복종해야 하나요? (20분 31초 설교 동영상임). https://youtu.be/cdSuY8SQzx8?si=MXywymDEXGqrh41L  

"아이를 위해 부모는 '행복한 의무'가 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277/0005186415?sid=110   "내 주변의 많은 부모들이 아이를 위해 희생하는 것이 아이를 행복하게 만든다고 믿는다. 주 양육자의 모든 일상이 아이에게 맞춰지는 일도 많다. 그러나 그런 부모의 삶이 한 개인으로서 행복하기란 어렵다. 그것은 모두를 불행으로 이끈다. 대신 부모가 행복한 모습을 보이면, ...." "부모의 역할은 목적지와 그 경로를 정해주는 데 있지 않다. 아이들에게 튼튼한 자전거를 준비해 주고 그들이 나아갈지 모를 길을 안전하게 정비하는 것, 그게 부모의 일이다." ----- 주님께서 저에게 주셨고 지금도 주시고 계시는 가정 사역에 대한 마음 중 제일 마음이 많이 가는 것이 부부 관계입니다. 그 다음이 바로 부모와 자녀와의 관계인데 특히 저는 어머니와 자녀와의 관계에 대해서 마음이 많이 나아갑니다. 아마도 그 이유는 어머니의 입장에서는 자녀를 최선을 다해서 사랑하고 있지만 그 최선의 사랑이 자녀에게는 최선이 아니라 최악이 될 수 있다는 큰 위험을 엿보고 있기 때문인 것 같습니다. 그래서인지 이 밑에 기사를 읽으면서도 글쓴이가 먼저 부모가 행복해야 한다, 부모이기 전에 한 개인으로서 아버지나 어머니가 행복해야 한다 라고 강조하는 말에 저는 동의를 하면서 또한 "부모의 역할은 목적지와 그 경로를 정해주는 데 있지 않다"라는 말도 동의를 합니다. 한 1-2시간 전에도 사랑하는 아내가 내일 토요일 조카 장례식을 참석함에 있어서 준비하는 과정에서 딜런, 예은이 또한 예리도 이런 저런 말을 저에게 했는데 제가 아내에게 반복해서 말한 내용의 핵심은 '자녀가 자기가 알아서 하겠지 ...'였습니다. 저는 하나님이 딜런, 예리, 예은이를 제일 사랑하신다고 믿습니다. 그리고 이 믿음에 더욱더 견고히 서 있고 싶습니다. 그래서 저는 하나님을 믿는 믿음으로 자녀들을 믿고 지지하고 싶습니다. 그 과정에서 ...

왜 그들이 약속을 먼저 다 지키는 것을 확인한 후 길르앗 땅을 주게 했을까요?

왜 그들이 약속을 먼저 다 지키는 것을 확인한 후 길르앗 땅을 주게 했을까요?  모세는 르우벤 자손과 갓 자손의 요청을 즉각 들어주지 않고 그들이 약속한 대로 이행을 다 한 후에 길르앗 땅을 그들에게 주게 했습니다 .   그러나 만일 그들이 약속을 이행하지 않으면 길르앗 땅을 주지 않고 약속의 땅인 가나안 땅에서 나머지 이스라엘 자손들과 함께 당을 분배 받도록 했습니다 ( 민수기 32:29-30, 현대인의 성경 ).   이 말씀을 묵상할 때   저는 모세는 르우벤 자손과 갓 자손을 믿고 ( 신뢰하고 ) 그들에게 먼저 길르앗 땅을 줄 수도 있었을 텐데 그리하지 않고 왜 그들이 약속을 먼저 다 지키는 것을 확인한 후 길르앗 땅을 주게 했을까 라는 의문이 듭니다 .   그것은 이스라엘의 지도자 모세에게는 르우벤 자손과 갓 자손이 원하는 길르앗 땅을 그들에게 주는 것보다 그들이 한 약속을 지켜 나머지 이스라엘 자손들과 함께 하나님께서 그들에게 주시기로 약속한 가나안 땅을 " 정복 " 하는 것이 우선이었기 때문이라 생각합니다 .   그 하나님의 약속이 성취될 때까지 르우벤 자손과 갓 자손도 다른 이스라엘 자손들과 함께 먼저   의무를 감당한 후에야 그들이 원하는 길르앗 땅을 주게 한 것입니다 .   만일 이 생각이 맞다면 , 교회의 지도자는 주님께서 주님의 교회를 세우시겠다는 약속의 말씀 ( 마태복음 16:18) 이 먼저 성취되는 과정에 온 교우들이 함께 각자의 의무를 다 감당하는 것을 우선시해야 한다는 생각입니다 .   

말한 후 그렇게 하지 않으면 ...

말한 후 그렇게 하지 않으면 ...  " 먼저 " 가정의 " 의무 " 를 다한 후 ( 또는 다하면서 ) 교회의 의무를 솔선수범하여 다하겠다고 말한 후 그렇게 하지 않으면 우리는 하나님께 죄를 범한 것이 되어 그 죄의 대가를 치러야 할 것입니다 ( 참고 : 민수기 32:16-23, 현대인의 성경 ).

"먼저" 감당해야 할 "의무"는 ...

"먼저" 감당해야 할 "의무"는 ... 많은 가축이 있었던 르우벤 자손과 갓 자손은 모세에게 가축을 기르기에 적합한 요단강   동편에서 " 먼저 " 가축을 기를 우리를 만들고 자신들의 아이들을 위해 성을 건축하여 요새화된 안전한 곳에 살도록 한 후에 무장하고 이스라엘 백성이 요단강 서편인 정착지에 도찰할 때까지 그들의 선두에서 싸우고 그들이 그 곳에서 땅에 분배 받을 때까지는 자신들이 집으로 돌아오지 않겠다고 말했습니다 ( 민수기 32:1-18).   이 말씀을 묵상할 때 르우벤 자손과 갓 자손은 먼저 가정의 의무를 감당한 후에 이스라엘 백성으로서 " 의무 " 를 다하려고 했다고 생각합니다 (20 절 , 현대인의 성경 ).   만일 이것이 사실이라면 여기서 얻는 교훈은 우리는 " 먼저 " 가정의 " 의무 " 를 충실히 감당하면서 교회 공동체의 일원으로서 의무를 솔선수범하여 감당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

나는 아버지로서 ...

나는 아버지로서 ...  나는 아버지로서 하나님께서 잠시 내게 맡겨 주신 세 자녀들을 위한 의무를 수행함에 있어서 사랑하는 아내의 임무는 나를 돕는 일이다 ( 참고 : 민수기 3:8-9, 현대인의 성경 ).

위선은 ...

위선은 ... " 사실상 위선은  고통을 회피하고 또한  우리들을 고통받도록 하는 의무를  무시하게 되는 흔한 방법인 것이다 ."   ( 리차드 백스터 , " 참된목자 ")

의무를 태만히 하는 목사

의무를 태만히 하는 목사 목사로서 주님께서 은혜로 주신  가정 사역과 교회 사역의 의무를  균형있게 감당하지 않고 태만히 하고 있는 자는  자신의 죽음을 준비하고 있지 않고 있을뿐만 아니라  주님 앞에 설 준비도 하고 있는 것이 아닙니다 .   ( 리차드 백스터의 " 참된 목자 " 를 읽으면서 )

하나님 앞에서 우리의 의무를 감당해야 하는데 ...

하나님 앞에서 우리의 의무를 감당해야 하는데 ... 하나님은 다윗을  사울 왕의 손에 넘기지 않으셨는대도 불구하고  십 사람들은 다윗을  사울 왕의 손에 넘기는 것이 자기들의 의무라고  사울 왕에게 말했습니다 .   그 때 사울 왕은 십 사람들에게  " 여호와께 복 받기를 원하노라 " 고 말했습니다 ( 사무엘상 23:14, 20-21).   하나님을 두려워하기 보다 사람을 두려워하므로  하나님의 뜻을 행하는 의무를 감당하지 않고  그 사람의 뜻을 행하는 것을 자기 의무로 여기므로  그 사람에게 축복의 말을 듣는 것이 무슨 의미가 있습니까 ?

남편의 성경적 의무들

  1. 첫 번째 의무: 남편은 주님 예수님의 살아있는 그림인 것을 항상 기억하고 있어야 합니다 (the first duty: a husband must always remember that as a husband he is a living picture of  the Lord Jesus.) a. 남편은 진실 되게 말해야 합니다 (a husband ought to speak truthfully.) (i) 남자가 그 아내를 어떻게 대하느냐에 따라 그가 그리스도에 대하여 진실 되게 말하는지 안 하 는지 알 수가 있습니다(the way of the man treats his wife will determine whether he is  speaking the truth about Christ or not). 2. 두 번째 의무: 남편은 자기 몸을 돌보듯이 아내를 양육하고 보호해야 합니다 (엡 5:29) (the second duty: a man must nourish and cherish his wife in the same way that he cares for  his own body). a. 만일 남자가 자기 아내를 특별히 또한 부드럽게 돌보지 안으면서 그녀가 열매맺으며 또한 사랑 스럽기를 기대한다면 진정한 남편이 절대 아닌 것입니다(a man who does not take particular  and tender care of his wife, and who then expects her to be fruitful and lovely, is not  being a true husband at all). 3. 세 번째 의무: 남편은 질투해야 하며 또한 아내를 보호해야 합니다(출34:14b).     (the third duty: a husband must be jealous and protective). a. 남편에게는 경건한 질투가 있어야 합니다. 그러나 이러한 남자의 질투는 죄...

아내의 성경적 의무들

  1. 첫 번째 의무: 아내는 자기의 남편을 꼭 존중해야 합니다 (엡 5:22, 33).     a. 여기서 말하는 존중이란 “경의/존경”과 “순종”을 수반합니다. 2. 두 번째 의무: 아내는 하나님의 섭리 가운데서 자녀를 해산해야 합니다(딤전 2:15).     a. 또한 아내는 자녀들을 양육하며 매우 부드러움으로 돌봐야 합니다(살전 2:7)     b. 아내는 그녀의 다산에 대해 불평하면 안됩니다.     c. 아내는 그녀의 다산에 대해서도 자랑을 하면 안됩니다. 3. 세 번째 의무: 아내들은 집안에서 부지런해야 합니다(딤전 2:3-5).     a. 젊은 여자들은 집 안일을 해야 할뿐만 아니라 집에 있어서 생산적이 되야 합니다.         (i) 만일 여인이 유능하면 때가 되면 그녀의 공업이 그녀로 하여금 집밖으로 데리고 나아갈 것입             니다 (잠언 31:10-31).         (ii) 그러나 집이 그녀의 먼저 우선 순위가 되야합니다.              (1) 아내는 집을 음식과 옷으로 잘 공급해야 합니다(잠 31:14, 21). 4. 네 번째 의무: 아내는 남편의 성적 필요성을 충족시켜줘야 합니다 (고전 7:2-5).     a. 그러므로 성적 타락으로부터 보호를 받아야 합니다. 5. 다섯 번째 의무: 아내는 바가지 긁는 것과 다투는 것을 조심해야 합니다(잠 19:13b; 27:15-16).     a....

부부간의 이행할 의무

  부부간의 이행할 의무 ( 고린도전서  7 장  1-7 절 말씀 묵상 )   여러분은 결혼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  우리 싱글 형제 ,  자매들 ,  결혼을 해야 합니까 말아야 합니까 ?  취업포탈 잡코리아가 남녀 직장인  633 명을 대상으로  ‘ 직장인 결혼관 ’ 에 대해 설문조사한 결과를 보니까 미혼 직장인의  50.2% 가  ‘ 결혼해도 그만 안해도 그만 ’ 이라고 대답했다고 합니다 ( 인터넷 ).  특히 이러한 대답은 남자보다 여자들이 더 많이 했다는 것을 보면 여자들이 직장을 갖고 다름대로 경제적으로 독립도 된 상태에서 구지 남자하고 결혼해서 구속을 받고 싶지 않아서 그런 이유도 있는 것 같습니다 .  요즘 세대 젊은이들이 결혼을 어떻게 바라보고 있는지 그들의 심리를 대락 네 가지로 나눈 글이 여러분과 나눕니다 ( 인터넷 ):    (1)  첫째는  “ 결혼 환상파 ” 입니다 .  결혼 환상파는 헐리웃 영화나  TV  드라마에 등장하는 미남미녀의 달콤한 로맨스와같은 결혼을 꿈꾸는 어리숙한 젊은이들을 가리킵니다 .   (2)  둘째는 , “ 결혼 무시파 ” 입니다 .  결혼무시파 젊은이들은 결혼환상파 젊은이들과 대조적으로 결혼에는 관심 없다는 듯 뒷전에 밀어놓고 자아성취 ,  커리어 추구에 더 촛점을 맞추어 독신의 삶을 즐기는 듯하지만 그렇다고 결혼은 완전히 포기한 것도 아닌 젊은이들을 가리킵니다 . (3)  셋째는 , “ 결혼 도피파 ” 입니다 .  이파 젊은이들은 사랑이 결핍된 가정에서 성장하는 동안 아동기에 받은 상처로 인하여 결혼과 가정에 대한 부정적인 개념에 사로잡혀 결혼을 비판하고 회피하려는 사람들을 가리킵니다 .   (4)  넷째는 , “ 결혼 추월파 ” 입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