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라벨이 갇혀있다인 게시물 표시

소중한 아내/엄마인데 ...

 소중한 아내/엄마인데 ... 제주도에 사는 사랑하는 어느 형제가 저의 부탁을 들어줘서 딜런과 제시카 결혼식 때 찍은 사진을 보냈더니 밑에 사진을 만들어 줬답니다 ㅎㅎ 그런데 희안한 것은 그 형제의 말로는 AI가 제 아내를 인식을 못한다고 하네요 ㅎㅎㅎ Mystery네요 ㅎㅎㅎ 왜 original 사진은 6명인데 제 아내를 인식을 못하는지 좀 이상하지만 제가 그 형제에게 어쩌면 하나님의 뜻이 있는 것 같다라고 말하면서 여기에 좀 글을 써서 나누겠다고 말했답니다 ㅎㅎ 제가 좀 나누고자 하는 것은 뭐냐면 제 아내 또는 세 자녀들의 엄마인 김(오)현영(Jane)이는 우리 가정에 없어서는 안되는 사람인데도 불구하고 AI가 인식을 못하듯이(그런데 AI이네요 ㅋㅋㅋ) 어쩌면 남편이 저나 세 자녀들이(이젠 며느리까지? ㅎㅎ) 아내/엄마의 소중함을 인식하지 못하지 않나 생각합니다. 좀(?) 슬픈 현실인 것 같아요, 아내/엄마라는 존재가요. 그리도 희생적으로 가정을 위해서 고생을 많이 하는데도 불구하고 남편이나 자녀들이 아내/엄마의 희생적인 사랑을 머리로는 좀 알면서도 실제로 삶 속에서는 인식(?)을(여기선 "인식"이란 단어보다 "인정"이란 단어가 적합하겠네요) 잘 못하고(안하고? ㅠ) 살고 있는 것 같아서요. 제가 밑에 사진을 저희 여섯 식구 카톡방에 나누고 싶어도 제 아내가 없어서 나누기가 좀 곤란하네요. 혹시나 아내가 섭섭해 하지 않을까 생각이 되어서요 ㅠ [근디 어떻게 AI 사진에 제 모습은 완전 할아버지네요 ㅎㅎㅎ] 다른 지체가 이렇게 만들어 줬습니다. 하하. 감사. 

순금 같은 신앙

          여러분 생각엔 성경 욥기서에서 제일 잘 알려지고 우리 신자들이 좋아하는 말씀 두 구절을 뽑으라고 한다면 어느 구절을 뽑으시겠습니까 ?    제 생각엔 그 두 구절 중 하나는 욥기  8 장  7 절이라 생각합니다 : “ 네 시작은 미약하였으나 네 나중은 심히 창대하리라 ."    저는 이 성경구절을 어느 회사에 방문해서도 보았지만 또한 어느 식당에 가서도 벽에 이 욥기  8 장  7 절 말씀이 적혀 있는 성구 벽걸이를 걸어놓은 것을 본 기억이 있습니다 .    왜 회사나 식당에 이 성경 구절이 적힌 성구 벽걸이를 걸어 놓는 것일까요 ?    제가 정확히 그 회사나 식당 사장님이 왜 그 성구 벽걸이를 걸어놓았는지 그 이유를 정확히 알지는 못하지만 그 성구 벽걸이를 본 저는 이 욥기  8 장  7 절 말씀이 그들에게 희망을 주기 때문이라 생각합니다 [ 비록 이 말씀은 욥의 친구인 수아 사람 빌닷이 말한 내용이지만 (1 절 )].    예를 들어 ,  식당 주인이 음식점을 차려 개업할 때에 욥기  8 장  7 절 성구 벽걸이를 식당 벽에 걸어놓는 이유는 그 성경 말씀대로 비록 지금 식당을 시작할 때에는 미약하지만 나중에는 주님께서 심히 창대케 해주시길 간절히 사모하기 때문일 것입니다 .    그런데 문제는 그 사업이 창대해지고 나서입니다 .    즉 ,  왜 사업이 창대해져야 하는지 분명하고 뚜렷한 성경적인 목적이 식당 주인에게 없다는 것이 큰 문제입니다 .    그러므로 그 식당 주인은 교만해지고 욕심이 많이질 위험이 참 많습니다 .    그 때에 우리는  ' 내 나중은 심히 창대해졌지만 내 더 나중은 내 시작보다 더 심히 미약해져야 한다 ' 고 생각...

우리는 갇혀 있으나 소망을 품은 자들입니다.

  우리는 갇혀 있으나 소망을 품은 자들입니다 .     “ 갇혀 있으나 소망을 품은 자들아  …”( 스가랴  9 장  12 절 상반절 ).                어제 월요일 밤에 잠들기 전에 성경을 읽다가 스가랴  9 장  12 절 상반절인  “ 갇혀 있으나 소망을 품은 자들아  …” 라는 말씀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   그래서 잠시나마 이 하나님의 말씀을 묵상했을 때  “ 갇혀 있으나 ” 란 말씀에 관하여 두 성경 말씀이 생각났고 오늘 다시금 묵상을 했을 때 또 하나 성경 말씀이 생각났습니다 :   (1)    첫 번째 생각난 성경 말씀은 출애굽기  14 장  3 절입니다 : “ 바로가 이스라엘 자손에 대하여 말하기를 그들이 그 땅에서 멀리 떠나 광야에 갇힌 바 되었다 하리라 .”    애굽 왕 바로의 이성적인 생각대로 그가  “ 자기 전차를 갖추어 군대를 이끌고  ( 이스라엘 자손을 )  추격 ” 했을 때 (6 절 ,  현대인의 성경 )  이스라엘 자손은  “ 광야에 갇힌 바 되었 ” 습니다 (3 절 ).   그 때 이스라엘 자손은 바로 왕과 그의 애굽 군대가 접근해 오고 있는 것을 보고 심히 두려워하여 하나님께 도와 달라고 부르짖다가 (10 절 ,  현대인의 성경 )  모세에게 이렇게 말했습니다 : “…  애굽에 매장지가 없어서 당신이 우리를 이끌어 내어 이 광야에서 죽게 하느냐 어찌하여 당신이 우리를 애굽에서 이끌어 내어 우리에게 이같이 하느냐 ”(11 절 ).   홍해 앞에서 이스라엘 자손은 갇힌 바 되었으므로 그들은  “ 이 광야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