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나눔 사역 일기 (Sharing Ministry Journal)

나눔 사역 일기 ( Sharing Ministry Journal ) 2025. 10. 23. 목요일. 오늘 YMCA 에서 운동을 하면서 두 지체하고 각각 따로 다른 시간에 카카오톡으로 대화를 나눴습니다.  그 나눔 속에서 저는 "나눔 사역 일기"(Sharing Ministry Journal)를 쓰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어서 이렇게 밤 11시가 좀 넘어서 잠들기 전에 오늘 하루를 뒤돌아보면서 나눔 사역에 관하여 배우게 된 점들이나 느낀 점들이나 생각하게된 점들을 좀 두리뭉실하게 기록해보고자 합니다.  저의 나눔 사역 일기가 여러분들에게도 조금이나마 유익되길 바랍니다. 1. Sharing is Caring !   오늘 대화 속에서 저는 제 막내 딸 예은이가 초등학교 다닐 때 저에게 한 말인 "Sharing is Caring"란 말이 생각났습니다.  아마도 그 이유는 어느 한 지체와 주님 안에서 진솔한 대화를 나눴을 때 주님의 사랑으로 서로 care하기에 그 caring heart로 각자 마음의 이야기를 나눴기 때문인 것 같습니다. 2. 나눔은 관심 속에서 몇 마디 인사로 시작되었습니다. 여러번 경험케하셨는데 오늘도 저는 운동을 하면서 어느 지체가 생각나서 카카오톡으로 몇 마디 글을 적어 보냈는데  그 말로 말미암아 주님 안에서 진솔한 대화를 나누게 되었습니다.  다른 지체도 저는 몇 마디 글을 적어서 카카오톡으로 보낸 것뿐인데 귀한 마음의 대화를 나누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저는 그 때 그 때 생각나게 하시는 사람이 있고 관심이 생기면 서슴치 않고 마음으로 하고 싶은 말(그 말이 인사이든 다른 말이든)을 계속해서 해야겠다는 다짐입니다. 3. 나눔의 타이밍이 기가막힙니다. 하하. 오늘도 그 두 지제들 하고 각각 따로 대화를 하면서 공통적으로 그들이 저에게 한 말을 생각해보면 각자 무엇을 고민하고 있었을 때 제가 카톡으로 말을 걸었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그들은 제가 말을 걸었음으로 말미암아...

하나님의 말씀이 광야에 있는 우리에게 임할 것입니다.

하나님의 말씀이 광야에 있는 

우리에게 임할 것입니다.

 

 

 

 

디베료 황제가 통치한 열다섯 본디오 빌라도가 유대의 총독으로, 헤롯이 갈릴리의 분봉 왕으로, 동생 빌립이 이두래와 드라고닛 지방의 분봉 왕으로, 루사니아가 아빌레네의 분봉 왕으로, 안나스와 가야바가 대제사장으로 있을 때에 하나님의 말씀이 들에서 사가랴의 아들 요한에게 임한지라”[(현대인의 성경) “로마의 티베리우스황제가 다스린 15년째가 되던 해에 본디오 빌라도는 유대 총독으로 있었다.  그리고 헤롯은 갈릴리 지방의 왕으로, 그의 형제 빌립은 이두래와 드라고닛 지방의 왕으로, 루사니아는 아빌레네 지방의 왕으로 있었으며 안나스와 가야바는 대제사장으로 있었다.  바로 무렵 하나님의 말씀이 광야에 있는 사가랴의 아들 요한에게 들려왔다”](누가복음 3:1-2)하는 말씀을 묵상하면서 주시는 교훈을 받고자 합니다:

 

 

(1)   저는 누가복음 3 1-2 말씀을 묵상할 하나님의 말씀이 들에서 사가랴의 아들 요한에게 임한지라”[(현대인의 성경) “바로 무렵 하나님의 말씀이 광야에 있는 사가랴의 아들 요한에게 들려왔다”](2 하반절)하는 말씀에 관심을 갖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저는 말씀을 묵상할 3가지 흥미로운 점들을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a)   첫째로, 예언자적 메시지가 부재했던 400년의 침묵기 이후에 처음으로 하나님의 말씀이 광야에 있는 세례 요한에게 임했다는 것입니다(인터넷).

 

(i)                  저는 개인적으로 지금 아모스 8 11절의 예언 말씀이 성취되었다고 생각합니다: “ 여호와의 말씀이니라 보라 날이 이를지라 내가 기근을 땅에 보내리니 양식이 없어 주림이 아니며 물이 없어 갈함이 아니요 여호와의 말씀을 듣지 못한 기갈이라.”

 

·         비록 인터넷을 통해서도 하나님의 말씀이 홍수처럼 쏟아져 나오는 시대이지만 저는 아모스 선지자의 예언대로 하나님의 말씀을 듣지 못한 기갈을 맞이했다고 생각합니다.

 

-          찬송가 446 음성 외에는” 1 가사와 후렴 생각났습니다: “ 음성 외에는 기쁨 없도다 사랑하신 계시옵소서 기쁘고 기쁘도다 항상 기쁘도다 주께 왔사오니 주시옵소서.”

 

(b)   둘째로, 하나님의 말씀이 세례 요한에게 임한 장소가 ”[“광야”(현대인의 성경)]( 3:2)이라는 것입니다.

 

(i)                  여기서 이란 헬라어 단어 ρήμ”(에레모스) 의미는 광야”(a desert, wilderness)로서 물리적 장소인 광야는 세례 요한의 메시지를 더욱 강조합니다.  로마의 대로들은 제국의 권세를 자랑했지만, 세례 요한은 광야 지역에 서서 왕국을 선포하였습니다.  그가 “유대 광야에서 전파하니라”(3:1) 것은 성경의 성취일 아니라, 예루살렘의 제사장 부패로부터의 분리를 나타냅니다.  무리들이 그에게 몰려나오는 것은, 진정한 회개가 하나님을 만나기 위해 때로는 문화적 중심지를 떠나는 것을 요구할 있음을 보여줍니다(인터넷).

 

·         여기서 예루살렘의 제사장은 오늘 본문 누가복음 3 2절에서 말씀하고 있는 안나스와 가야바대제사장으로서 그들의 부패란 안나스는 전직 대제사장으로서 예수님의 사역을 핍박하고 예수님과 사도들을 처형하는 앞장섰고, 가야바는 현직 대제사장이요 안나스의 사위로서 예수님을 십자가에 매달도록 모의를 꾸몄음을 말합니다(참고: 인터넷).

 

-          흥미로운 점은 성경에서광야”(ρήμ) 역설적으로 하나님을 구하는 자들에게 하나님께서 풍성히 임재하시고 공급하시는 장소이기도 하다는 것입니다.  한계가 없는 주님은 인생의제한된”(어렵고 힘든) 장면들 속에서 자신이 강하심을 나타내신다는 것입니다(In Scripture, a "desert" (érēmos) is ironically also where God richly grants His presence and provision for those seeking Him.  The limitless Lord shows Himself strong in the "limiting" (difficult) scenes of life)(인터넷).

 

n  그러므로 우리는 의도적으로라고 “광야”로 들어가야 합니다.  우리는 스스로 광야에 들어가 하나님의 거룩한 임재 앞에 머물러 있어야 합니다.  우리는 앞에 엎드려야 합니다.  그리고 주님의 반가운 음성을 들어야 합니다.  광야만큼 사람이 떡으로만 사는 것이 아니요 여호와의 입에서 나오는 모든 말씀으로 사는 줄을 만한 곳이 없습니다(8:3). 그러므로 우리는 광야의 생활을 즐길 있어야 합니다.  즐기는 생활 가운데서 우리의 영혼이 살고 또한 소성케 돼야 합니다.  곳에서 우리는 반석이 되시는 예수님의 넘치는 생수의 강을 체험해야 합니다(7:38).  우리는 광야에서 성령 충만해져야 합니다.

 

(c)   마지막 셋째로, 세례 요한에게 임한 하나님의 말씀은 하나님의 특별한 소명의 말씀이었다는 것입니다.


(i)                  소명의 말씀이란 누가복음 3 4 말씀으로서 말씀은 이사야 40 3 말씀을 인용한 것입니다: “선지자 이사야의 책에 광야에서 외치는 자의 소리가 있어 이르되 너희는 주의 길을 준비하라 그의 오실 길을 곧게 하라.”

 

·         여기서 세례 요한의 소명이란 주님의 오실 길을 곧게하므로 준비하되 백성들을 향해 하나님의 말씀을 선포하는 것으로 말씀이란 사함을 받게 하는 회개의 세례”(3)입니다.  , 세례 요한에게 하나님의 특별한 소명의 말씀이란 죄를 씻는 회개의 세례를 백성들에게 선포하므로 하나님의 백성이 구원받을 준비를 시키는 것이었습니다(참고: 인터넷).

 

-          그래서 세례 요한은 유대 광야에서 회개하라 천국이 가까이 왔느니라”(3:1-2)하고 전파했습니다.

 

n  저는 세례 요한에게 임한 하나님의 특별한 소명의 말씀을 묵상할 1987 승리장로교회 대학부 수련회 김영익 목사님이 선포하신 요한복음 6 1-15 말씀을 통하여 주님께서 저를 부르시사 사명을 주신 것이 생각났습니다.  멈출 없고 끝나지 않는 주님의 말씀을 주야로 묵상하여 나누는 것이 저의 소명입니다(Unstoppable and unending calling of meditating His living Word day and night and share with others. This is my calling).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