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고난은 기회입니다. (6)

"고난의 유익은 그 고난을 통하여 내가 하나님 보시기에 그릇행하였다는 것을 깨닫는 것과 하나님의 법을 배우게 된 것과 이제부터 하나님의 말씀을 지키게 된 것입니다(시 119:67, 71). 이러한 깨달음(나의 죄)과 배움(하나님의 말씀)과 지킴( 말씀 순종)이 없는 고난은 무익합니다." 1. 깨달음: 교만함(시119:69), 그릇 행함(67절), 마음의 살찜과 기름덩이(70절) [마음에 지방을 제거하라!: https://blog.naver.com/kdicaprio74/150112959844] 2. 배움: 자녀들의 위기를 통해 저는 선하신 주님께서(68절) 저를 선대하사(65절) 가르쳐주신(68절) 시편 63편 3절 말씀과 베드로전서 5장 10절 말씀을 배우게 되었습니다(71절). [20년 전 이 아빠의 품에 잠든 사랑하는 첫째 아기 주영이를 추모하면서 ... : https://blog.naver.com/kdicaprio74/221262767368] [금년 2019년 한 해를 영원히 과거로 보내기에 앞서 ...: https://blog.naver.com/kdicaprio74/221756284213] 3. 지킴: https://youtu.be/i6TfokavYN4?si=P1E4vvk_bnPOvabx

우리도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을 철저히 그리고 정확하게 알아야 합니다.

우리도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을 철저히 

그리고 정확하게 알아야 합니다.

 

 

 

 

모든 일을 근원부터 자세히 미루어 살핀 나도 데오빌로 각하에게 차례대로 보내는 것이 좋은 알았노니 이는 각하가 알고 있는 바를 확실하게 하려 함이로라”[(현대인의 성경) “나도 모든 일을 처음부터 자세히 조사해 보았으므로 데오빌로 각하에게 차례대로 써보내는 것이 좋을 것이라고 생각했습니다.  그래서 내가 각하께서 이미 들으신 일들이 사실임을 알게 하려고 글을 드립니다”](누가복음1:3-4)하는 말씀을 묵상하면서 주시는 교훈을 받고자 합니다:

 

(1)   여기서 모든 예수님에 관한 모든 사건, 예수님 중심으로 발생했던 모든 일들을 가리키고, “근원부터 처음부터”, “ 시초부터또는 일찍부터”( 26:5)라는 뜻입니다(호크마).

 

(a)   그리고 자세히 아주 세밀한 부분까지 파고 들어가는 열정적 태도를 가리키는데 오늘 본문에서는 그런 맥락에서 매우 정확하게”, “엄밀하게 뜻으로 이해할 있습니다(호크마).

 

(b)   그리고 차례대로 순서에 맞추어”, “연속적으로라는 뜻으로서 누가는 자신의 복음서를 서술함에 있어서 역사적 시간순을 존중하여 연대기적 기술 방법을 택했다고 소개합니다.  더욱이 그는 단순히 사건들을 시간적 배열만 것이 아니라 그것을 어떤 주제 의식을 갖고 신중히 체계화, 조직화 했음을 밝힌 것입니다. 사실 누가복음 9:51-18:8 주제에 의해 사건과 교훈이 나열되어 있습니다.  이로 미루어 누가는 다음과 같은 원칙에 따라 복음서를 기록해 나갔음이 밝혀집니다.   첫째, 역사성, 둘째, 정확성, 셋째, 논리적 일관성의 원칙에 따랐으니 이는 또한 누가복음 전체의 특성을 말해주는 것이기도 합니다(호크마).

 

(c)   그리고 미루어 살핀 마음을 다하여 무엇을 따르다”, “집요하게 무엇을 탐구하다 등의 뜻으로서 고대 헬라어에서 흔히 사용되던 동사의 완료 능동태 분사형입니다.  이는 누가가 자신의 독자들에게 자신의 기록에 대한 신뢰감을 심어주기 위해 언급한 말로서, 누가는 복음서를 기술하기에 앞서 주도 면밀하고도 심층적인 연구와, 정확하고도 방대한 지식을 지니고 있었음을 고백하고 있는 것입니다.  이로써 그는 자신의 기록이 어느 누구에게도 뒤지지 않을 정도로 충실하고 정확하다는 사실을 밝힌 것입니다(호크마).

 

(2)   저자 누가는 사도행전과 누가복음을 데오빌로 각하”(수신자)에게 썼는데 데오빌로(Theophilus)”라는 이름은 헬라어 데오스”(의미: “하나님”) 필레오”(의미: “사랑하다”, “친구가 되다”)라는 단어들의 합성어로서 이를 합하면 하나님의 사랑을 받는 또는 하나님의 친구라는 뜻으로, 사람 자신뿐 아니라 그를 통해 말씀을 받는 모든 독자가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자신을 계시하시는 하나님의 은혜로운 호의와 부르심 아래 있음을 암시합니다(인터넷).

 

(a)   누가가 데오빌로에게 누가복음을 차례대로 보낸 목적은 이미 예수 그리스도 복음의 초보에 들어 있었던(호크마) 데오빌로가 알고 있는 바를 확실하게 위해서였습니다(4).

 

(i)                  여기서 확실하게 하다라는 단어는 무엇이 걸려 넘어지지 않고 견고히 서는 것을 뜻합니다(호크마).

 

·         누가는 그의 복음을 질서 있게 기록하면서 “이는 각하가 알고 있는 바를 확실하게 하려 함이라”라고 밝힙니다.   말씀은 목격자의 증언과 성령의 인도하심을 따라 전해진 기록에 뿌리내린 확고한 확신을 강조합니다(1:1-3).  여기서 제시되는 확실성은 단순히 학문적인 것이 아니라, 믿음과 제자도를 붙드는 토대가 됩니다(인터넷).

 

-          확실성은 계시에 기초함: 누가의 탐구하여 기록한 서술은 믿음을 위한 성령의 감동된 토대를 제공하며, 성경이 받아들여지고 되새겨질 확신이 자라난다는 사실을 보여 줍니다( 10:17)(인터넷).

 

(ii)                그러기 위해선 데오빌로뿐만 아니라 우리도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을 철저히 그리고 정확하게 알아야 합니다(참고: 호크마).

 

-          실로 우리가 믿고있는 복음은 우리를 견고히 세우고 온전케 하며 확신을 같게 합니다(딤후 3:15-17)(호크마).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