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라벨이 거리낌인 게시물 표시

소중한 아내/엄마인데 ...

 소중한 아내/엄마인데 ... 제주도에 사는 사랑하는 어느 형제가 저의 부탁을 들어줘서 딜런과 제시카 결혼식 때 찍은 사진을 보냈더니 밑에 사진을 만들어 줬답니다 ㅎㅎ 그런데 희안한 것은 그 형제의 말로는 AI가 제 아내를 인식을 못한다고 하네요 ㅎㅎㅎ Mystery네요 ㅎㅎㅎ 왜 original 사진은 6명인데 제 아내를 인식을 못하는지 좀 이상하지만 제가 그 형제에게 어쩌면 하나님의 뜻이 있는 것 같다라고 말하면서 여기에 좀 글을 써서 나누겠다고 말했답니다 ㅎㅎ 제가 좀 나누고자 하는 것은 뭐냐면 제 아내 또는 세 자녀들의 엄마인 김(오)현영(Jane)이는 우리 가정에 없어서는 안되는 사람인데도 불구하고 AI가 인식을 못하듯이(그런데 AI이네요 ㅋㅋㅋ) 어쩌면 남편이 저나 세 자녀들이(이젠 며느리까지? ㅎㅎ) 아내/엄마의 소중함을 인식하지 못하지 않나 생각합니다. 좀(?) 슬픈 현실인 것 같아요, 아내/엄마라는 존재가요. 그리도 희생적으로 가정을 위해서 고생을 많이 하는데도 불구하고 남편이나 자녀들이 아내/엄마의 희생적인 사랑을 머리로는 좀 알면서도 실제로 삶 속에서는 인식(?)을(여기선 "인식"이란 단어보다 "인정"이란 단어가 적합하겠네요) 잘 못하고(안하고? ㅠ) 살고 있는 것 같아서요. 제가 밑에 사진을 저희 여섯 식구 카톡방에 나누고 싶어도 제 아내가 없어서 나누기가 좀 곤란하네요. 혹시나 아내가 섭섭해 하지 않을까 생각이 되어서요 ㅠ [근디 어떻게 AI 사진에 제 모습은 완전 할아버지네요 ㅎㅎㅎ] 다른 지체가 이렇게 만들어 줬습니다. 하하. 감사. 

떳떳하게 만들지 못하는 욕심보다 양심에 거리낌이 없는 만족이 낫습니다.

떳떳하게 만들지 못하는 욕심보다 양심에 거리낌이 없는 만족이 낫습니다 .   엘리사 선지자는 나아만의 선물을 거절했지만 엘리사의 사한인 게하시는 나아만에게서 무엇이든지 좀 얻어 오려고 나아만의 뒤를 쫓아가서 “ 내 주인이 나를 당신에게 보내며 에브라임 산간지대에서 두 예언자의 생도가 왔다고 그들에게 줄 은 34 킬로그램과 옷 두 벌을 달라고 말씀하셨습니다 ” 라고 거짓말을 했습니다 .   그러자 나아만은 은 68 킬로그램과 옷 두 벌과 함께 자기의 두 사환에게 주어 게하시 앞에서 메고 가게 했습니다 .   “ 그들이 엘리사의 집 앞에 있는 언덕에 이르렀을 때 게하시는 그 물건을 받아 놓고 두 사환을 돌려보낸 다음 그것을 자기 집에 감추었 ” 습니다 ( 열왕기하 5:16, 20-24, 현대인의 성경 ).   저는 이 말씀을 묵상할 때 여호수아 시대 때 이스라엘 백성들이 여리고 성을 점령한 후 하나님의 명령을 어기고 전리품을 감추므로 하나님께 죄를 범한 아간이 생각났습니다 ( 여호수아 7:1).   아간이나 게하시를 생각할 때 야고보서 1 장 15 절 말씀이 생각납니다 : “ 욕심이 잉태한즉 죄를 낳고 죄가 장성한즉 사망을 낳느니라 ”[( 현대인의 성경 ) “ 욕심이 생기면 죄를 낳고 죄가 자라면 죽음을 낳습니다 ”].   또한 저는 이 말씀을 묵상할 때 욕심은 거짓말을 하게 하고 또한 숨기며 감추게 만든다고 생각합니다 .   떳떳하게 만들지 못하는 욕심보다 양심에 거리낌이 없는 만족이 낫습니다 .

하루를 뒤돌아 보면서 생각하게 된 점들

  오늘 어느 모임을 참석한 후 생각하게된 점들: 나의 무지함과 무식함이 들어나서 부끄럽지만 배움의 기회가 되어 감사하다. 바른 지식을 가지고 있는 것보다 더 중요한 것은 그 바른 지식을 진리이신 주님의 사랑으로 지혜롭게 사용하는 것입니다. 진리의 말씀에 절제되지 않을 정도로 지니친 사랑은 사람을 세우지 못할 뿐만 아니라 덕도 세우지 못합니다. 상대방의 허물을 들춰내므로 나 자신의 의를 들어내기보다 나의 허물을 인정하면서 상대방의 마음을 격려하는게 낫습니다. 남을 세우는 척 말은 하지만 결국은 남을 허무는 말을 하는 것은 이웃 사랑이 아닙니다. 지나친 자부심은 자만하게 만듭니다. 나의 나눔의 글들이 비수가 되어 나에게 돌아와 내 양심을 찌르므로 부끄러움과 거리낌과 머뭇거리게 만들고 있다.

거리낌이 없는 신앙생활을 하고 싶습니다(요한일서 2장 9-11절).

거리낌이 없는 신앙생활을 하고 싶습니다 .       “ 빛 가운데 있다 하면서 그 형제를 미워하는 자는 지금까지 어둠에 있는 자요 그의 형제를 사랑하는 자는 빛 가운데 거하여 자기 속에 거리낌이 없으나 그의 형제를 미워하는 자는 어둠에 있고 또 어둠에 행하며 갈 곳을 알지 못하나니 이는 그 어둠이 그의 눈을 멀게 하였음이라 ”( 요한일서 2 장 9-11 절 ).               거리낌이 없이 주님의 전에 올라가 하나님께 예배를 드리고 싶습니다 .   거리낌이 없이 강단에 서서 하나님의 말씀을 선포하고 싶습니다 .   양심이 가책을 느끼지 않으면서 설교를 하고 싶습니다 .   성도님들 앞에서 뿐만 아니라 하나님 앞에서도 마음을 편안하게 가지고 예배를 인도하고 싶습니다 .   제 자신이 스스로 책망할 것이 없이 마음 것 하나님께 찬양과 경배를 드리고 싶습니다 .             오늘 본문 요한일서 2 장 9-11 절 말씀을 묵상하면서 먼저 2 가지를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   그 두 가지란 첫째로 사도 요한은 대조 (comparison) 를 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   그 대조란 (1) 빛 (9, 10 절 ) 과 어두움 (9, 11 절 ), 그리고 (2) 사랑 (10 절 ) 과 미움 (9, 11 절 ) 입니다 .   둘째로 , 오늘 본문 2 장 9-11 절에서 교차대구법 (chiasm) 을 볼 수가 있습니다 .   저는 쉽게 이것을 ‘ 샌드위치 법 ’ 이라고 부릅니다 :   A    (9 절 )         ...

사랑하기 보다 미워하면

사랑하기 보다 미워하면 우리가 주님의 계명대로 서로 사랑하기 보다 ( 요일 3:23)  오히려 미워하면 (15 절 )  우리 속에는 거리낌이 있어야 하며 (2:10)  또한 우리 양심이 우리를 책망해야 합니다 (3:20-21)

거리낌이 없습니다.

 거리낌이 없습니다. 우리는 빛의 자녀로서  우리의 형제 / 자매를 사랑하므로  빛 가운데 거해야 합니다 . 그리할 때 우리 속에는 거리낌이 없습니다 ( 요일 2:10).

거리낌이 없는 형제 사랑 (요한일서 2장 10절)

  거리낌이 없는 형제 사랑     “ 그의 형제를 사랑하는 자는 빛 가운데 거하여 자기 속에 거리낌이 없으나 ”( 요한일서  2 장  10 절 ).   주일 예배 당에 올라와 하나님께 찬양과 경배를 드린다고 하면서 “ 형제에게 원망들을 만한 일이 있는 줄 ” 알면서도 ( 마 5:23) 그 형제와 먼저 화목하지도 않고 예배를 드릴 때가 얼마나 많습니까 ? 주일 아침 예배당에 올라오면서도 부부가 서로 다툴 때도 있고 , 자식들과도 언짢은 일도 있으며 교회에 와서는 성도들 서로 간에 좀 껄끄러운 관계 속에서 하나님께 찬양과 경배를 드릴 때가 많지 않나 생각합니다 . 예수님께서는 예배드리기 전에 “ 가서 형제와 화목하고 그 후에 와서 ” 예배를 드리라고 말씀하고 계십니다 ( 마 5:24). 과연 우리는 이 예수님의 말씀에 순종하고 있습니까 ? 왠지 교회란 공동체 안에서도 서로의 관계가 껄끄러운 사람들이 좀 있지 않나 생각합니다 . 서로 껄끄러운 관계이면서도 표면적으로는 예배당에 올라와 서로 악수나 인사를 하면서 한 자리에 앉아 거룩하신 하나님께 예배를 드리고 있는 것을 보면 참으로 인간의 사랑은 연약하고 부족하며 신뢰할 수 없는 것은 확실합니다 . 그러기에 우리는 오직 하나님의 사랑으로 서로 사랑해야 합니다 . 우리 안에 거하시는 성령님께서 사랑의 열매를 맺게 하시므로 말미암아 그 하나님의 사랑으로 형제가 서로 사랑할 때 우리는 교회의 통일성 ( unity ) 을 지켜 나아갈 수 있습니다 . 이러한 형제 사랑을 가리켜 저는 오늘 본문 요한일서 2 장 10 절에 근거하여 ‘ 거리낌이 없는 형제 사랑 ’ 이라고 말하고 싶습니다 . 그러나 만일 우리 안에 존재하고 있는 형제 사랑에 관한 거리낌이 있다면 그 거리낌은 왜 있는 것입니까 ? 그 이유는 바로 형제를 미워하기 때문입니다 ( 요일 2:11). 입술로는 형제를 사랑한다고 말할지 모르지만 마음으로는 형제를 미워하는 죄를 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