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라벨이 헌담인 게시물 표시

"자녀를 건강한 아이로 키우려면? 부모 자신부터 감정을 다스려라"

"자녀를 건강한 아이로 키우려면? 부모 자신부터 감정 다스려라   부모의 감정이 무엇보다 자녀의 감정에 큰 영향을 미친다 / 셔터스톡 부모라면 자녀의 감정을 존중하는 것의 중요성에 대해 들어봤을 것이다.  하지만 부모인 당신의 감정은 어떠한가? 임상 사회 복지사이자 심리 치료사인 힐러리 제이콥스 헨델과 심리학자이자 양육 교육자인 줄리 프라가 박사는 신간, 『부모도 감정이 있다(Parents Have Feelings, Too)』에서 통념을 뒤집었다.  즉, 정서적으로 건강한 아이를 양육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선 먼저 부모 자신의 감정을 다스릴 줄 알아야 한다는 것이 핵심 메시지다. 이들이 부모들에게 어떤 조언을 했는지 CNN과 함께 알아본다.  부모에게 가장 중요한 감정, '분노' 헨델은 부모가 다뤄야 할 6가지 핵심 감정으로  ▲분노 ▲슬픔 ▲두려움 ▲혐오 ▲기쁨 ▲흥분을 꼽았다. 그러면서 ‘분노’를 가장 중요한 핵심 감정으로 보았다.  그녀는 “분노는 파괴적인 잠재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사람들을 곤경에 빠뜨리는 감정이며, 그래서 우리는 대개 그것을 묻어버린다. 그런데 이때 분노는 안으로 폭발하여 우울, 죄책감, 불안, 수치심으로 나타날 수 있다. 혹은 밖으로 폭발하여 공격성으로 표출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중요한 것은 분노를 ‘행동’으로 옮기지 않고 ‘경험’하는 방법을 배우는 것이다.  이는 분노에 이름을 붙이고, 신체에서 어떻게 느껴지는지 알아차리고, 그 순간의 충동이 무엇인지를 인식하며, 궁극적으로는 그 에너지를 방출하는 것을 포함하는 내면의 과정이다.  이에 더해 헨델은 분노를 두 개의 분리된 단계로 이해할 필요성을 말했다. 분노를 경험하는 내적인 과정과 스스로와 가족에게 건설적인 방식으로 분노를 표현하는 외적인 과정이 그것이다.  한편, 프라가 박사는 엄마와 달리, 아빠들의 경우 ‘분노’라는 감정처리에 더욱 익숙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하지만 아빠들...

유대인 부모, 자녀 유치원 보낼 때 첫마디는… “험담하지 말라”

  https://www.chosun.com/HF4634ZWPFAV7IRG6OZLZN6XCI/ 유대인 부모, 자녀 유치원 보낼 때 첫마디는… “험담하지 말라” [홍익희의 新유대인 이야기] [41] “유대인은 모두 한 형제다” 아픈 역사 딛고 뭉친 비결 홍익희 전 세종대 교수 입력 2022.08.09 00:20 유대인 부모들은 자녀가 유치원에 들어갈 때 해주는 말이 있다. “네가 이제 유치원에 가면 친구들을 만나게 될 텐데, 두 가지를 명심해라. 첫째, 네가 말하는 시간의 두 배만큼 친구가 하는 말을 잘 들어라. 사람은 누구나 단점과 허물이 있단다. 그러니 친구의 단점과 허물에 개의치 말고 친구 속에 숨어 있는 장점과 강점을 찾아보거라. 그러기 위해서는 친구보다 말을 많이 하지 말고 친구 말을 많이 들어야 한다. 인간은 입이 하나 귀가 둘 있다. 이는 말하기보다 듣기를 두 배로 하라는 뜻이다. 둘째, 어떤 경우에도 친구 험담을 하지 말아라. 유대 경전 미드라시에는 이런 말이 있다. ‘남을 헐뜯는 험담은 살인보다도 위험하다. 살인은 한 사람밖에 죽이지 않으나, 험담은 반드시 세 사람을 죽인다.’ 곧 험담을 퍼뜨리는 사람 자신, 그것을 말리지 않고 듣고 있는 사람, 그 험담의 대상이 된 사람.” 기원전 6세기 유다 왕국은 신바빌로니아에 의해 성전과 성벽이 파괴되고 상류층은 바빌론에 포로로 잡혀갔다. ‘포로들의 이동’을 묘사한 19세기 프랑스 화가 제임스 티소의 작품. /위키피디아 공동체 정신, 이스라엘 키부츠로 연결 기원전 6세기 유다 왕국은 신바빌로니아에 성전과 성벽이 파괴되고 멸망당해 하층민들은 추방되고 상류층은 바빌론에 포로로 잡혀 갔다. 이를 ‘바빌론 유수’라 부른다. 이후 성전이 없어진 유대교는 ‘성전 중심의 종교’에서 ‘배움의 종교’로 바뀌게 된다. 그로부터 50년 뒤 성경에 고레스라는 이름으로 등장하는 페르시아의 키루스왕이 기발한 발상으로 강 상류에 둑을 쌓아 물줄기를 바꾸는 전략으로 강 한가운데 건설된 난공불락의 바빌론을 정복했다. 그...

정욕에 못 이겨 그리스도를 배반하는 젊은 과부들

정욕에 못 이겨 그리스도를 배반하는 젊은 과부들 정욕에 못 이겨 그리스도를 배반하는 젊은 과부들은 언제나 게으름을 피우며 이집 저집 돌아다니면서 헌담이나 하고 남의 일에 끼어들어 해서는 안 될 말을 합니다 .   그러므로 그들은 우리 원수에게 비방할 기회를 줍니다 ( 디모데전서 5:11-14, 현대인의 성경 ).

헌담

  험담     연애하는 과정에서 형제와 자매가 험담하는 것을 경계해야 합니다 .  연애하는 형제가 자기 여자친구인 자매에 대해 자기 친구들 앞에서 이런 저런 험담을 하지 말아야 합니다 .  물론 자매도 자기 친구들 앞에서 남자 친구에 대한 험담을 피해야 합니다 .  이러한 험담 외에 연애하는 형제 ,  자매는 친구들이 상대방 남자 친구나 여자 친구에 대하여 이런 저런 좋지 않은 말을 할 때에 귀담이 들어서는 안됩니다 .  물론 이것은 그 연애 관계가 잘 안되어 갈 때의 상황을 전제합니다 .                 언젠가 대학 동창들이 모여서 교제를 하였는데 그 때 후배 자매 한명이 나에게 와서 자기 남편에 대하여 불평과 불만을 쏟아낸 적이 있습니다 .  저는 그 때 그 후배 자매를 면책했습니다 .  저는 그 후배에게 더 이상 남편에 대해서 험담을 늘어 놓지 말라고 말했습니다 .  물론 이렇게 부부 관계에서 험담이란 주제는 더 적용이 잘 될 줄 알지만 연애 관계에서 ,  특히 그 관계가 깨어지는 상황이나 또는 깨어진 후에 서로를 향한 험담  ( 혹은 비방 ) 이 많아지는 것 같습니다 .  언제가 한 자매하고 채팅을 하면서 그 자매의 지혜로움을 보았습니다 .  그 자매는 지금 연애하고 있는 남자 친구와의 관계에서 좀 어려움이 없지 않아 있던 것 같은데 그 어려움을 친구들과 나눌 때에 아마도 그 자매의 친구들은 친구를 사랑하는 마음으로 위로하고자 그 남자 친구에 대해서 이런 저런 말을 했던 것 같습니다 .  그래서 아마 이 자매는 친구들에게 더 이상 자기 남자 친구에 대해서 이런 저런 말을 하지 않아 달라고 부탁한 것 같습니다 .  지혜로운 처사라 생각합니다 .    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