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라벨이 인간관계인 게시물 표시

우리가 바라고 기다리는 것은 예수님의 재림입니다!

 우리가 바라고 기다리는 것은 예수님의 재림입니다!       “ 백성들이 바라고 기다리므로 모든 사람들이 요한을 혹 그리스도신가 심중에 생각하니 ”[( 현대인의 성경 ) “ 백성들은 메시야를 무척 기다리고 있었으므로 혹시 요한이 그가 아닌가 하고 모두 속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 누가복음 3:15) 하는 말씀을 묵상하면서 주시는 교훈을 받고자 합니다 :     (1)     저는 이 말씀을 묵상할 때 “ 백성들이 바라고 기다리 ” 고 있었던 분은 “ 메시야 ” 요 ( 눅 3:15, 현대인의 성경 ), 그들이 얼마나 메시야를 바라고 기다렸으면 세례 요한이 혹시 메시야가 아닌가 하고 속으로 생각까지 하였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   (a)     이러한 생각 속에서 든 생각은 제가 풀러 신학교를 다녔을 때 김세윤 교수님으로부터 배운 유대인들의 메시아적 기대 (Messianic expectation) 3 가지가 생각났습니다 : (1) 정치적 해방 (Political freedom), (2) 경제적 풍부 (Economic prosperity), (3) 사회적 공의 (Social justice)( 김세윤 ).   (i)                       세례 요한이 요단강 부근의 여러 지방을 다니며 죄를 용서받게 하려고 회개의 세례를 전파하였을 당시 (3 절 , 현대인의 성경 ) 유대인들은 메시아가 오시면 자기들을 지배하고 다스리고 있었던 로마 ...

"신뢰 안가는 사람들의 특징 5 친한 사람들과의 관계..이렇게 멀어진다!"

" 신뢰 안가는 사람들의 특징 5 친한 사람들과의 관계..이렇게 멀어진다! 우리는 누군가를 믿을 때 마음이 편안해진다. 혹시 그 사람이 배신을 저지르지 않을까 하고 염려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마음이 편안해질 수 있다. 또 배신을 위한 예방에 들여야 할 시간과 노력을 절약하게 해 주는 효과를 얻을 수도 있기 때문에 그럴 것이다. 신뢰는 관계를 맺어주는 접착제로 작용할 정도로 사람들과의 관계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 신뢰는 시간이 흐르면서 점차 쌓이지만, 한 번 깨어지면 복구되기 어렵다. 신뢰가 깨졌을 때의 배신감은 이로 말할 수 없을 만큼 큰 절망과 좌절을 느끼게 해준다. 그렇다면, 우리는 어떠한 상황에서 신뢰가 깨지는 것을 느낄까? 신뢰 안가는 사람의 다섯 가지 특징은 다음과 같다. 1. 말을 바꾸는 경향이 있다. 말을 자꾸 바꾼다면, 거짓을 말하고 있음이 의심되는 것은 당연하다. 그것이 사소한 것이라도 말이다. 이전에 했던 말과 상충되는 말을 하는 등 말을 바꾸는 것은 진실을 숨기려는 것처럼 보이며 신뢰를 서서히 깨지게 한다. 그러나 이러한 행동은 상대방을 배려한 ‘선한 거짓말’일 수 있다. 따라서 상대방이 조금이라도 거짓을 말하고 있다고 의심된다면, 대화를 시도하여 문제를 해결하고 신뢰를 지키도록 하자. 2.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지 않는다. 실수나 잘못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않는다면 믿음직스럽지 않다. 이후에도 잘못을 저질러 같은 방식으로 행동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이러한 반성 없는 행동이 반복되며 “예민하게 굴지마”라는 말을 하며 자신의 잘못을 회피 내지 합리화한다면 ‘가스라이팅’을 의심해보아도 좋다. 3. 숨기는 경향이 있다. 아무리 가까운 사이라고 해도, 어느 정도의 선을 지키는 것은 관계 발전에 긍정적일 수 있다. 그러나 가까운 사이라면 알 수 있는 부분까지 숨겨 합리적인 의심이 생기는 경우라면, 신뢰가 깨질 수 있다. 투명성은 신뢰의 또 다른 초석이다. 민감한 부분이 아닌 정보에 대해 밝히고 싶지 않아한다면, 이는 서로를 신뢰할 수...

돈 보다 사람을 얻어야 ...

돈 보다 사람을 얻어야 ... 돈을 벌지 못해도  사랑하는 마음과 자원하는 마음으로 이웃을 돕고 섬기므로  많은 사람과 좋은 관계를 맺는 것 ,  참 감사한 일이라 생각합니다 .   ( 사랑하는 후배를 생각할 때 )

"당신은 ‘바운더리(경계)’ 문제가 있군요!"

"당신은 ‘바운더리(경계)’ 문제가 있군요!"  " 너무 많은 능력과 재능을 내 자신에게 바라고 , 너무 많은 인정과 사랑을 이 세상에 기대함으로써 , 나는 나 자신을 필요 이상으로 괴롭히고 있었던 것이다 . 나는 이제 행복을 향한 경계짓기에 도전한다 . 나는 내가 사랑하는 사람들에게 존중받을 권리가 있으며 , 내가 사랑하는 일에 열정을 쏟을 의무가 있으며 , 그 이상의 것에 욕심내지 않기로 결심한다 .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1/0003952465?sid=110

마음과 마음이 이어지는 관계

마음과 마음이 이어지는 관계  사랑 하는 형제 , 자매와 주님 안에서의 관계를 세워나아감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요서는 겸손 (humility) 과 정직 (honesty) 과 연약함 (vulnerability) 입니다 .   주님과의 관계에서 겸손하고 정직하며 연약함이 있는 자가 사랑하는 형제 , 자매와의 관계에서도 겸손하고 정직하며 연약함이 있을 수 있습니다 .   여기서 연약함 (vulnerability) 이란 겸손히 정직하게 내 마음 문을 열고 내 연약함 ( 취약함 ) 을 진솔하게 상대방 형제 , 자매에게 나눌 때에 나 자신이 상처받기 쉬움을 말합니다 .   만일 우리가 상대방 형제 , 자매에게 상처를 입을 것을 염려하든지 두려워하면 우리는 그 형제 , 자매 앞에서 연약할 수가 (vulnerable) 없고 또한 주님 안에서 마음과 마음이 이어지는 깊은 교제를 나눌 수가 없습니다 ( 그저 표면적인 교제만 ).   우리가 상대방 앞에서도 연약할 수 (vulnerable) 있기 위해선 , 그리고 상처 입는 것을 두려워하지 않기 위해선 먼저 주님과의 친밀한 교제 가운데 주님의 관점으로 나 자신을 보므로 나 자신의 가치 있음 (worthiness) 을 알아야 합니다 .   그리할 때 우리는 주님 안에서 자존감 (confidence) 을 가질 수 있고 , 그리할 때 우리는 용기 (courage) 를 내어 상대방 앞에서 연약할 수 (vulnerable) 가 있습니다 .   그리할 때 우리는 우리 마음 문을 열고 주님 앞에서 겸손하며 정직하게 우리 자신을 나눈 것을 사랑하는 형제 , 자매에게도 나눌 수가 있습니다 .   그리할 때 우리는 서로 공감할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