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라벨이 이삭인 게시물 표시

우리가 바라고 기다리는 것은 예수님의 재림입니다!

 우리가 바라고 기다리는 것은 예수님의 재림입니다!       “ 백성들이 바라고 기다리므로 모든 사람들이 요한을 혹 그리스도신가 심중에 생각하니 ”[( 현대인의 성경 ) “ 백성들은 메시야를 무척 기다리고 있었으므로 혹시 요한이 그가 아닌가 하고 모두 속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 누가복음 3:15) 하는 말씀을 묵상하면서 주시는 교훈을 받고자 합니다 :     (1)     저는 이 말씀을 묵상할 때 “ 백성들이 바라고 기다리 ” 고 있었던 분은 “ 메시야 ” 요 ( 눅 3:15, 현대인의 성경 ), 그들이 얼마나 메시야를 바라고 기다렸으면 세례 요한이 혹시 메시야가 아닌가 하고 속으로 생각까지 하였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   (a)     이러한 생각 속에서 든 생각은 제가 풀러 신학교를 다녔을 때 김세윤 교수님으로부터 배운 유대인들의 메시아적 기대 (Messianic expectation) 3 가지가 생각났습니다 : (1) 정치적 해방 (Political freedom), (2) 경제적 풍부 (Economic prosperity), (3) 사회적 공의 (Social justice)( 김세윤 ).   (i)                       세례 요한이 요단강 부근의 여러 지방을 다니며 죄를 용서받게 하려고 회개의 세례를 전파하였을 당시 (3 절 , 현대인의 성경 ) 유대인들은 메시아가 오시면 자기들을 지배하고 다스리고 있었던 로마 ...

하나님께서 죽은 사람들까지도 다시 살리실 수 있다고 믿었습니다.

하나님께서 죽은 사람들까지도 다시 살리실 수 있다고 믿었습니다.  한 회당장은 예수님께서 자기의 죽은 딸을 살리실 수 있는 줄 믿었습니다 .   그래서 그는 예수님께 와서 절하며 이렇게 말했습니다 : “' 제 딸이 방금 죽었습니다 .   그러나 오셔서 딸에게 손을 얹어 주시면 살아날 것입니다 ”( 마태복음 9:18, 현대인의 성경 ).   그 결과 그는 그의 믿음대로 예수님께서 그의 죽은 딸의 손을 잡으시매 그녀가 곧 일어났습니다 (25 절 , 현대인의 성경 ).   저는 이 회당장의 믿음을 생각할 때 히브리서 11 장 19 절 말씀이 생각났습니다 : “ 아브라함은 하나님께서 죽은 사람들까지도 다시 살리실 수 있다고 믿었습니다 .   말하자면 아브라함은 죽은 사람들 가운데서 이삭을 다시 받은 셈입니다 ”( 현대인의 성경 ).

위대한 아버지 (요일 3:1상)

  오늘 여기 미국은 아버지 날(Father's Day)입니다. "위대한 아버지"란 제목 아래 (1) 아버지 아브라함과 (2) 하늘에 계신 우리 아버지 하나님을 묵상했습니다. 저는 세 자녀들의 아버지로서 하나님 아버지의 마음을 본받아 아브라함처럼 믿음으로 딜런, 예리, 예은이를 주님께 드립니다. 그들도 하나님의 크신 은혜와 사랑으로 예수님과 복음을 위해서 살기를 기원합니다. https://youtu.be/Ox8_3C4u-yw

위대한 아버지 (요한일서 3장 1절 상반절)

위대한 아버지         “ 하나님 아버지께서 우리에게 베푸신 사랑이 얼마나 큰지 한번 생각해 보십시오 .   그 큰 사랑으로 우리는 하나님의 자녀가 되었습니다 . …”[( 개역개정 ) “ 보라 아버지께서 어떠한 사랑을 우리에게 베푸사 하나님의 자녀라 일컬음을 받게 하셨는가 …”] ( 요일 3:1 상 , 현대인의 성경 ).       미국에서는 오늘 6 월 18 일을 ‘ 아버지 날 ’(Father’s day) 로 지킵니다 .   그런데 저희 교회는 금년 5 월 둘째 주일 (14 일 ) 을 한국식으로 “ 어버이 주일 ” 로 지켜서 따로 “ 아버지 주일 ” 로 지키지 않기지만 설교는 아버지에 대한 말씀을 준비하게 되었습니다 .   제가 설교 제목을 “ 위대한 아버지 ” 라고 정하게 된 것은 지난주에 고 심수은 사모님의 “ 천국환송예배 ” 때 그녀의 남편인 김준학 목사님이 조사를 하면서 자신의 아내를 가리켜 “ 위대한 엄마 ” 라고 말했기 때문입니다 .   그래서 저는 오늘 “ 위대한 아버지 ” 란 제목 아래 성경에서 말씀하고 있는 두 분의 아버지들을 묵상하면서 주님께서 우리 각자에게 주시는 은혜를 받고자 합니다 :   첫째로 , 아버지 아브라함에 대해서 묵상하고자 합니다 .   제가 아버지 아브라함에 대해서 묵상할 때 제일 먼저 생각난 것은 창세기 22 장의 말씀입니다 .   그 이유는 창세기 22 장 1 절을 보면 하나님께서 아브라함을 시험하시는 장면이 나오기 때문입니다 .   여기서 하나님의 시험이란 하나님께서 아브라함에게 “네 아들 네 사랑하는 독자 이삭을 데리고 모리아 땅으로 가서 내가 네게 일러준 한 산 거기서 그를 번제로 드리라”는 것이었습니다 (2 절 ).   즉 , 하나님의 시험이란 아브라함이 사랑하는 독자 이삭을 번제로 드리는 것이었습니다 . ...

친절한 사람을 만나게 하시사 일하게 하시는 하나님

친절한 사람을 만나게 하시사 일하게 하시는 하나님 시어머니 나오미에게 " 제가 밭에 가서 이삭을 줍게 해 주세요 .   혹시 친절한 사람이라도 만나면 제가 그를 따라다니며 이삭을 줍겠습니다 " 라고 말했을 때 룻은 이삭을 주을 수 있는 밭 ( 일할 수 있는 곳 ) 이 정해졌던 것이 아니었습니다 .   그저 시어머니 나오미가 " 내 딸아 , 가거라 " 하고 말씀을 하셔서 룻은 밭으로 나아갔는데 공교롭게도 그 곳은 시아버지 엘리멜렉의 친척 보아스의 밭이었고 또한 보아스의 일꾼들을 감독하는 사람이 모압 땅에서 나오미와 함께 온 룻이 자기에게 일꾼들을 따라다니면서 떨어진 이삭을 줍게 해 달라고 부탁한 것을 들어줘서 룻이 " 아침부터 지금까지 계속 이삭을 " 줍는 일을 할 수 있었던 것입니다 ( 룻기 2:1-7, 현대인의 성경 ).

우물가에서의 만남들

우물가에서의 만남들   미디안 땅으로 피신한 모세가 우물가에 앉아 있을 때 미디안 제사장 르우엘의 일곱 딸들과의 만남을 갖게 되었습니다 .   그 결과 모세는 르우엘의 딸 십보라와 결혼을 했습니다 ( 출애굽기 2:15-21, 현대인의 성경 ).   아브라함의 종도 아브라함의 아들 이삭의 배우자를 찾는 과정에서 우물가에서 리브가와의 만남을 갖게 되어 결국 이삭과 리브가가 결혼을 했습니다 ( 창세기 24:11-67, 현대인의 성경 ).   예수님께서는 우물가에 앉아 계셨을 때 한 사마리아 여자와의 만남을 가지셨습니다 .   그 결과 그 여자는 예수 그리스도를 믿게 되어 영원한 생명을 얻게 되었을 뿐만 아니라 그 여자의 말을 듣고 그 마을에 사는 많은 사마리아 사람들도 예수님을 믿게 되었습니다 ( 요한복음 4:6-42, 현대인의 성경 ).   이렇게 하나님의 놀라운 역사는 우물가에서 시작된 것을 생각할 때 복음 성가 " 우물가의 여인처럼 " 이 생각납니다 : (1 절 ) 우물가의 여인처럼 난 구했네 헛되고 헛된 것들을 그 때 주님 하신 말씀 내 샘에 와 생수를 마셔라 (2 절 ) 많고 많은 사람들이 찾았었네 헛되고 헛된 것들을 주 안에 감추인 고백 세상 것과 난 비길 수 없네 (3 절 ) 내 친구여 거기서 돌아오라 내 주의 넓은 품으로 우리 주님 나를 반겨 그 넓은 품에 안아 주시리 ( 후렴 ) 오 주님 채우소서 나의 잔을 높이 듭니다 하늘 양식 내게 채워 주소서 넘치도록 채워 주소서 .

편애하는 부모도 사용하시는 신실하신 하나님 (창세기 25장 27-28절)

편애하는 부모도 사용하시는 신실하신 하나님         “ 그 아이들이 자라 에서는 능숙한 사냥꾼이 되어 들을 좋아하였고 야곱은 조용한 사람이어서 집에 머물러 있기를 좋아하였다 .   이삭은 에서가 사냥해 온 고기를 좋아하였으므로 그를 사랑하였고 리브가는 야곱을 사랑하였다 ”( 창세기 25 장 27-28 절 , 현대인의 성경 ).                 왜 자식을 편애하는 것일까요 ?   미국 캘리포니아대학 데이비스 캠퍼스 (UCD) 연구진은 768 명 (384 쌍 ) 의 형제자매와 그들의 부모를 면접 조사한 결과 , 아버지의 70%, 어머니의 65% 가 자녀 중 한 명을 선호한다고 답했으며 그 대부분이 맏이였다고 밝혔습니다 ( 인터넷 ).   그리고 부모의 편애로 심각한 정서적 손상을 입은 자녀는 자기 자신을 독립적인 한 인격으로 인정하는 데 큰 어려움을 겪게 될 뿐만 아니라 이성관계 및 결혼생활에도 악영향을 끼칠 가능성도 높다고 합니다 .   이성을 통해 부족했던 부모의 사랑을 대신 채우려고 관계에 대해 지나치게 집착할 수 있고 또한 상대방으로부터 버림받을 것 같은 불안과 두려움을 안고 살아갈 수도 있다고 합니다 .   편애로 상처받은 자녀들은 정서적인 부분에서도 큰 문제를 겪을 수 있다고 합니다 ( 인터넷 ).             오늘 본문 창세기 25 장 28 절을 보면 현대인의 성경은 “이삭은 에서가 사냥해 온 고기를 좋아하였으므로 그를 사랑하였고 리브가는 야곱을 사랑하였다”고 말씀하고 있습니다 .   왜 아버지 이삭과 어머니 리브가는 자식을 편애한 것일까요 ?   아버지 이삭은 능숙한 사냥꾼인 (28 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