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라벨이 인 게시물 표시

천국 시민이요 미국 시민인 "동전 목사님"의 책임?

천국 시민이요 미국 시민인 "동전 목사님"의 책임?       악한 포도원 농부 비유가 자기들을 가리켜 한 말인 줄 알고 예수님을 잡으려고 했으나 군중들이 두려워 예수님을 잡지 못하고 그냥 가 버렸던 대제사장들과 율법학자들 ( 서기관들 ) 과 장로들은 어떻게 해서든지 구실을 붙여 예수님을 잡으려고 바리새파 사람들과 헤롯 당원 중 몇 사람을 예수님께 보내 이렇게 물어보게 하였습니다 : “선생님 , 우리가 알기에 선생님은 진실하셔서 사람의 겉모양을 보지 않으시고 진리대로 하나님의 교훈을 가르치시기 때문에 누구에게도 거리낌이 없으십니다 .   그런데 로마황제에게 세금을 바치는 것이 옳습니까 , 옳지 않습니까 ?   우리가 바쳐야 합니까 , 바치지 말아야 합니까 ? ”   그러나 예수님은 그들의 위선을 아시고 “왜 나를 시험하느냐 ?   데나리온 하나를 가져와 내게 보여라”하고 말씀하셨습니다 .   그들이 그것을 가져오자 예수님은 “이 초상과 글이 누구의 것이냐 ? ”하고 물으셨습니다 .   그들이 “황제의 것입니다”하고 대답하자 예수님이 “황제의 것은 황제에게 , 하나님의 것은 하나님께 바쳐라”하고 말씀하셨습니다 .   그래서 그들은 예수님의 말씀을 듣고 말문이 막혀 버렸습니다 ( 마가복음 12:12-17, 현대인의 성경 ).   저는 이 말씀을 마태복음 22 장 15-22 절과 누가복음 20 장 19-26 절 현대인의 성경 말씀과 연관해서 묵상할 때 오늘은 예수님께서 “데나리온 하나를 가져와 내게 보여라” [“ 세금으로 바치는 돈을 내게 보여라 ”( 마태복음 22:19, 현대인의 성경 )] 하고 말씀하시자 바리새파 사...

열매로 그 나무를 알 수 있듯이 ...

 열매로 그 나무를 알 수 있듯이 ... 열매로 그 나무를 알 수 있듯이 선한 사람은 마음 속에 쌓인 선으로 선한 말을 하지만 악한 사람은 마음 속에 쌓인 악으로 악한 말을 합니다 .   바리새인들과 같은 교인들은 마음에 가득찬 것이 악이기에 결코 선한 말을 할 수가 없습니다 ( 마태복음 12:33-35, 현대인의 성경 ).

하나님께서는 결코 그 기도를 응답하지 않으실 것입니다.

하나님께서는   결코   그   기도를   응답하지   않으실   것입니다 .   정의를 실현해야 할 목사와 장로들이 선을 미워하고 악을 좋아하면서 아무리 하나님께 부르짖는다 할지라도 하나님께서는 결코 그 기도를 응답하지 않으실 것입니다 .   우리가 악을 행하였으므로 우리가 기도할 때 하나님께서는 외면하실 것입니다 ( 참고 : 미가 3:1-4, 현대인의 성경 ).   행함이 없는 믿음은 죽은 믿음인 것처럼 ( 야고보서 2:17) 행함이 없는 기도는 죽은 기도입니다 .

나라의 지도자들은 정의를 실현해야 할 사람들인데 ...

나라의 지도자들은 정의를 실현해야 할 사람들인데 ... 나라의 지도자들은 정의를 실현해야 할 사람들인데 만일 그들이 선을 미워하고 악을 좋아하고 있다면 시민들은 얼마나 고통을 당하겠습니까 ?   교회도 마찬가지입니다 .   교회의 지도자들인 가르치는 장로 (Teaching Elder, TE) 인 목사와 치리하는 장로 (Ruling Elder, RE) 가 선을 미워하고 악을 좋아하므로 정의를 실현하지 않고 있다면 그 교회의 교인들은 얼마나 상처를 입고 고통을 당하겠습니까 ?   나라나 교회의 문제는 지도자들인 우리입니다 ( 참고 : 미가 3:1-3, 현대인의 성경 ).

주님의 종은 계속해서 묵묵히 믿음으로 하나님의 말씀을 대언해야 합니다.

주님의 종은 계속해서 묵묵히 믿음으로 하나님의 말씀을 대언해야 합니다. 참 선지자인 예레미야와 같은 주님의 종은 자기를 대적하는 사람들이 선을 악으로 갚고 자기를 잡아 죽이려고 음모를 꾸며 함정을 파고 자기의 발이 걸리도록 덫을 놓는다 할지라도 계속해서 묵묵히 믿음으로 하나님의 말씀을 대언해야 합니다 ( 참고 : 예레미야 18:19-20, 22, 23, 현대인의 성경 ).

선을 베풀 능력이 있거든

선을 베풀 능력이 있거든 우리에게 가진 것이 있어서 선을 베풀 능력이 있거든 그것을 필요로 하는 자에게 ‘ 갔다가 다시 오세요 .   내일 주겠습니다 ’ 라고 말하듯이 베풀기를 주저하지 말아야 합니다 ( 참고 : 잠언 3:27-28, 현대인의 성경 ).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평안을 누리게 하실 것입니다.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평안을 누리게 하실 것입니다. 만일 우리가 아사 왕처럼 하나님 보시기에 선과 정의를 행하되 모든 우상을 없애 버리고 하나님을 찾고 그분의 말씀 ( 계명 ) 에 순종하면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평안을 누리게 하실 것입니다 ( 참고 : 역대하 14:1-5).

“어쩌면 하나님께서 내가 당하는 어려움을 보시고 …” (사무엘하 16장 12절)

“ 어쩌면 하나님께서 내가 당하는 어려움을 보시고 … ”         “혹시 여호와께서 나의 원통함을 감찰하시리니 오늘 그 저주 때문에 여호와께서 선으로 내게 갚아 주시리라 하고” [( 현대인의 성경 ) “어쩌면 여호와께서 내가 당하는 어려움을 보시고 오늘의 이 저주로 인해서 나를 축복해 주실지도 모른다” ]( 사무엘하 16 장 12 절 ).       오늘 이 시간 우리 모두 저주의 나무 ( 신 21:23) 인 십자가에 못박혀 죽으신 예수님을 생각하십시다 .   당시 유대인들의 관점에서는 나사렛 예수가 자칭 하나님의 아들이라고 하여 신성모독 죄 ( 마 26:65)) 로 하나님께 저주를 받아 십자가에 못박혀 죽었다고 생각했습니다 .   그러나 참 하나님의 아들이신 예수님께서 저주의 나무인 십자가에 못박혀 죽으신 이유는 영원히 저주받아 영원히 멸망 받을 수밖에 없었던 우리의 모든 죄를 사하시고 구원하시기 위해서였습니다 .   우리는 충분히 저주를 받아 마땅한 이유가 있지만 예수님께서는 저주의 나무에 죽으실 아무 이유도 없으심에도 불구하고 우리의 모든 죄를 대신 걸머지시고 십자가에 못박혀 죽으셨습니다 .   그 이유는 주님께서는 우리에게 임한 저주를 돌이켜 우리에게 영생의 축복을 주시기 위해서였습니다 ( 신 23;5, 느 13:2, 엡 1:3ff).   이 영생의 축복과 모든 영적인 축복을 받은 우리는 어떻게 살아가야 할까요 ?   우리는 예수님의 제자들로서 까닭 없는 비난을 받고 욕을 먹으며 심지어 저주를 받을지라도 묵묵히 주님의 말씀에 복종하여 우리에게 주어진 사명을 감당해야 합니다 .   우리가 그렇게 하기 위해선 우리는 신뢰하는 하나님께 기도하며 또한 신뢰하는 하나님의 말씀을 묵상해야 합니다 .   오늘 본문 사무엘하 16 장 12 절을 보면 다윗은 아비새와 그의 모든 신하들에게 (1...

“어쩌면 하나님께서 내가 당하는 어려움을 보시고 …” (2) (사무엘하 16장 12절)

“ 어쩌면 하나님께서 내가 당하는 어려움을 보시고 … ” (2)         “혹시 여호와께서 나의 원통함을 감찰하시리니 오늘 그 저주 때문에 여호와께서 선으로 내게 갚아 주시리라 하고” [( 현대인의 성경 ) “어쩌면 여호와께서 내가 당하는 어려움을 보시고 오늘의 이 저주로 인해서 나를 축복해 주실지도 모른다” ]( 사무엘하 16 장 12 절 ).       둘째로 , 우리 하나님은 그 저주 때문에 선으로 우리에게 갚아 주십니다 .   달리 말한다면 , 우리 하나님은 저주를 돌이켜 우리를 축복해 주십니다 .   잠언 26 장 2 절을 보면 성경은 “까닭 없는 저주는 참새가 떠도는 것과 제비가 날아가는 것 같이 이루어지지 아니하느니라”고 말씀하고 있습니다 .   여기서 “까닭 없이 저주”하는 사람은 미련한 사람이요 그 저주는 공의롭지 않은 저주 (an unjust curse ) 일 수밖에 없습니다 .   성경은 이 미련한 사람의 공의롭지 않는 저주는 마치 “참새가 떠도는 것과 제비가 날아가는 것 같”다고 말씀하고 있습니다 ( 잠 26:2).   무슨 뜻입니까 ?   여기서 참새가 “떠도는 것”은 ‘목적이 없기’ (aimless) 때문입니다 .   그러기 때문에 목적 없이 하늘에서 떠도는 참새는 어디에 착륙 (landing) 해야 할지 몰라 그냥 허공에서 맴돕니다 .   바로 까닭 없는 저주가 그렇다는 말입니다 .   즉 , 목적이 없다는 것은 저주의 실패를 상징합니다 .   그래서 성경은 “까닭 없는 저주는 … 이루어지지” 않는다고 말씀하고 있습니다 .   다시 말하면 , 공의롭지 않은 저주는 그대로 성취되지 않는다는 말씀입니다 .   예를 들어 , 골리앗이 블레셋 신들의 이름으로 다윗을 저주했지만 ( 삼상 17:43-44), 다윗은 도리어 승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