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라벨이 직분인 게시물 표시

하나님의 나라에 합당한 생활을 하는 것이란 ...

하나님의 나라에 합당한 생활을 하는 것이란 그리스도의 복음에 합당하게 생활하는 것이요 , 하나님의 나라의 열매를 맺는다는 것이란 그리스도의 복음의 열매를 맺는다는 것입니다 . 즉 , 우리는 예수님과 복음을 위해 우리 생명을 버리는 예수님의 제자들로서 ( 막 8:35, 현대인의 성경 )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에 합당하게 생활하면서 ( 삶으로 복음전도 ) 우리의 입술로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을 전하므로 하나님께 복음의 열매를 맺어드려야 한다는 것입니다 .  

미련한 사람은 돈으로 교회 안에서 직분을 사려고 하니 이 얼마나 어리석은 일입니까!

미련한 사람은 돈으로 교회 안에서 직분을 사려고 하니 이 얼마나 어리석은 일입니까 ! 지각없는 바보가 돈으로 지혜를 사겠다는 것이 얼마나 어리석은 일입니까 ? ( 잠언 17:16, 현대인의 성경 )   미련한 사람은 돈으로 교회 안에서 직분을 사려고 하니 이 얼마나 어리석은 일입니까 !

사명의 받은 교회의 일꾼 (3)

사명의 받은 교회의 일꾼 (3)       우리에게 주어진 직분은 우리가 그 직분을 받을 자격이 있어서가 결코 아니라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은혜로 주신 선물입니다 .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다양한 직분을 주신 목적은 성도들을 온전하게 하여 봉사의 일을 하게 하고 그리스도의 몸 된 교회를 자라게 하신 위한 것입니다 ( 엡 4:11-12).   우리는 우리 직분이 비난을 받지 않게 하기 위해서 아무에게도 거치는 장애물 ( 걸림돌 ) 이 되지 않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 고후 6:3).   바울은 자신의 사역을 주님의 청지기 직분으로 여겼습니다 .   주님께서 그에게 주신 사명은 하나님의 말씀을 골로새 교회 성도들에게 아낌없이 전하라는 것이었습니다 .   여기서 바울이 말씀하고 있는 “하나님의 말씀”은 “이 비밀”로서 지금까지 감추어져 있었으나 신약에서 처음으로 하나님의 성도들에게 계시된 진리를 가리킵니다 ( 맥아더 ).   그리고 하나님께서는 이 비밀의 영광이 이방인 가운데 얼마나 풍성한지를 알게 하셨는데 그것은 구약에서 예언한 메시야가 오는 것이요 또한 메시야가 오시면 이방인들도 구원에 참여할 것이라는 것이었습니다 .   이 비밀은 우리 안에 계신 그리스도니 곧 영광의 소망이십니다 .   그래서 바울은 영광의 소망이신 그리스도를 아낌없이 전했습니다 .   그는 꺼리지 않고 하나님의 뜻을 다 전하는데 일심전력을 했습니다 ( 행 20:27).   우리도 그리해야 합니다 .   그 이유는 이것이 우리의 사명이기 때문입니다 .

사명을 받은 교회의 일꾼 (2)

사명을 받은 교회의 일꾼 (2)       둘째로 , 사명을 받은 교회의 일꾼은 하나님의 말씀을 교회 성도들에게 아낌없이 전합니다 ( 골 1:25).   고 옥한흠 목사님 은 “ 구원 의 감격이 없으면 직분에 대한 감격도 있을 수 없습니다 " 라고 말했습니다 .   나는 직분에 대한 감격이 있는가 ?   만일 없다면 나는 구원의 감격이 없기 때문입니다 .   우리 각자에게 주어진 직분은 우리가 그 직분을 받을 자격이 있어서가 결코 아니라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은혜로 주신 선물입니다 .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다양한 직분을 주신 목적은 성도들을 온전하게 하여 봉사의 일을 하게 하고 그리스도의 몸 된 교회를 자라게 하신 위한 것입니다 .   우리는 우리 직분이 비난을 받지 않게 하기 위해서 아무에게도 거치는 장애물이 되지 않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   바울은 골로새 교회 성도들에게 “나는 하나님의 말씀을 여러분에게 아낌없이 전하라는 사명을 받은 교회의 일꾼입니다”이라고 말했습니다 [ 참고 : “ 복음의 일꾼 ”(23 절 )].   그리고 그는 자기가 교회의 일꾼이 된 것은 하나님이 그 들을 위하여 바울에게 주신 “직분”을 따라 된 것이라 말했습니다 .   여기서 “직분”이란 “청지기”입니다 .   청지기”란 ‘주인의 집을 관리하고 , 다른 종들을 감독하고 , 자원을 분배하고 , 사업과 재정 문제를 처리하는 노예였습니다 .   바울은 자신의 사역을 주님의 청지기 직분으로 여겼습니다 .   교회는 하나님의 집이며 ( 딤전 3:16), 바울은 교회를 돌보고 영의 양식을 먹이고 인도하는 임무를 받았고 , 그 일에 대해 하나님께서는 바울에게 그 책임을 맡기셨던 것입니다 ( 맥아더 ).

총체적 칭의론 (15) (로마서 3장 21-31절)

총체적 칭의론 (15)           [ 로마서 3 장 21-31 절 ]     우리가 “총체적 칭의론”이란 대주제 아래 7 가지 소주제를 묵상하고 있습니다 : (1) 첫 번째 소주제는 “칭의의 필요성”입니다 .   “모든 사람이 죄를 범하였으매 하나님의 영광에 이르지 못하”였기에 ( 롬 3:23) “모든 사람”이 절대적으로 칭의가 필요합니다 .   (2) 두 번째 소주제는 “칭의의 근원”입니다 .   칭의의 근원은 성부 하나님이심 .   성부 하나님께서 의롭다 칭하십니다 ( 롬 3:2).   (3) 세 번째 소주제는 “칭의의 근거”입니다 .   칭의의 근거는 오직 예수 그리스도이십니다 .   성부 하나님께서는 예수 그리스도의 속죄 제물과 화목 제물에 근거로 해서 죄인을 의롭다 하십니다 .   (4) 네 번째 소주제는 , “칭의의 통로”입니다 .   우리는 성부 하나님이 주시는 칭의를 믿음으로만 받습니다 ( 롬 3:22).   (5) 다섯 번째 소주제는 , “칭의의 보편성”입니다 .   성부 하나님은 공의로우신 분이시기에 그분이 행하시는 모든 일이 공평하십니다 .   그러므로 성부 하나님께서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모든 믿는 자”들에게 주시는 “하나님의 의” ( 칭의 ) 는 “차별”이 없습니다 (22 절 ).   (6) ​ 여섯 번째 소주제는 , “ 칭의의 목적 ” 입니다 .   로마서 3 장 25-26 절 말씀입니다 : “이 예수를 하나님이 그의 피로써 믿음으로 말미암는 화목 제물로 세우셨으니 이는 하나님께서 길이 참으시는 중에 전에 지은 죄를 간과하심으로 자기의 의로우심을 나타내려 하심이니 곧 이 때에 자기의 의로우심을 나타내사 자기도 의로우시며 또한 예수 믿는 자를 의롭다 하려 하심이라 . ”   칭의의 목적을 말...

총체적 칭의론 (15) (롬 3장 21-31절)

총체적 칭의론 (15)       [ 로마서 3 장 21-31 절 ]     A. 우리가 “총체적 칭의론”이란 대주제 아래 7 가지 소주제를 묵상하고 있음 . 1.                 1. 첫 번째 소주제는 “칭의의 필요성”임 . a.     “모든 사람이 죄를 범하였으매 하나님의 영광에 이르지 못하”였기에 ( 롬 3:23) “모든 사람”이 절대적으로 칭의가 필요함 .   2.                2. 두 번째 소주제는 “칭의의 근원”임 . a.     칭의의 근원은 성부 하나님이심 .   성부 하나님께서 의롭다 칭하심 ( 롬 3:2).   3.              3. 세 번째 소주제는 “칭의의 근거”임 . a.     칭의의 근거는 오직 예수 그리스도이심 .   성부 하나님께서는 예수 그리스도의 속죄 제물과 화목 제물에 근거로 해서 죄인을 의롭다 하심 .   4.              4, 네 번째 소주제는 , “칭의의 통로”임 . a.     우리는 성부 하나님이 주시는 칭의를 믿음으로만 받음 ( 롬 3:22).   5.               5. 다섯 번째 소주제는 , “칭의의 보편성”임 . a.     성부 하나님은 공의로우신 분이시기에 그분이 행하시는 모든 일이 공평하심 .   그러므...

우리에게 주어진 직분

우리에게 주어진 직분  우리에게 주어진 직분은 우리가 그 직분을 받을 자격이 있어서가 결코 아니라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은혜로 주신 선물입니다 ( 참고 : 민수기 18:7, 현대인의 성경 ).

우리를 능하게 하시는 분은 오직 그리스도 예수님이십니다.

우리를 능하게 하시는 분은 오직 그리스도 예수님이십니다.  우리 주 그리스도 예수님께서 우리를 충성되이 여겨 우리에게 직분을 맡기셨습니다 .   우리는 우리에게 맡기신 바 복되신 하나님의 영광스러운 복음을 전하는 일을 맡았습니다 .   우리를 능하게 하시는 분은 오직 그리스도 예수님이십니다 ( 디모데전서 1:12).

다양한 직분자들이 서로 사이좋게 지내면서 봉사해야 합니다.

다양한 직분자들이 서로 사이좋게 지내면서 봉사해야 합니다.  우리는 주님이 주신 다양한 직분으로 그리스도의 몸된 교회를 봉사할 때 성령님으로 연합하여 사이좋게 지내면서 봉사해야 합니다 ( 에베소서 4:3, 11-12, 현대인의 성경 ).

다양한 직분을 주신 목적?

다양한 직분을 주신 목적?  주님께서 우리에게 다양한 직분을 주신 목적은 성도들을 온전하게 하여 봉사의 일을 하게 하고 그리스도의 몸된 교회를 자라게 하신 위한 것입니다 ( 에베소서 4:11-12, 현대인의 성경 ).

우리 직분이 비난을 받지 않게해야 합니다(고린도후서 6:3).

우리 직분이 비난을 받지 않게해야 합니다 .     “ 우리 직분이 비난을 받지 않기 위해서 우리는 아무에게도 거치는 장애물이 되지 않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 고린도후서 6 장 3 절 , 현대인의 성경 ).               고 옥한음 목사님은 그의 책 “ 옥한음 목사가 목사에게 ” 에서 “ 구원의 감격이 없으면 직분에 대한 감격도 있을 수 없습니다 ” 라고 말했습니다 ( 옥한음 ).   저는 이 말을 다시금 대하면서 제 자신에게 ‘ 과연 나는 직분에 대한 감격이 아직 있는가 ?’ 라는 질문을 던져보았습니다 .   아직도 기억이 납니다 .   약 25 년 전에 제 장인 , 장모님이 섬기시는 애리조나   씨에라 비스타 연합장로 교회에서 노회가 모였을 때 강대상에 무릎을 꿇고 있는 저에게 여러 어르신 목사님들이 제 몸에 손을 얹으시고 목사 안수 기도를 해주셨던 기억이 납니다 .   그 때 제 마음에 있었던 감격과 감사의 눈물이 지금도 저에게 있는지 생각해 볼 때 많이 메마르지 않았나 생각됩니다 .   그만큼 저는 제 직분에 대한 감격이 희미해졌다고 생각합니다 .   이렇게 목사라는 제 직분에 대한 감격은 희미해진 반면에 목사라는 직분에 대한 수치심은 더욱더 또렷해진 것 같습니다 .   아마도 그 이유는 우리 목사님들이 많은 비난을 받을 정도로 거룩하신 하나님과 사람들에게 죄를 많이 범하고 있기 때문이라 생각합니다 .             “ 직분 ” 을 생각할 때 저는 먼저 디모데전서 1 장 12 절 말씀이 생각났습니다 : “ 나에게 힘을 주신 우리 주 그리스도 예수님께 내가 감사하는 것은 나를 충성스러운 사람으로 여겨 나에게 직분을 맡겨 주셨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