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라벨이 잃음인 게시물 표시

우리가 바라고 기다리는 것은 예수님의 재림입니다!

 우리가 바라고 기다리는 것은 예수님의 재림입니다!       “ 백성들이 바라고 기다리므로 모든 사람들이 요한을 혹 그리스도신가 심중에 생각하니 ”[( 현대인의 성경 ) “ 백성들은 메시야를 무척 기다리고 있었으므로 혹시 요한이 그가 아닌가 하고 모두 속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 누가복음 3:15) 하는 말씀을 묵상하면서 주시는 교훈을 받고자 합니다 :     (1)     저는 이 말씀을 묵상할 때 “ 백성들이 바라고 기다리 ” 고 있었던 분은 “ 메시야 ” 요 ( 눅 3:15, 현대인의 성경 ), 그들이 얼마나 메시야를 바라고 기다렸으면 세례 요한이 혹시 메시야가 아닌가 하고 속으로 생각까지 하였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   (a)     이러한 생각 속에서 든 생각은 제가 풀러 신학교를 다녔을 때 김세윤 교수님으로부터 배운 유대인들의 메시아적 기대 (Messianic expectation) 3 가지가 생각났습니다 : (1) 정치적 해방 (Political freedom), (2) 경제적 풍부 (Economic prosperity), (3) 사회적 공의 (Social justice)( 김세윤 ).   (i)                       세례 요한이 요단강 부근의 여러 지방을 다니며 죄를 용서받게 하려고 회개의 세례를 전파하였을 당시 (3 절 , 현대인의 성경 ) 유대인들은 메시아가 오시면 자기들을 지배하고 다스리고 있었던 로마 ...

예수님의 제자가 되기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예수님의   제자가   되기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    예수님보다 자기 부모나 자기 자식을 더 사랑하는 사람은 예수님의 제자가 되기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   자기 십자가를 지고 예수님을 따르지 않는 사람 역시 예수님의 제자로서 적합하지 않습니다 .   예수님의 말씀입니다 : “ 자기 생명을 아끼는 사람은 잃을 것이며 나를 위해 자기 생명을 버리는 사람은 얻을 것이다 ”( 마태복음 10:37-39, 현대인의 성경 ).

하나님께서 분노하셔서 파멸시키실 모든 사람들은 ...

하나님께서 분노하셔서 파멸시키실 모든 사람들은  ...  하나님께서 분노하셔서 파멸시키실 모든 사람들은 두려워서 겁에 질린 나머지 그들의 얼굴빛이 새파랗게 될 것이며 또한 그들의 손에 힘은 빠지고 용기를 잃게 될 것입니다 ( 참고 : 이사야 13:1-8, 현대인의 성경 ).

하나님은 우리의 경건 때문에 우리를 책망하시며 우리를 심판하시는 것일까요?

하나님은 우리의 경건 때문에 우리를 책망하시며 우리를 심판하시는 것일까요 ?  과연 하나님은 우리의 경건 때문에 우리를 책망하시며 우리를 심판하시는 것일까요 ? ( 참고 : 욥기 22:4, 현대인의 성경 )   왜 하나님께서는 진실하고 정직하며 하나님을 두려운 마음으로 섬기고 악을 멀리한 욥으로 하여금 사탄의 공격을 받아 모든 소유물 ( 재산 ) 과 10 명의 자녀들과 욥의 건강까지도 다 잃도록 허락하신 것일까요 ?   욥의 경건 때문에 그리하신 것인가요 ?  

하나님께서 주의하여 보고 계시는 가정 사역자 (욥기 1:1-11)

  성경 "욥기" 하면 주로 우리는 "고난"을 당하는 욥이란 인물을 생각하는 것 같습니다. 그래서 우리는 주위에 고난을 당하는 형제, 자매들과 대화할 때 '고난 당한 욥'에 대해서 말하곤 하는 것 같습니다. 그런데 저는 오늘 욥기 1장 말씀 묵상하면서 욥이란 인물을 '하나님이 주의하여 보고 계시는 가정 사역자'란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 근거는 욥기 1장 4-5절과 마지막 장인 42장 13-17절을 보면 성경은 욥의 가정에 대해서 말씀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욥기서 전체에 시작과 마지막 부분이 욥의 가정에 대해서 말씀하고 있기 때문에 저는 욥은 가정 사역자란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리고 하나님께서 사탄에게 "네가 내 종 욥을 주의하여 보았느냐 그와 같이 온전하고 정직하여 하나님을 경외하며 악에서 떠난 자는 세상에 없느니라"(욥기1:8)는 말씀에 근거해서 하나님께서는 욥을 주의하여 보고 계셨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저는 욥의 가정에 갑자기 임한 '고난들'[(1) 소유물을 다 잃어버림, (2) 10명의 자녀들도 다 잃어버림, (3) 욥의 건강도 다 잃어버림] 가운데서 '하나님의 주권적인 뜻'을 이루어 나아가셨다는 것이 욥기 전체의 핵심 주제라 생각합니다. https://youtu.be/BTUoLkZtses

이래도 죽고 저래도 죽을 바 에야 차라리

이래도 죽고 저래도 죽을 바 에야 차라리 사마리아 성문 입구에 앉아 있었던 네 명의 문둥병자들은 자신들의 문둥병으로 인해 사마리아 성 안에 들어갈 수 없었습니다 .   만일 그들이 사마리아 성 안으로 들어갈 수 있다 한들 그들은 그 성안에서 굶어 죽을 것이었고 그냥 그 성문 입구에 그대로 앉아 있어도 죽을 것이었습니다 .   그래서 그들은 이래도 죽고 저래도 죽을 바 에야 차라리 시리아군에게 가서 항복하려고 했습니다 .   그들의 마음 자세는 “ 만일 그들이 우리를 살려준다면 다행한 일이지만 그렇지 않으면 죽기밖에 더하겠느냐 ?” 였습니다 .   흥미로운 점은 그들은 “ 죽기밖에 더하겠느냐 ” 라는 마음 자세였지만 시리안 군들은 자신들의 “ 목숨만이라도 건지겠다고 ” 자신들의 천막과 말과 나귀를 진지에 그대로 버려 둔 채 이미 도망하였다는 것입니다 ( 열왕기하 7:3-7, 현대인의 성경 ).   저는 이 말씀을 묵상할 때 이 예수님의 말씀이 생각났습니다 : “ 누구든지 제 목숨을 구원하고자 하면 잃을 것이요 누구든지 나를 위하여 제 목숨을 잃으면 찾으리라 ”( 마태복음 16:25).  

계산적으로 생각하면 얻은 사람보다 잃은 사람들이 더 많고 더 크다고 생각할 것입니다.

계산적으로 생각하면 얻은 사람보다 잃은 사람들이 더 많고 더 크다고 생각할 것입니다 .      나오미 ( 뜻 : " 나의 즐거움 ") 가 며느리 룻과 함께 고향 베들레헴으로 돌아와서 그 곳 여자들에게 " 나를 나오미라 부르지 말고 ' 마라 '( 뜻 : " 쓰다 ") 라고 불러 주시오 " 라고 말했습니다 .   그 이유는 " 이것은 전능하신 하나님이 나에게 괴로운 시련을 많이 주셨기 때문입니다 .   내가 이 곳을 떠날 때는 가진 것이 많았으나 여호와께서는 나를 빈손으로 돌아오게 하셨습니다 .   여호와께서 나를 버리시고 나에게 괴로움을 주셨으니 어떻게 당신들이 나를 나오미라고 부를 수 있겠습니까 ?" 였습니다 ( 룻기 1:19-21, 현대인의 성경 ).   유다 땅에 " 흉년 " 으로 인해 고향을 떠나 모압 땅에 가서 살기로 한 결정 (1-2 절 ) 의 결과가 결국 떠날 때 가지고 있었던 많은 것을 다 잃어버리고 빈손으로 다시 고향으로 돌아오는 것이었습니다 .   그 결과 나오미는 하나님께서 자기를 버리시고 자기에게 괴로움을 주셨다고 생각했습니다 .   그러나 나오미는 많은 것을 잃었지만 ( 심지어 자신의 남편과 두 아들도 ) 이방 여인 룻이라는 며느리 한 사람을 얻었습니다 .   계산적으로 생각하면 얻은 사람보다 잃은 사람들이 더 많고 더 크다고 생각할 것입니다 .   그러나 믿음의 눈으로 보면 룻이란 한 여인이 보아스와 재혼해서 다윗왕을 낳은 이새의 아버지 오벳을 낳습니다 (4:17, 현대인의 성경 ).   그리고 다윗왕을 통해 메시야 이신 예수님이 오셨습니다 ( 마태복음 1:1-16, 특히 5-6 절 ).

가족의 흉년?

가족의 흉년?  나오미에게 있어서 " 흉년 " 은 그저 고향을 떠나 모압 땅으로 이주해서 산 것 외에도 남편인 엘리멜렉과 두 아들인 말론과 기룐까지 다 잃어 홀로 남게 되었습니다 ( 룻기 1:1-5, 현대인의 성경 ).   즉 , 나오미에게 있어서 " 흉년 " 이란 ' 가족의 흉년 ' 이었다고 생각됩니다 .   그 가족의 흉년은 그저 돈만 잃는 게 아니라 사랑하는 식구도 잃는 것입니다 .

부모의 생명이 사랑하는 자녀의 생명과 서로 하나로 묶였 있었는데 그 자녀가 부모보다 먼저 죽으면 그 부모님의 심정이 어떻겠습니까.

부모의 생명이 사랑하는 자녀의 생명과 서로 하나로 묶였 있었는데 그 자녀가 부모보다 먼저 죽으면 그 부모님의 심정이 어떻겠습니까 .   아버지 야곱은 10 명의 아들들 중 9 명이 다시 집으로 돌아와 있었던 모든 일을 들은 후 자루 속에 들어있었던 돈 주머리를 보고 두려워했습니다 .   그리고 그는 그 아들들에게 이렇게 말했습니다 : " 너희가 내 자식들을 잃게 하는구나 !   요셉도 없어지고 시므온도 없어졌는데 너희가 이제 베냐민마저 빼앗아 가려고 하니 모든 일이 다 나를 괴롭게만 하는구나 ."   그러자 맏아들 르우벤은 아버지 야곱에게 " 내가 만일 베냐민을 아버지에게 데려오지 않으면 나의 두 아들을 죽여도 좋습니다 .   그를 나에게 맡기십시오 .   내가 책임지고 데리고 돌아오겠습니다 " 라고 말했습니다 .   그러나 야곱은 " 내 아들은 너희와 함께 내려가지 못한다 .   그의 형은 죽었고 그만 남았는데 만일 너희가 그를 데리고 가는 도중에 그에게 무슨 일이라도 일어난다면 너희는 백발이 된 나를 슬픔 가운데서 무덤으로 내려 보내는 자들이 될 것이다 " 라고 말했습니다 ( 창세기 42:35-38, 현대인의 성경 ).   아버지 야곱의 심정은 9 명의 아들들이 요셉과 시므온을 잃게 하였는데 베냐민마저 잃을까봐 애굽으로 데려가지 못하게 했습니다 .   그 이유는 그는 베냐민마저 잃으면 슬픔 가운데서 무덤으로 내려가게 될 것이었기 때문입니다 .   그 이유는 아버지 야곱의 생명과 아들 베냐민의 생명이 서로 하나로 묶여 있었기 때문입니다 (44:30).   부모의 생명이 사랑하는 자녀의 생명과 서로 하나로 묶였 있었는데 그 자녀가 부모보다 먼저 죽으면 그 부모님의 심정이 어떻겠습니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