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라벨이 목적인 게시물 표시

하나님의 나라에 합당한 생활을 하는 것이란 ...

하나님의 나라에 합당한 생활을 하는 것이란 그리스도의 복음에 합당하게 생활하는 것이요 , 하나님의 나라의 열매를 맺는다는 것이란 그리스도의 복음의 열매를 맺는다는 것입니다 . 즉 , 우리는 예수님과 복음을 위해 우리 생명을 버리는 예수님의 제자들로서 ( 막 8:35, 현대인의 성경 )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에 합당하게 생활하면서 ( 삶으로 복음전도 ) 우리의 입술로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을 전하므로 하나님께 복음의 열매를 맺어드려야 한다는 것입니다 .  

“주님, 섬김의 지경을 넓혀주소서” (요한복음 13장 15절)

                  “ 주님 , 섬김의 지경을 넓혀주소서 ”       “ 내가 너희에게 행한 것 같이 너희도 행하게 하려 하여 본을 보였노라 ”[( 현대인의 성경 ) “ 내가 너희에게 한 일을 너희도 실천하게 하려고 내가 모범을 보였다 ”] ( 요한복음 13 장 15 절 ).     금년 2024 년 표어는 “ 주님 , 섬김의 지경을 넓혀주소서 ” 이었습니다 .   그리고 표어 구절은 요한복음 13 장 15 절 말씀이었습니다 : “ 내가 너희에게 행한 것 같이 너희도 행하게 하려 하여 본을 보였노라 ”[( 현대인의 성경 ) “ 내가 너희에게 한 일을 너희도 실천하게 하려고 내가 모범을 보였다 ”].   오늘 이렇게 금년 마지막 날인 12 월 31 일 오후에 하나님께 송구영신예배를 드리면서 저는 오늘 본문 요한복음 13 장 15 절 말씀 중심으로 우리에게 섬김의 모범을 보이신 예수님의 “ 섬김 ” 에 대해 이미 묵상한 4 가지를 다시금 묵상하면서 우리가 신년 예배 때 받은 4 가지 교훈 대로 우리 각자가 섬김을 실천하였는지 뒤돌아 보는 시간을 갖고자 합니다 . 첫째로 , 우리가 금년 한 해를 시작하면서 섬김의 마음은 “ 사랑 ” 이라고 배웠었는데 과연 우리는 금년 한 해를 뒤돌아볼 때 사랑으로 섬겼는가 자문합니다 .   요한복음 13 장 1 절 말씀입니다 : “ 유월절 전에 예수께서 자기가 세상을 떠나 아버지께로 돌아가실 때가 이른 줄 아시고 세상에 있는 자기 사람들을 사랑하시되 끝까지 사랑하시니라 .”   이 말씀을 우리 자신을 비춰볼 때 과연 우리는 예수님처럼 하나님께서 사랑하시는 사람들을 사랑하되 오늘 12 월 31 일까지 끝까지 사랑하였는가 자문합니다 .   특히 예수님께서는 하나님 아버지께서 자기에게 주신 사람들을 위해 끝까지...

우리는 우리 마음을 지켜 젊어서 얻은 우리 아내를 배신하지 말아야 합니다.

우리는   우리   마음을   지켜   젊어서   얻은   우리   아내를   배신하지   말아야   합니다 .   하나님께서 우리를 아내와 한 몸이 되게 하신 목적은 경건한 자녀를 얻고자 하시기 때문입니다 .   그러므로 우리는 우리 마음을 지켜 젊어서 얻은 우리 아내를 배신하지 말아야 합니다 .    하나님의 말씀입니다 : “ 나는 이혼 자체를 미워하며 자기 아내에게 그런 끔찍한   짓을 하는 자를 미워한다 .   그러므로 너희는 너희 마음을 지켜 너희 아내에게 신의를 저버리지 말아라 .”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 중에는 젊어서 결혼한 우리 아내에게 신실하지 않고 그녀에게 신의를 지키지 않은 사람들도 있습니다 ( 참고 : 말라기 2:14-16, 현대인의 성경 ).

두 지도자가 협상을 하려고 한 식탁에 앉는다 할지라도 ...

두 지도자가 협상을 하려고 한 식탁에 앉는다 할지라도 ... 두 지도자가 협상을 하려고 한 식탁에 앉는다 할지라도 그들의 동기가 악하면 서로 거짓말을 할 것이며 그들은 목적을 달성하지 못할 것입니다 ( 참고 : 다니엘 11:27, 현대인의 성경 ).

사명의 받은 교회의 일꾼 (3)

사명의 받은 교회의 일꾼 (3)       우리에게 주어진 직분은 우리가 그 직분을 받을 자격이 있어서가 결코 아니라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은혜로 주신 선물입니다 .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다양한 직분을 주신 목적은 성도들을 온전하게 하여 봉사의 일을 하게 하고 그리스도의 몸 된 교회를 자라게 하신 위한 것입니다 ( 엡 4:11-12).   우리는 우리 직분이 비난을 받지 않게 하기 위해서 아무에게도 거치는 장애물 ( 걸림돌 ) 이 되지 않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 고후 6:3).   바울은 자신의 사역을 주님의 청지기 직분으로 여겼습니다 .   주님께서 그에게 주신 사명은 하나님의 말씀을 골로새 교회 성도들에게 아낌없이 전하라는 것이었습니다 .   여기서 바울이 말씀하고 있는 “하나님의 말씀”은 “이 비밀”로서 지금까지 감추어져 있었으나 신약에서 처음으로 하나님의 성도들에게 계시된 진리를 가리킵니다 ( 맥아더 ).   그리고 하나님께서는 이 비밀의 영광이 이방인 가운데 얼마나 풍성한지를 알게 하셨는데 그것은 구약에서 예언한 메시야가 오는 것이요 또한 메시야가 오시면 이방인들도 구원에 참여할 것이라는 것이었습니다 .   이 비밀은 우리 안에 계신 그리스도니 곧 영광의 소망이십니다 .   그래서 바울은 영광의 소망이신 그리스도를 아낌없이 전했습니다 .   그는 꺼리지 않고 하나님의 뜻을 다 전하는데 일심전력을 했습니다 ( 행 20:27).   우리도 그리해야 합니다 .   그 이유는 이것이 우리의 사명이기 때문입니다 .

만일 우리가 하나님께 은총을 입는다면 ...

만일 우리가 하나님께 은총을 입는다면 ... 우리가 하나님의 말씀을 불순종하여 범죄하므로 하나님의 목적에서 쫓겨났다 할지라도 만일 우리가 하나님께 은총을 입는다면 하나님께서 언젠가는 우리를 돌아가게 하여 우리에게 하나님의 말씀을 순종할 수 있는 두 번째 기회를 주실 것입니다 ( 참고 : 사무엘하 15:25; 요나 2:4; 3:1-4, 현대인의 성경 ).

그럴 만한 이유가 전혀 없다?

그럴 만한 이유가 전혀 없다? 사울 왕은 그럴 만한 이유가 전혀 없는데도 불구하고 죄 없는 다윗을 죽여 범죄하려고 했습니다 ( 사무엘상 19:5, 현대인의 성경 ).   하나님 아버지께서는 죄가 없으실 뿐만 아니라 죄를 알지도 못하신 그리스도에게 우리 죄를 대신 지계하셨습니다 .   그 목적은 우리가 그리스도 안에서 하나님에게 의롭다 칭함을 받게 하시기 위해서입니다 ( 고린도후서 5:21, 현대인의 성경 ).

총체적 칭의론 (14) (로마서 3장 21-31절)

총체적 칭의론 (14)           [ 로마서 3 장 21-31 절 ]       우리가 “총체적 칭의론”이란 대주제 아래 7 가지 소주제를 묵상하고 있습니다 : (1) 첫 번째 소주제는 “칭의의 필요성”입니다 .   “모든 사람이 죄를 범하였으매 하나님의 영광에 이르지 못하”였기에 ( 롬 3:23) “모든 사람” [ 이방 사람들 (1:18-32) 과 남을 판단하는 사람들 ( 판단자들 )(2:1-16) 과 유대인들 (2:17-3:8) 과 온 인류 (3:9-20)] 이 절대적으로 칭의가 필요합니다 .   (2) 두 번째 소주제는 “칭의의 주체 / 근원”입니다 .   칭의의 주체 또는 칭의의 근원은 성부 하나님이심 .   성부 하나님께서 의롭다 칭하심 ( 롬 3:2).   (3) 세 번째 소주제는 “칭의의 근거”입니다 .   칭의의 근거는 오직 예수 그리스도이십니다 .   성부 하나님께서는 예수 그리스도의 피와 대속 죽으심을 근거로 해서 죄인을 의롭다 하십니다 .   (4) 네 번째 소주제는 , “칭의의 방편 / 통로”입니다 .   성부 하나님이 주시는 칭의를 우리는 믿음으로만 받습니다 ( 롬 3:22).   (5) 다섯 번째 소주제는 , “ 칭의의 보편성 ” 입니다 .   로마서 3 장 22 절 말씀입니다 : “ 곧 예수 그리스도를 믿음으로 말미암아 모든 믿는 자에게 미치는 하나님의 의니 차별이 없느니라 .”   성부 하나님은 공의로우신 분이시기에 그분이 행하시는 모든 일이 공평하십니다 .   그러므로 성부 하나님께서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모든 믿는 자”들에게 주시는 “하나님의 의” ( 칭의 ) 는 “차별”이 없습니다 .   오늘은 로마서 3 장 25-26 절 말씀 중심으로 여섯 번째 소주제인 “ 칭의의 목적 ...

불신자와 결혼하는 것도 허락하시는 하나님?

불신자와 결혼하는 것도 허락하시는 하나님? 하나님의 계획 속에서는 삼손이 블레셋 여자와 결혼하는 것도 허락하시사 이스라엘을 지배하고 있었던 블레셋 사람을 칠 기회를 찾고 계셨습니다 ( 사사기 14:1-4, 현대인의 성경 ).   여기서 우리는 신학적으로 하나님의 뜻에는 두 가지가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합니다 .   그 두 가지란 하나님의 " 직접적인 뜻 "(directive will) 과 하나님의 " 허락하신 뜻 "(permissive will) 입니다 .   예를 들어 삼손은 하나님께 받쳐진 나실인으로서 하나님을 믿지 않는 블레셋 여인을 아내로 삼는 것은 하나님의 직접적인 뜻이 결코 아닙니다 .   다시 말하면 , 삼손을 향하신 하나님이 직접적인 뜻은 이방 여인과 결혼하지 않는 것입니다 .   그러나 그 뜻을 어기고 삼손이 구별되지 않는 그 블레셋 여인하고 결혼한 것입니다 .   이것이 바로 하나님의 허락하신 뜻입니다 .   여기서 하나님께서 허락하셨다는 말은 삼손이 하나님의 직접적인 뜻을 어기고 자기의 부모님의 완강한 반대에도 불구하고 그 블레셋 여인하고 결혼한 것은 하나님께서 허락하셨기에 그렇게 결혼할 수 있었다는 말입니다 .   그리고 그 결혼을 허락하신 하나님의 뜻은 블레셋 사람을 치는 것이었습니다 .   즉 , 하나님께서는 블레셋 사람을 심판하시사 이스라엘을 구원하시고자 삼손이 원하는 대로 블레셋 여자와 결혼하도록 허락하신 것입니다 . https://blog.naver.com/kdicaprio74/150187359762

상대방의 말을 들은 후에 결정해서 행동으로 옮겨도 늦지 않습니다.

  상대방의 말을 들은 후에 결정해서 행동으로 옮겨도 늦지 않습니다. 르우벤 지파와 갓 지파와 므낫세 동쪽 반 지파는 요단강을 건너기 직전 , 아직 가나안 땅에 있을 때에 강가에 굉장히 큰 단 하나를 쌓았습니다 .   그 때 요단강 서쪽에 남은 이스라엘 백성이 그들이 행한 일을 듣고 실로에 군대를 모아서 그들의 형제 지파들과 싸울 준비를 했습니다 .   그러나 그들이 잘 한 것은 먼저 제사장 엘르아살의 아들 비느하스가 이끄는 대표단을 강 건너 길르앗 땅의 르우벤 지파와 갓 지파와 므낫세 동쪽 반 지파에게 보내어 그 큰 단을 쌓은 그들의 목적을 들은 것입니다 .   그들의 목적은 결코 번제나 소제나 다른 제사를 드릴 목적으로 성막 앞에 있는 그들의 하나님 여호와의 단 외에 다른 단을 쌓아 여호와를 저버리거나 여호와를 거역하려고 했던 것이 아니라 훗날 요단강 서쪽에 남은 이스라엘 백성의 후손들이 르우벤 지파와 갓 지파와   므낫세 동쪽 반 지파의 후손들에게 " 너희는 여호와 우리 하나님과 아무 관계가 없다고 하는 말을 못하도록 하기 위해서 " 였습니다 .   이 목적을 알게 된 제사장 비느하스는 그들에게 " 이제야 여호와께서 우리와 함께 계신 줄을 알겠소 .   당신들은 여호와를 거역한 것이 아니라 오히려 이스라엘 백성을 여호와의 형벌에서 구해낸 셈이 되었소 !" 라고 말했습니다 ( 여호수아 22:10-31, 현대인의 성경 ).   이 말씀을 묵상할 때 대화의 중요성을 생각하게 됩니다 .   무턱대고 오해를 해서 싸우려 하지 않고 먼저 상대방의 이야기를 들어보고 결정해도 늦지 않다는 것입니다 .   상대방이 왜 그리 행했는지 그 목적이나 이유를 들은 후에 결정해서 행동으로 옮기는 것이 지혜롭게 행하는 것이라 생각됩니다 .

지금 더 이상 아무 말씀도 하지 않으시는 목적?

지금 더 이상 아무 말씀도 하지 않으시는 목적?   지난날에 우리가 큰 위기를 겪고 있을 때 큰 음성으로 우리에게 말씀하신 하나님께서 지금 더 이상 아무 말씀도 하지 않으시는 목적은 우리 마음 판 ( 심비 ) 에 친히 하나님의 약속의 말씀을 기록하여 주시기 위해서입니다 ( 참고 : 신명기 5:22, 현대인의 성경 ).

봉사자가 아니라 우선 예배자로 세움을 받아야 합니다.

봉사자가 아니라 우선 예배자로 세움을 받아야 합니다 . 하나님께서 모세를 이집트 바로 왕에게 보내시사 하나님의 백성을 이집트에서 인도해 내신 목적은 " 너희가 이 산에서 나를 섬길 것이다 " 였습니다 ( 출애굽기 3:12, 현대인의 성경 ).   하나님의 구원의 목적은 하나님을 섬기는 것입니다 .   하나님께서 진정한 모세가 되시는 예수 그리스도를 이 땅에 보내시사 십자가에 죽으시고 무덤에서 부활하시므로 우리를 구원해 내신 목적은 우리로 하여금 하나님을 예배케 하기 위해서 입니다 .   이 하나님의 구원의 목적인 예배를 생각할 때 우리는 봉사자가 아니라 우선 예배자로 세움을 받아야 합니다 .

놀라운 방법으로 생존케 하시는 하나님의 신실한 사랑과 은혜

놀라운 방법으로 생존케 하시는 하나님의 신실한 사랑과 은혜  이집트에서 노예 생활을 하던 요셉 ( 창세기 39 장 ) 을 하나님께서는 이집트 총리로 높이시사 (41 장 ) 모든 영화를 누리게 하신 (45:13, 현대인의 성경 ) 목적은 심각한 기근으로 인해 (43:1, 현대인의 성경 ) 굶주리게 될 상황에서 요셉으로 하여금 아버지 야곱을 보살피고 (45:11, 현대인의 성경 ) 그의 형님들과 그들의 자손들이 살아 남도록 하기 위해서였습니다 (7 절 , 현대인의 성경 ).   놀라운 방법으로 (7 절 , 현대인의 성경 ) 생존케 하시는 하나님의 신실한 사랑과 은혜를 엿봅니다 .

하나님은 하나님의 적합한 때에 하나님의 놀라운 방법으로 우리를 구원하십니다!

하나님은 하나님의 적합한 때에 하나님의 놀라운 방법으로 우리를 구원하십니다 !   형들에게 미움과 시기를 받아 ( 창세기 37:4-5, 8, 11, 현대인의 성경 ) 이집트에 팔린 동생 요셉은 " 하나님이 놀라운 방법으로 형님들을 구원하고 형님들과 형님들의 자손들이 살아 남도록 하기 위해서 " 자기를 형님들보다 먼저 이집트로 보냈다고 말했습니다 .   그러므로 자기를 이집트에 보내신 분은 그 형님들이 아니라 하나님이라고 말했습니다 (45:4-5, 현대인의 성경 ).   이 말씀을 묵상할 때 (1)   미워하고 시기하는 형들도 사용하시되 (2) 비록 그들은 요셉을 돈 주고 이스마엘 상인들에게 팔았지만 (37:28) (3) 하나님께서는 요셉을 그들보다 약 22 년 [30 살 때 애굽의 총리가 됨 (41:46) + 7 년 풍년 (29 절 ) + 2 년 동안 흉년 (45:6) = 39 세 - 17 세 (37:2) = 22 년 ] 먼저 이집트로 보내시사 (4) 그들과 그들의 자손들 , 즉 " 우리 가족을 구하시려고 "(45:5, 현대인의 성경 ) 하셨다는 생각이 듭니다 .   하나님의 방법도 놀랍지만 하나님의 때 ( 타이밍 ) 도 흥미롭습니다 .   왜 하나님께서는 요셉으로 하여금 약 22 년만에 만난 형들에게 자기가 요셉이고 또한 하나님께서 요셉을 그들보다 앞서 이집트로 보내신 목적을 말하게 한 것일까요 ?    혹시 그 이유는 가나안 땅에 기근이 더욱 심각해지되 이집트에서 가져온 식량도 다 떨어져서 (43:1-2, 현대인의 성경 ) 다시 이집트로 가서 양식을 사오지 않는 이상 야곱과 그의 아들들과 후손들이 다 굶주려 죽을 수밖에 없는 (8 절 , 현대인의 성경 ; 45:11, 현대인의 성경 ) 위기 상황이였기 때문이 아니었을까요 ?   그리고 아직도 극심한 흉년이 5 년 동안이나 남았기 때문이 아니었을까요 ?   왠지 극적인 순간 ( 타이밍 ) 에 하나님께서 요...

더 악한 사람?

악한 사람과 또 다른 악한 사람이 만났는데 그 두 악한 사람들 중에 더 악한 사람은 다른 악한 사람을 악용하여 자기의 악한 목적을 이루려는 사람입니다.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 드라마를 아내와 함께 본 후)

하나님께 택함을 받는 목적?

하나님께 택함을 받는 목적?   하나님께서 아브라함을 택하신 것은 아브라함이 자기 자녀들과 후손들을 잘 인도하여 의롭고 선한 일을 하게 하여 경건하게 살도록 하기 위해서였습니다 .   그렇게 함으로써 하나님께서는 아브라함에게 한 모든 약속을 이행하셨습니다 ( 창세기 18:19, 현대인의 성경 ).   우리는 하나님께 택함을 받은 자들로서 우리 자녀들과 후손들을 잘 인도하여 의롭고 선한 일을 하게 하여 경건하게 살도록 해야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