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님의 명령을 순종함에 있어서는 어느 누구의 제안도 거절해야 하지 않을까요? 아합 왕은 조상들에게서 대대로 물려받은 유산인 나봇의 포도원을 고작 채소밭으로 사용하고 싶어서 그 포도원 대신 그보다 더 좋은 포도원을 나봇에게 주겠다고 말했습니다 . 또한 그는 만일 나봇이 원한다면 그 포도원 값을 후하게 매겨 돈으로 줄 수 있다고도 말했습니다 . 그러나 나봇은 “ 여호와께서 이런 유산을 다른 사람에게 팔거나 넘기지 말라고 명령하셨 ” 기에 아합 왕의 제안을 거절했습니다 ( 열왕기상 21:1-6, 현대인의 성경 ). 우리가 하나님의 명령을 순종함에 있어서는 대통령의 제안도 거절해야 한다면 하물며 어느 누구의 제안도 거절해야 하지 않을까요 ?
"하나님은 커지고 우리는 작아질수록 ..." " 하나님은 커지고 우리는 작아질수록 , 그분이 명령하신 일을 담대히 행할 수 있는 용기가 더욱 커진다 . 그러나 하나님은 작아지고 우리가 커질수록 복종할 수 있는 용기는 더 줄어든다 ." ( 매트 챈들러 , " 시대가 악해지더라도 복음을 부끄러워하지 말라 " in " 복음을 부끄러워하지 않는 그리스도인 ")
하나님의 긍휼하심 하나님의 긍휼하심은 하나님을 거듭거듭 시험하고 반항하여 하나님의 명령을 지키지 않고 하나님을 배반하고 거짓행하는 우리의 죄악을 덮어 주시고 우리를 멸망시키지 않으시며 하나님의 진노를 여러 번 돌이키시며 하나님의 모든 분노를 우리에게 다 쏟아내지 아니하시는 것입니다 ( 시편 78:38, 41, 56, 57).
의미 없는 숫자, 의미 있는 순종 하나님에게는 숫자가 의미가 없습니다 . 하나님은 하나님의 명령을 순종하는지에 의미를 두십니다 . 심히 큰 숫자의 사람들이 하나님의 명령을 거역하고 하나님을 버리므로 스스로 형통하지 못하게 하는 것보다 적은 무리의 사람들이 하나님의 명령을 순종하므로 하나님께서 형통케 하시는 것이 훨씬 낫습니다 ( 역대하 24:20, 24).
실제와 결과가 다른 이유? 실제로는 아히도벨의 계략이 후새의 계략보다 낫었는데 결과는 압살롬과 온 이스라엘 사람들은 후새의 계략이 아히도벨의 계략보다 낫다고 말했습니다 . 그 이유는 하나님께서 압살롬에게 화를 내리시려고 아히도벨의 좋은 계략을 물리치시라고 명령하셨기 때문이었습니다 ( 삼하 17:14). 우리의 삶의 계획에 있어서 실제와 결과가 다를 수 있는 경우는 하나님께서 그리 명령하셨기 때문입니다 . " 사람의 마음에는 많은 계획이 있어도 오직 여호와의 뜻만이 완전히 서리라 "( 잠 19:21).
불순종하는 자의 가치관 하나님의 명령은 다 진멸하라였는데 불순종하는 교만한 자는 자신이 보기에 " 가장 좋은 것 " 은 남기고 " 가치 없고 하잖은 것 " 만 진멸합니다 . 이렇게 불순종하는 자의 가치관은 자기가 보기에 " 가장 좋은 것 " 이 중요하지 ( 그 " 가장 좋은 것 " 이 자기 자신에게 매우 해로운 것인 줄도 모르고 ) 결코 하나님의 명령에 순종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는 사실을 모르고 있습니다 ( 삼상 15:3, 9, 22).
그들의 말을 좋게 여기는게 좋았던 것이었을까요? 이스라엘 백성들은 모세에게 " 사람을 우리보다 먼저 보내어 우리를 위하여 그 땅을 정탐하고 어느 길로 올라가야 할 것과 어느 성읍으로 들어가야 할 것을 우리에게 알리게 하자 " 고 말했습니다 . 그 때 모세는 그들의 말을 좋게 여겨 12 명의 정탐꾼들을 보냈습니다 . 그 결과이스라엘 백성들은 그 땅으로 올라가길 원치 않았으며 하나님의 명령을 거역하여 장막 중에서 원망을 했습니다 . 그들은 하나님을 믿지 않았습니다 ( 신명기 1:19-33). 질문은 모세가 이스라엘 백성들의 말을 좋게 여겼던게 과연 좋은 선택이었을까요 ? 아니면 그냥 모세가 " 너희의 하나님여호와께서 이 땅을 너희 앞에 두셨은즉 너희 조상의 하나님 여호와께서 너희에게 이르신 대로 올라가서 차지하라 두려워하지 말라 주저하지 말라 " 고 말한대로 순종하는게 더 좋은 선택이었을까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