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라벨이 며느리인 게시물 표시

소중한 아내/엄마인데 ...

 소중한 아내/엄마인데 ... 제주도에 사는 사랑하는 어느 형제가 저의 부탁을 들어줘서 딜런과 제시카 결혼식 때 찍은 사진을 보냈더니 밑에 사진을 만들어 줬답니다 ㅎㅎ 그런데 희안한 것은 그 형제의 말로는 AI가 제 아내를 인식을 못한다고 하네요 ㅎㅎㅎ Mystery네요 ㅎㅎㅎ 왜 original 사진은 6명인데 제 아내를 인식을 못하는지 좀 이상하지만 제가 그 형제에게 어쩌면 하나님의 뜻이 있는 것 같다라고 말하면서 여기에 좀 글을 써서 나누겠다고 말했답니다 ㅎㅎ 제가 좀 나누고자 하는 것은 뭐냐면 제 아내 또는 세 자녀들의 엄마인 김(오)현영(Jane)이는 우리 가정에 없어서는 안되는 사람인데도 불구하고 AI가 인식을 못하듯이(그런데 AI이네요 ㅋㅋㅋ) 어쩌면 남편이 저나 세 자녀들이(이젠 며느리까지? ㅎㅎ) 아내/엄마의 소중함을 인식하지 못하지 않나 생각합니다. 좀(?) 슬픈 현실인 것 같아요, 아내/엄마라는 존재가요. 그리도 희생적으로 가정을 위해서 고생을 많이 하는데도 불구하고 남편이나 자녀들이 아내/엄마의 희생적인 사랑을 머리로는 좀 알면서도 실제로 삶 속에서는 인식(?)을(여기선 "인식"이란 단어보다 "인정"이란 단어가 적합하겠네요) 잘 못하고(안하고? ㅠ) 살고 있는 것 같아서요. 제가 밑에 사진을 저희 여섯 식구 카톡방에 나누고 싶어도 제 아내가 없어서 나누기가 좀 곤란하네요. 혹시나 아내가 섭섭해 하지 않을까 생각이 되어서요 ㅠ [근디 어떻게 AI 사진에 제 모습은 완전 할아버지네요 ㅎㅎㅎ] 다른 지체가 이렇게 만들어 줬습니다. 하하. 감사. 

과부 며느리가 다시 행복한 가정을 이루길 원하는 시어머니?

과부 며느리가 다시 행복한 가정을 이루길 원하는 시어머니?  자신의 아들과 사별과 며느리 룻이 다시 행복한 가정을 이루고 살길 원했던 과부 시어머니 나오미는 룻의 재혼을 위하여 적극적으로 개입해서 룻과 구체적으로 대화하면서 일을 추진하는 모습을 룻기 3 장에서 엿봅니다 .   그리고 룻은 자신의 재혼을 추진하는 시어머니 나오미와 대화하면서 시어머니의 말씀에 순종하는 모습을 봅니다 ( 룻기 3 장 ).   과연 몇 명의 시어머니가 죽은 자기 아들의 부인인 며느리가 다시 행복한 가정을 이루길 원하여 그 며느리의 재혼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관여할까요 ?

아름답고 본이되는 시어머니-며느리 관계

 아름답고 본이되는 시어머니-며느리 관계 과부 시어머니인 나오미는 과부 며느리인 룻이 재혼하여 다시 행복한 가정을 이루고 살기를 원하여 그녀에게 남편을 구해주고자 룻에게 목욕을 한 다음 몸에 향수를 바르고 제일 좋은 옷으로 차려 입고 타작 마당으로 내려가서 그녀에게 친절을 베푼 보아스가 잠이 들면 그의 발치로 가서 이불을 들고 거기 누우라고 말했습니다 .   " 그러자 룻은 ' 어머니께서 말씀하신 대로 다 하겠습니다 ' 하고 대답 " 했습니다 .   그리고 룻은 그 날 밤에 타작 마당으로 내려가서 시어머니가 지시한 대로 했습니다 ( 룻기 3:1-6, 현대인의 성경 ).   이 말씀을 묵상할 때 (1) 시어머니는 며느리의 행복을 생각해야 하고 (2) 며느리는 자기의 행복을 생각하는 시어머니의 말씀하신 대로 다 행할 때에 (3) 고부갈등이란 있을 수가 없고 오히려 아름답고 본이 되는 시어머니 - 며느리 관계로 견고히 세워진다고 생각합니다 .

룻은 며느리로서 모범이 됩니다.

 룻은 며느리로서 모범이 됩니다. 남편이 죽었는데도 불구하고 계속해서 시어머니를 사랑하여 자기 부모가 있는 고향을 마다하고 낯선 유다 땅에까지 와서 시어머니 나오미와 함께 살면서 나오미를 잘 봉양을 한 룻은 며느리로서 모범이 됩니다(룻기 2:11, 현대인의 성경; 4:15).

룻에게서 배우는 교훈

룻에게서 배우는 교훈 시어머니인 나오미의 나라이지만 이방 여인인 며느리 룻에게는 낯선 나라인 유다 땅에 와서 그녀는 시어머니의 허락을 받고 이삭을 주으러 나아갔습니다 .   그녀는 혹시나 친절한 사람이라도 만나서 은혜를 입으면 일을 할 수 있으리라 생각했던 것 같습니다 .   그래서 룻은 밭으로 나가 보리 베는 일꾼들을 따라다니면서 떨어진 이삭을 줍고 있었는데 " 우연히 " 죽은 시아버지 엘리멜렉의 집안에 속한 유력한 사람인 보아스의 밭이었습니다 ( 룻기 2:1-3, 현대인의 성경 ).   저는 이 말씀을 묵상할 때 몇 가지 생각을 하게 됩니다 : (1) 며느리 룻은 항상 시어머니인 나오미와 대화를 하고 행동으로 옮긴 것 같습니다 .   (2) 룻은 자신이 객지에 와서 일하러 나아간 이유는 늙은 나오미를 봉양하고자 그리했던 것 같습니다 (4:15).    (3) 성경은 룻이 일하러 간 곳이 " 우연히 " 그녀의 시아버지인 엘리멜렉의 친족 보아스에게 속한 밭이라고 말씀하고 있는데 사람이 보기엔 우연히이지만 하나님의 주권속에서 섭리하셔서 하나님께서 룻을 보아스의 밭으로 인도하셨다고 믿습니다 .   (4) 룻은 누구에겐가에 은혜를 입고자 일하러 나갔는데 결국에는 보아스에게 은혜를 입습니다 (2:10).   이 4 가지 묵상을 통해 배우는 교훈은 (1) 우리는 자주 부모님과 대화할 필요가 있습니다 .   (2) 우리는 연세가 많으신 부모님을 잘 봉양해야 합니다 .   (3) 우리는 하나님의 주권 속에서 인도하심을 믿어야 합니다 .   (4) 하나님께서는 우리에게 은혜를 베푸시되 보아스와 같은 사람을 통해서도 은혜를 베풀어 주십니다 .

계산적으로 생각하면 얻은 사람보다 잃은 사람들이 더 많고 더 크다고 생각할 것입니다.

계산적으로 생각하면 얻은 사람보다 잃은 사람들이 더 많고 더 크다고 생각할 것입니다 .      나오미 ( 뜻 : " 나의 즐거움 ") 가 며느리 룻과 함께 고향 베들레헴으로 돌아와서 그 곳 여자들에게 " 나를 나오미라 부르지 말고 ' 마라 '( 뜻 : " 쓰다 ") 라고 불러 주시오 " 라고 말했습니다 .   그 이유는 " 이것은 전능하신 하나님이 나에게 괴로운 시련을 많이 주셨기 때문입니다 .   내가 이 곳을 떠날 때는 가진 것이 많았으나 여호와께서는 나를 빈손으로 돌아오게 하셨습니다 .   여호와께서 나를 버리시고 나에게 괴로움을 주셨으니 어떻게 당신들이 나를 나오미라고 부를 수 있겠습니까 ?" 였습니다 ( 룻기 1:19-21, 현대인의 성경 ).   유다 땅에 " 흉년 " 으로 인해 고향을 떠나 모압 땅에 가서 살기로 한 결정 (1-2 절 ) 의 결과가 결국 떠날 때 가지고 있었던 많은 것을 다 잃어버리고 빈손으로 다시 고향으로 돌아오는 것이었습니다 .   그 결과 나오미는 하나님께서 자기를 버리시고 자기에게 괴로움을 주셨다고 생각했습니다 .   그러나 나오미는 많은 것을 잃었지만 ( 심지어 자신의 남편과 두 아들도 ) 이방 여인 룻이라는 며느리 한 사람을 얻었습니다 .   계산적으로 생각하면 얻은 사람보다 잃은 사람들이 더 많고 더 크다고 생각할 것입니다 .   그러나 믿음의 눈으로 보면 룻이란 한 여인이 보아스와 재혼해서 다윗왕을 낳은 이새의 아버지 오벳을 낳습니다 (4:17, 현대인의 성경 ).   그리고 다윗왕을 통해 메시야 이신 예수님이 오셨습니다 ( 마태복음 1:1-16, 특히 5-6 절 ).

짧은 말씀 묵상 (2023년 1월 12일)

짧은 말씀 묵상       나오미에게 있어서 " 흉년 " 은 그저 고향을 떠나 모압 땅으로 이주해서 산 것 외에도 남편인 엘리멜렉과 두 아들인 말론과 기룐까지 다 잃어 홀로 남게 되었습니다 ( 룻기 1:1-5, 현대인의 성경 ).   즉 , 나오미에게 있어서 " 흉년 " 이란 ' 가족의 흉년 ' 이었다고 생각됩니다 .   그 가족의 흉년은 그저 돈만 잃는 게 아니라 사랑하는 식구를 잃는 것입니다 .   나오미에게 있어서 " 풍년 " 은 하나님께서 그녀의 고향 땅을 축복하셨다는 것이요 , 그러므로 모압 땅을 떠나 유다 땅으로 돌아오게 만들었습니다 ( 룻기 1:6-7, 현대인의 성경 ).   즉 , 나오미에게 있어서 " 풍년 " 이란 고향으로 돌아오는 것이었습니다 .   하나님께서 우리 모두에게 풍년의 축복을 베풀어 주셔서 주님께 돌아오게 하여 주시길 기원합니다 .   나오미는 자기 고향인 유다 땅으로 돌아오는 도중에 두 며느리인 모압 여인 오르바와 룻에게 친정으로 돌아가라고 권면했습니다 .   그 이유는 나오미는 그 두 며느리가 자신들의 남편과 자기를 정성껏 섬겼기에 이젠 자기 친정으로 돌아가서 재혼하여 행복한 가정을 이루길 원했기 때문입니다 ( 룻기 1:7-9, 현대인의 성경 ).   홀로된 시어머니는 주님께 돌아감에 있어서 며느리의 행복을 위하여 며느리를 축복하고 떠나보내야 합니다 .   너무 늙어 재혼할 수도 없는 시어머니 나오미는 비록 자기 자신은 남편 없이 살 수 있어도 자기의 두 며느리인 오르바와 룻은 재혼하여 남편과 함께 행복한 가정을 이루길 원했습니다 ( 룻기 1:9, 12, 현대인의 성경 ).   며느리의 행복을 위하는 시어머니가 돼야 합니다 .   나오미는 하나님께서 자신의 두 며느리인 오르바와 룻에게 상처를 주어 자기를 벌하셔서 자기 마음이 더욱 아프다고 그 두 ...

못 말리는 며느리?

 못 말리는 며느리? 나오미의 두 며느리 중 오르바는 시어머니에게 작별 인사를 하고 친정과 자기 백성 ( 모압 ) 과 자기 신들에게 돌아갔습니다 .   그러나 룻은 계속 시어머니 곁을 떠나지 않고 시어머니와 함께 유다 땅으로 가서 거기서 살길 원했습니다 .   룻은 시어머니의 백성이 자기기의 백성이 되고 시어머니의 하나님이 자기의 하나님이 되실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   더 나아가서 , 룻은 시어머니 나오미에게 이렇게 말했습니다 : " 어머니께서 돌아가시는 곳에서 저도 죽어 묻힐 것입니다 .   죽음이 우리를 갈라놓기 전에 만일 제가 어머니 곁을 떠나면 여호와께서 저에게 무서운 벌을 내리시기 원합니다 ."   나오미는 룻이 자기와 함께 가겠다고 굳게 결심한 것을 보고 더 이상 말릴 수가 없었습니다 ( 룻기 1:14-18, 현대인의 성경 ).   이 말씀을 묵상할 때 룻이란 며느리의 시어머니 사랑은 죽음처럼 강하다 라는 말씀이 생각났습니다 ( 아가 8:6, 현대인의 성경 ).   한 마디로 , 룻은 시어머니인 나오미를 사랑하는 못 말리는 며느리라 생각합니다 .   이러한 며느리를 둔 시어머니는 하나님께 축복을 받은 시어머니라 생각합니다 .

며느리의 상처로 인해 마음이 더욱 아파하는 시어머니가 돼야 합니다.

며느리의 상처로 인해 마음이 더욱 아파하는 시어머니가 돼야 합니다.  나오미는 하나님께서 자신의 두 며느리인 오르바와 룻에게 상처를 주어 자기를 벌하셔서 자기 마음이 더욱 아프다고 그 두 며느리에게 말했습니다 ( 룻기 1:13, 현대인의 성경 ).   자신의 며느리의 상처로 인해 마음이 더욱 아파하는 시어머니가 돼야 합니다 .

너무 늙어 재혼할 수도 없는 시어머니?

 너무 늙어 재혼할 수도 없는 시어머니?  너무 늙어 재혼할 수도 없는 시어머니 나오미는 비록 자기 자신은 남편 없이 살 수 있어도 자기의 두 며느리인 오르바와 룻은 재혼하여 남편과 함께 행복한 가정을 이루길 원했습니다 ( 룻기 1:9, 12, 현대인의 성경 ).   며느리의 행복을 위하는 시어머니가 돼야 합니다 .

며느리의 행복을 위하여

며느리의 행복을 위하여  나오미는 자기 고향인 유다 땅으로 돌아오는 도중에 두 며느리인 모압 여인 오르바와 룻에게 친정으로 돌아가라고 권면했습니다 .   그 이유는 나오미는 그 두 며느리가 자신들의 남편과 자기를 정성껏 섬겼기에 이젠 자기 친정으로 돌아가서 재혼하여 행복한 가정을 이루길 원했기 때문입니다 ( 룻기 1:7-9, 현대인의 성경 ).   홀로된 시어머니는 주님께 돌아감에 있어서 며느리의 행복을 위하여 며느리를 축복하고 떠나보내야 합니다 .

부모님이 믿음으로 자식을 떠나 보내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부모님이 믿음으로 자식을 떠나 보내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사위가 자신의 아내에 관하여 장인과 장모님에 대한 두려움이 있거나 , 며느리가 시어머님이 자신과 남편과의 관계에 지나치게 개입해서 부부 관계를 힘들게 하는 것에 대한 두려움이 있다는 것은 부모님이 믿음으로 자식을 떠나 보내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 참고 : 창세기 31:31).

부모님의 마음을 헤아리지 못하는 자식?

부모님의 마음을 헤아리지 못하는 자식? 이미 헷 족속의 두 여자와 결혼한 에서는 ( 창세기 26:34) 아버지 이삭이 야곱을 축복하고 그를 메소포타미아로 보내며 가나안 여자와 결혼하지 말라고 명령한 것과 야곱이 부모의 명령에 순종하여 메소포타미아로 간 것과 자기 아버지 이삭이 가나안 여자들을 좋아하지 않는다는 것도 알고 아브라함의 아들인 이스마엘에게 가서 이스마엘의 딸이며 느바욧의 누이 동생인 마할랏을 자기 본처들 외에 또 다른 아내로 맞아들였습니다 (28:6-9, 현대인의 성경 ).   이 말씀을 보면 에서는 4 가지를 알게 되었습니다 : (1) 아버지 이삭이 자기 동생 야곱을 축복하고 그를 메소포타미아로 보냈다는 것과 (2) 아버지 이삭이 야곱에게 가나안 여자와 결혼하지 말라고 명령한 것과 (3) 야곱이 부모님의 명령에 순종하여 메소포타미아로 간 것과 (4) 자기 아버지 이삭이 가나안 여자들을 좋아하지 않는다는 것 .   그런데 이상하게도 에서는 한 가지 모르는게 있었던 것 같습니다 .   그 한 가지란 자기 어머니 리브가가 자기의 두 아내인 헷 족속의 두 여자로 인하여 얼마나 마음에 근심을 하였고 (26:35) 또한 사는 것이 지긋지긋할 지경이었다 (27:46, 현대인의 성경 ) 는 것입니다 .   현대 말로 한다면 , 맏아들 에서는 고부갈등을 몰랐던 것 같습니다 .   그리고 에서가 또 한 가지 몰랐던 것은 자기 어머니 리브가가 자기 동생 야곱으로 하여금 자기가 받아야 할 아버지 이삭의 축복을 빼앗아가게 한 것입니다 (1-36 절 ).   즉 , 에서는 야곱의 배후 조종자가 자기 어머니 리브가였던 것을 몰랐던 것 같습니다 .   이것을 생각할 때 에서는 부모님의 마음 , 특히 어머님의 마음을 잘 헤아리지 못했던 것 같습니다 .   에서는 자기가 선택하여 한 이방인 여이들과의 결혼이 얼마나 부모님의 마음을 근심케하며 특히 어머니 리브가의 삶에 낙이 없게 만들었는지 무지했던 것 ...

부모님이 자녀를 편애하는 이유를 아는 자녀의 마음은 어떠할까요?

부모님이 자녀를 편애하는 이유를 아는 자녀의 마음은 어떠할까요 ?   아버지 이삭이 사랑하는 맏아들 에서의 제일 좋은 옷을 가져다가 자기가 사랑하는 작은 아들 야곱에게 입히는 어머니 리브가를 보면   어쩌면 야곱을 사랑한 이유는 이 3 가지가 아닌가 생각됩니다 : (1) 남편 이삭이 능숙한 사냥꾼이 맏아들 에서가 사냥해 온 고기를 좋아하므로 그를 사랑하였기에 , (2) 야곱은 조용한 사람이어서 집에 머물러 있기를 좋아했기에 , (3) 에서가 헷족속의 두 여자와 결혼했으므로 그 며느리들로 인해 마음에 근심이 있었고 사는 것이 낙이 없고 지긋지긋할 지경이었기에 ( 창세기 25:27-28; 26:34-35; 27:15, 46, 현대인의 성경 ).   부모님이 자녀를 편애하는 이유를 아는 자녀의 마음은 어떠할까요 ?

더 근심할 수도 있다는 생각입니다.

더 근심할 수도 있다는 생각입니다 . 에서는 헷 족속의 두 여자와 결혼했는데 그들은 에서의 부모님인 이삭과 리브가의 마음에 근심이 되었습니다 ( 창세기 26:30-31, 현대인의 성경 ).   불신자 며느리 / 사위로 인해 근심할 수 있겠지만 왠지 예수님을 믿는다는 크리스천 며느리 / 사위나 사돈으로 인해 더 근심할 수도 있다는 생각입니다 .

남편에게 있어서 우선순위는 자신의 아내이지 자신의 어머님이 아닙니다.

남편에게 있어서 우선순위는 자신의 아내이지 자신의 어머님이 아닙니다.  남편에게 있어서 우선순위는 자신의 아내이지 자신의 어머님이 아닙니다 .   남편은 고부갈등을 겪고 있는 자신의 아내를 자신의 어머님으로부터 보호해야 할 책임이 있습니다 ( 에베소서 5:29).

시어머니를 사랑하며 일곱 아들보다 귀한 며느리....

시어머니를 사랑하며 일곱 아들보다 귀한 며느리.... " 소망 " 이 없었던 시어머니 나오미에게는 ( 룻 1:12)  남편 없이 지내겠다고 " 결심 " 하고 (13 절 )  시어머니와 함께 시어머니의 고향인 유다 베들레헴으로 가기로 " 굳게 결심 " 한 모압 여인 (18 절 ),  누구에겐가 " 은혜 " 를 입으려는 며느리 룻이 있었습니다 (2:2).   여인들이 나오미에게 며느리 룻을 가리켜  " 너를 사랑하며 일곱 아들보다 귀한 네 며느리 " 라고 말할 정도였습니다 (4:15).

시어머니의 아픈 마음

 시어머니의 아픈 마음 늙어서 남편을 두지 못하는  과부요 시어머니인 나오미는  자기의 젊은 두 과부 며느리들이  남편 없이 지내겠다고 결심하려는 모습을 보고  그녀들로 말미암아 더욱 마음이 아파했습니다 ( 룻기 1:13).

소망을 잃었던 여인

소망을 잃었던 여인 소망을 잃었던 여인 나오미 ( 룻 1:12),  고향인 유다 베들레헴을 떠나 모압 지방에 가서 (1 절 )  남편도 잃고 두 아들도 죽으므로 (3 절 )  그녀에게는 아무 소망이 없었습니다 .    그녀는 늙어서 남편을 둘 수도 없었습니다 (12 절 ).   그러기에 그녀는 아들들도 낳을 수도 없었습니다 (12 절 ).   그런데 결국에 가서 나오미는  그녀를 사랑하며 일곱 아들보다 귀한 그 녀의 며느리인 룻이 낳은 아기를 받아 품에 품고  그 아기의 양육자가 되었는데  그녀의 이웃 여인들이 그 아기에게 이름을 지어 주되 " 나오미에게 아들이 태어났다 하여  그의 이름을 오벳이라 하였 " 습니다 (4:15-17).   아들들도 낳을 수도 없었던  소망이 없었던 여인에게 (1:12)  아들이 태어난 것입니다 (4:17).

"아들한테는 꾹 참고 며느리한테 하소연하는 시어머니"

  아들한테는 꾹 참고 며느리한테 하소연하는 시어머니  (6) 755 mrs**** 2018-07-13 조회  2772 추천  1   멋진 시어머니를 만나면 누구나 착한 며느리가 되고 , 착한 며느리를 들이면 누구나 좋은 시어머니가 될까요 ? 그러나 우리는 너나없이 이기적인 존재들입니다 . 상대가 받아줄수록 나의 기대치는 커집니다 . 그러니 곁의 사람이 좋은 사람일수록 스스로를 돌아봐야겠습니다 . 상대방의 무던함이 나의 욕심과 기대를 부채질하고 있지는 않은지 ...   너니까, 너니까 하는 말이야!  시험보고 집에 와있을 딸아이에게 전화를 걸어볼까 싶은 참인데 ,  휴대폰이 알아서 지잉하고 울립니다 . 어이쿠 놀라며 들여다보곤 ,  한번 더 어이쿠 하게 되네요 . 전화를 건 사람은 딸이 아니라 어머님 . 며칠 전화를 못 드렸더니 ,  답답해서 거셨나 봅니다 . 죄송한 마음 절반에 ,  빚 독촉이라도 받는 듯한 기분 절반이랄까요 . 애들 기말고사를 치는 주였기에 경황이 없었던 것인데 ,  이해한다고 하시면서도 아마 서운함을 감추지 못하시겠죠 . 저는 부러 목소리를 한 톤 높여 전화를 받았습니다 . 네 ,  어머니 ~   그러나 막상 전화를 받고보니 어머님의 용건은 제 예상과 달랐습니다 . 한숨 섞인 목소리로  “ 큰애냐 ?”  하실 때부터 벌써 심상치 않더군요 . “ 어머니 ,  어디 편찮으세요 ?”  하고 여쭈니 ,  어머니는 뜻밖의 대답을 하십니다 . “ 얘 ,  나 ,  요 며칠 기분 나빠 죽을 뻔 했다 .” “ 아니 ,  무슨 일로요 ,  어머니 ?” “* *  애비 말이다 .  어쩌면 걔는 그러니 ?”   아 ,  오늘도 역시 문제는 애비 ! 바로 어머님의 아들이자 제 남편인 그 남자가 또 무슨 말실수를 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