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중한 아내/엄마인데 ... 제주도에 사는 사랑하는 어느 형제가 저의 부탁을 들어줘서 딜런과 제시카 결혼식 때 찍은 사진을 보냈더니 밑에 사진을 만들어 줬답니다 ㅎㅎ 그런데 희안한 것은 그 형제의 말로는 AI가 제 아내를 인식을 못한다고 하네요 ㅎㅎㅎ Mystery네요 ㅎㅎㅎ 왜 original 사진은 6명인데 제 아내를 인식을 못하는지 좀 이상하지만 제가 그 형제에게 어쩌면 하나님의 뜻이 있는 것 같다라고 말하면서 여기에 좀 글을 써서 나누겠다고 말했답니다 ㅎㅎ 제가 좀 나누고자 하는 것은 뭐냐면 제 아내 또는 세 자녀들의 엄마인 김(오)현영(Jane)이는 우리 가정에 없어서는 안되는 사람인데도 불구하고 AI가 인식을 못하듯이(그런데 AI이네요 ㅋㅋㅋ) 어쩌면 남편이 저나 세 자녀들이(이젠 며느리까지? ㅎㅎ) 아내/엄마의 소중함을 인식하지 못하지 않나 생각합니다. 좀(?) 슬픈 현실인 것 같아요, 아내/엄마라는 존재가요. 그리도 희생적으로 가정을 위해서 고생을 많이 하는데도 불구하고 남편이나 자녀들이 아내/엄마의 희생적인 사랑을 머리로는 좀 알면서도 실제로 삶 속에서는 인식(?)을(여기선 "인식"이란 단어보다 "인정"이란 단어가 적합하겠네요) 잘 못하고(안하고? ㅠ) 살고 있는 것 같아서요. 제가 밑에 사진을 저희 여섯 식구 카톡방에 나누고 싶어도 제 아내가 없어서 나누기가 좀 곤란하네요. 혹시나 아내가 섭섭해 하지 않을까 생각이 되어서요 ㅠ [근디 어떻게 AI 사진에 제 모습은 완전 할아버지네요 ㅎㅎㅎ] 다른 지체가 이렇게 만들어 줬습니다. 하하. 감사.
"복음으로 정말로 새롭게 되었다면 죄와 은혜를 균형 있게 이해하게 됩니다. 그 말은 겸손하고 동시에 담대하다는 겁니다. 아시겠죠? 겸손하여 죄인처럼 느끼지만 은혜에 대한 의식이 매우 커서 담대하고 자신감이 넘칩니다. 도덕주의자나 상대주의자는 이러한 균형감이 없습니다. 도덕주의자들은 늘 뭔가 불안하고 걱정에 싸여 있거나 지나친 자기 의에 빠져 있습니다. 물론 상대주의자들은 자신감에 넘쳐서 ‘내가 살고 싶은 대로 살아도 되 내가 살고 싶은 대로 살 거야’라는 식이죠. 하지만 복음은 독특하게 겸손함과 담대함 간의 균형을 만듭니다. 말하자면 그들에게 절박함이 있는가 하면 또한 엄숙함이 있습니다. 그들에게 일종의 숭고함이 있는가 하면 거만함이 없고 괴팍함도 없습니다. 우월감도 없고 자만심도 없습니다. 그들에겐 편안함이 있습니다. 이것은 복음으로 새로워진 사람의 다양한 모습으로 사람들은 그 모습을 보고 깜짝 놀라며 ‘나는 어떻지’라고 돌아보게 됩니다." (팀 켈러) https://www.gospelandcity.org/news/articleView.html?idxno=30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