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라벨이 희망인 게시물 표시

나눔 사역 일기 (Sharing Ministry Journal)

나눔 사역 일기 ( Sharing Ministry Journal ) 2025. 10. 23. 목요일. 오늘 YMCA 에서 운동을 하면서 두 지체하고 각각 따로 다른 시간에 카카오톡으로 대화를 나눴습니다.  그 나눔 속에서 저는 "나눔 사역 일기"(Sharing Ministry Journal)를 쓰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어서 이렇게 밤 11시가 좀 넘어서 잠들기 전에 오늘 하루를 뒤돌아보면서 나눔 사역에 관하여 배우게 된 점들이나 느낀 점들이나 생각하게된 점들을 좀 두리뭉실하게 기록해보고자 합니다.  저의 나눔 사역 일기가 여러분들에게도 조금이나마 유익되길 바랍니다. 1. Sharing is Caring !   오늘 대화 속에서 저는 제 막내 딸 예은이가 초등학교 다닐 때 저에게 한 말인 "Sharing is Caring"란 말이 생각났습니다.  아마도 그 이유는 어느 한 지체와 주님 안에서 진솔한 대화를 나눴을 때 주님의 사랑으로 서로 care하기에 그 caring heart로 각자 마음의 이야기를 나눴기 때문인 것 같습니다. 2. 나눔은 관심 속에서 몇 마디 인사로 시작되었습니다. 여러번 경험케하셨는데 오늘도 저는 운동을 하면서 어느 지체가 생각나서 카카오톡으로 몇 마디 글을 적어 보냈는데  그 말로 말미암아 주님 안에서 진솔한 대화를 나누게 되었습니다.  다른 지체도 저는 몇 마디 글을 적어서 카카오톡으로 보낸 것뿐인데 귀한 마음의 대화를 나누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저는 그 때 그 때 생각나게 하시는 사람이 있고 관심이 생기면 서슴치 않고 마음으로 하고 싶은 말(그 말이 인사이든 다른 말이든)을 계속해서 해야겠다는 다짐입니다. 3. 나눔의 타이밍이 기가막힙니다. 하하. 오늘도 그 두 지제들 하고 각각 따로 대화를 하면서 공통적으로 그들이 저에게 한 말을 생각해보면 각자 무엇을 고민하고 있었을 때 제가 카톡으로 말을 걸었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그들은 제가 말을 걸었음으로 말미암아...

진리가 승리할 때까지 ...

진리가 승리할 때까지 ... 진리가 승리할 때까지 주님은 상한 갈대와 같은 우리를 꺽지 않으시고 꺼져가는 등불과 같은 우리 가정과 교회도 끄지 않으실 것입니다 .   그러므로 우리는 오직 주님에게만 희망을 걸어야 합니다 ( 참고 : 마태복음 12:20-21, 현대인의 성경 ).

하나님께서는 자기에게 희망을 걸고 자기를 찾는 사람에게 은혜를 베푸십니다.

하나님께서는 자기에게 희망을 걸고 자기를 찾는 사람에게 은혜를 베푸십니다. 하나님께서는 자기에게 희망을 걸고 자기를 찾는 사람에게 은혜를 베푸십니다 .   그러므로 우리는 하나님께 소망을 두고 하나님을 찾는 가운데 하나님의 구원을 잠잠히 기다려야 합니다 ( 참고 : 예레미야 애가 3:25-26, 현대인의 성경 ).

우리의 영혼이 평안을 빼앗기고 우리가 행복을 잊어버렸을 때 ...

우리의 영혼이 평안을 빼앗기고 우리가 행복을 잊어버렸을 때 ... 우리의 영혼이 평안을 빼앗기고 우리가 행복을 잊어버렸을 때 우리는 충분히 ‘ 내 힘이 쇠약해졌고 하나님에 대한 내 희망이 사라지고 말았다 ’ 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   우리가 당하는 쓰라린 고통과 역경을 우리는 기억하고 그것을 생각만해도 낙심이 될 수 있습니다 .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모든 것이 오히려 우리의 소망이 될 수 있는 이유는 하나님의 크신 사랑과 영원하신 그의 자비 때문입니다 .   이것이 아침마다 새로우니 우리는 ‘ 주님은 정말 신실하신 분이십니다 ’ 라고 인정하며 고백할 수밖에 없습니다 .   그러므로 우리는 우리 심령에게 ‘ 하나님은 나의 기업이시니 내 희망을 그분에게 두겠습니다 ’ 라고 말하게 됩니다 ( 참고 : 예레미야 애가 3:17-24, 현대인의 성경 ).

이것이 우리를 향하신 하나님의 계획입니다.

이것이   우리를   향하신   하나님의   계획입니다 .   하나님께서는 우리를 사랑으로 징계하신 후에 그 징계의 고난의 기간이 끝나면 우리를 돌아보시고 하나님의 선한 약속을 이행하시사 우리를 회복시켜 주십니다 .   이것이 우리를 향하신 하나님의 계획입니다 .   그 계획은 하나님께서는 우리에게 재앙을 주시려는 것이 아니라 번영을 주시고 우리에게 미래와 희망을 주시려는 계획입니다 ( 참고 : 예레미야 29:10-11, 현대인의 성경 ).

자녀들을 어려움과 시련을 헤쳐 나가는 목자의 역할

'자녀들을 어려움과 시련을 헤쳐 나가는 목자의 역할         우리 자녀가 시련을 겪는 것을 보는 것은 극도로 어렵습니다 .   자신의 문제에 대처할 능력이 충분한 부모라도 자녀가 고통받을 때 무력함을 느낄 때가 있습니다 .   어떻게 하면 우리는 우리 자녀를 건강하게 , 하나님을 존경하는 방식으로 이끌 수 있을까요 ?   자녀에게 어려움이 찾아올 때 , 여기 세 가지 방법으로 그들을 지원할 수 있습니다 .     충실한 존재 제공   부모나 보호자로서 우리는 자녀가 고통받을 때 즉각적으로 행동 모드로 뛰어들기 쉽습니다 .   때로는 긴급한 개입이 옳고 필요한 일일 수 있습니다 .   그러나 종종 시련에 직면한 아이들은 문제 해결 능력보다는 충실한 존재가 필요합니다 .   우리는 자신의 경험에서 알고 있듯이 혼란스러운 시기에 가끔은 간단히 사랑하는 이의 존재에 안심받고 싶어합니다 .   누군가가 우리를 고치려는 대신 차분히 곁에 앉아 주는 사람 , 우리가 안전하게 느끼는 사람이 필요한 것처럼 , 우리 자녀들도 그런 안식처를 갈망합니다 .   부모로서 가장 큰 특권 중 하나는 우리가 집에서 하나님의 선하신 성품을 반영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   만약 양육이 목자의 일과 비교된다면 , 우리 역할의 이 부분은 목자가 양들을 그토록 잘 알아서 그의 존재만으로도 무리에게 안심을 주는 부분입니다 .   마찬가지로 , 하나님의 평안을 구현하면서 우리 자녀들을 우리 궁극적인 바위이자 안식처로 인도할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 ( 시편 18:2).   자녀들의 삶에 위기가 닥쳤을 때 , 우리에게는 그들에게 안정적인 안위감을 전하는 방식으로 그들을 도울 수 있는 기회가 있습니다 .   손을 움켜쥐어 위기를 해결하는 데 도움을 주기 전에도 이미 우리의 존재와 태도로 ...

스스로 지혜롭다고 생각하는 사람

스스로   지혜롭다고   생각하는   사람 스스로 지혜롭다고 생각하는 사람보다는 오히려 미련한 사람에게 희망이 더 있습니다 ( 잠언 26:12, 현대인의 성경 ).   즉 , 스스로 지혜롭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미련한 사람보다 더욱더 절망적입니다 .   그러한 자에게는 화가 있을 것입니다 ( 이사야 5:21, 현대인의 성경 ).   그리고 하나님은 마음에 스스로 지혜롭다고 생각하는 자를 무시하십니다 ( 욥기 37:24, 현대인의 성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