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라벨이 글쓰기인 게시물 표시

부부 사랑 (8)

  부부 사랑은 함께 웃는 것입니다.

"[북클럽] 글쓰기의 비결은 ‘엉덩이’"

  https://www.chosun.com/culture-life/book/2022/03/29/7H76KIPQ6FHY3J643FKNKIBG3U/ [북클럽] 글쓰기의 비결은 ‘엉덩이’ 곽아람 기자 축축하고 냄새 나는 남의 신발을 신어보는 일은 꺼려진다. 저자는 “이성적으로 타인의 신발을 신어보는 태도에서 진정한 공감이 싹튼다”고 말한다. /게티이미지코리아 축축하고 냄새 나는 남의 신발을 신어보는 일은 꺼려진다. 저자는 “이성적으로 타인의 신발을 신어보는 태도에서 진정한 공감이 싹튼다”고 말한다. /게티이미지코리아 남의 신발을 신어본 적이 있습니까? 아무리 깨끗하게 신었다 해도 신발은 더럽고 냄새 나지요. 자기 신발도 그럴진대, 남의 신발을 신는 것이 꺼림칙하지 않은 사람은 아마도 없을 겁니다. 영국에 살고 있는 일본 작가 브래디 미카코의 책 ‘타인의 신발을 신어보다’는 ‘Put in someone’s shoes’, 즉 ‘남의 입장에서 생각해 보다’라는 영어 관용구에서 시작해 역지사지에 대해 생각해 봅니다. 그의 아들이 중학생 때 학교 시험문제에 ‘empathy란 무엇인가?’란 질문이 나왔는데, 아들이 “남의 신발을 신어보는 것”이라고 답한 데서 착안했다고 하는군요. 남의 입장이 되어보는 ‘능력’인 empathy와 남에 대한 연민을 뜻하는 sympathy 모두 우리말에서도, 일본어에서도 ‘공감’이라 번역되는데 저자는 엠파시는 능력이므로 훈련과 교육을 통해 키울 수 있고, 심파시는 즉각적이고 휘발하는 반응이라며 사회 구성원들에게 엠파시를 기를 것을 주문합니다. ‘공감’이라는 것이 자신과 공통점이 있는 경우에만 이루어져서는 안 된다고 하면서요. [진정한 공감을 꿈꾸는가, 우선 남의 신발을 신어보라] 영화 '당신이 그녀라면' 포스터 책을 읽는 내내 애증의 자매 관계를 다룬 영화 ‘당신이 그녀라면(In Her Shoe)’가 생각났는데요. 이 영화도 함께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대니 샤피로, '계속 쓰기:나의 단어로', 마티 저는 날마다 ...

“글쓰기의 고통에는 처방이 없어… 오로지 겪어내야”

  “글쓰기의 고통에는 처방이 없어… 오로지 겪어내야” 입력 2019.08.16. 오전 1:03   5 1 본문 요약봇 텍스트 음성 변환 서비스 사용하기 글자 크기 변경하기 SNS 보내기 인쇄하기 세계적 작가  303 인 인터뷰 모아 책으로 / 작가 대부분이 망설임·두려움 호소 / “개가 똥누기 전 빙빙도는 모습 같아” / 릭 무디 “마감일 어기고 영화 보고… / 마음이 들썩이면 그때 글쓰러 가라” / 어윈 쇼 “자신에게 믿음이 없다면 / 타자기 대신 술독에 빠지고 말것” 글쓰기에 대한 많은 책이 꾸준히 인기를 끌고 있다. 전반적으로 문학이 쇠퇴 국면에 있다고들 하지만 문학상 응모작들은 여전히 줄어들지 않는다. 글쓰기라는 게, 그것도 문학에 대한 열망은 단순히 쓰는 행위 차원을 넘어서는 치유의 기능을 담고 있기 때문이기도 할 터이다. 세계 유명 작가들은 어떤 이유로 글을 쓰고 벽에 부닥칠 때는 어떤 심정으로 받아들이거나 극복하며, 구체적으로는 어떤 기법과 플롯을 각자 염두에 두고 집필에 임하는 것일까. ‘타임’지에서 ‘작지만 세상에서 가장 강한 문학잡지’라는 평을 들었던,  1953 년 뉴욕에서 창간한 문학잡지 ‘파리리뷰’가  60 여년간 인터뷰한 세계 작가들 중  303 명을 대상으로 다양한 공통 질문에 대한 답을 가려 편집한 ‘작가라서’(김율희 옮김·다른)에서 그 모범답안을 엿볼 수 있다. 미국 작가 제임스 볼드윈은 글쓰기의 고통에는 처방이 있을 수 없다고 말한다. “그 고통을 겪어내야 합니다. 재능은 중요하지 않아요. 재능이 있지만 무너진 사람을 많이 압니다. 재능을 뛰어넘는 온갖 평범한 단어들이 있습니다. 훈련, 애정, 행운. 하지만 가장 중요한 건 인내입니다.” 영국 시인이자 소설가인 로런스 더럴도 재능보다 최선을 다하는 자세를 더 중시한다. “물은 가만히 두어도 낮은 곳으로 흐르니 저에게 주어진 힘으로 최선을 다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능력 밖에 있는 것을 얻으려 기를 써보았자 아무 소용이 없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