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녀를 건강한 아이로 키우려면? 부모 자신부터 감정 다스려라 부모의 감정이 무엇보다 자녀의 감정에 큰 영향을 미친다 / 셔터스톡 부모라면 자녀의 감정을 존중하는 것의 중요성에 대해 들어봤을 것이다. 하지만 부모인 당신의 감정은 어떠한가? 임상 사회 복지사이자 심리 치료사인 힐러리 제이콥스 헨델과 심리학자이자 양육 교육자인 줄리 프라가 박사는 신간, 『부모도 감정이 있다(Parents Have Feelings, Too)』에서 통념을 뒤집었다. 즉, 정서적으로 건강한 아이를 양육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선 먼저 부모 자신의 감정을 다스릴 줄 알아야 한다는 것이 핵심 메시지다. 이들이 부모들에게 어떤 조언을 했는지 CNN과 함께 알아본다. 부모에게 가장 중요한 감정, '분노' 헨델은 부모가 다뤄야 할 6가지 핵심 감정으로 ▲분노 ▲슬픔 ▲두려움 ▲혐오 ▲기쁨 ▲흥분을 꼽았다. 그러면서 ‘분노’를 가장 중요한 핵심 감정으로 보았다. 그녀는 “분노는 파괴적인 잠재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사람들을 곤경에 빠뜨리는 감정이며, 그래서 우리는 대개 그것을 묻어버린다. 그런데 이때 분노는 안으로 폭발하여 우울, 죄책감, 불안, 수치심으로 나타날 수 있다. 혹은 밖으로 폭발하여 공격성으로 표출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중요한 것은 분노를 ‘행동’으로 옮기지 않고 ‘경험’하는 방법을 배우는 것이다. 이는 분노에 이름을 붙이고, 신체에서 어떻게 느껴지는지 알아차리고, 그 순간의 충동이 무엇인지를 인식하며, 궁극적으로는 그 에너지를 방출하는 것을 포함하는 내면의 과정이다. 이에 더해 헨델은 분노를 두 개의 분리된 단계로 이해할 필요성을 말했다. 분노를 경험하는 내적인 과정과 스스로와 가족에게 건설적인 방식으로 분노를 표현하는 외적인 과정이 그것이다. 한편, 프라가 박사는 엄마와 달리, 아빠들의 경우 ‘분노’라는 감정처리에 더욱 익숙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하지만 아빠들...
http://topclass.chosun.com/board/view.asp?catecode=R&tnu=202205100001 " 나무의 말 일곱 개 키워드로 읽는 나무의 말 글 : 김민희 기자 살다 보면 인생의 비의(秘意)를 깨친 어른의 말이 간절할 때 있다. 어느 길로 들어서야 할지 막막해 미아가 된 것 같을 때, 감당해야 하는 책임의 무게가 버거워 내려놓고 싶을 때, 한없이 외로움을 느낄 때…. 이럴 때 나무는 고귀한 생명의 얼굴로 삶의 지혜를 보여준다. 품고 있는 지혜는 나무마다 다르다. 느릅나무는 모든 걸 혼자 해내려 애쓸 필요가 없다는 것을, 단풍나무는 인내란 기다림 자체에 있는 게 아니라 기다려야 한다는 사실을 받아들일 때 비로소 피어난다는 것을, 서어나무는 높게 자라지도, 꽃을 피우지도, 열매를 맺지 않아도 그저 자기 자신이면 충분하다는 것을 넌지시 알려준다. 현기증 나는 문명의 속도전을 쉼 없이 따라가면 생의 속살을 볼 수 없다. 잠깐 멈춰서 보자. 그리고 한발 물러나 나무 한 그루를 물끄러미 바라보자. 달릴 때는 보이지 않던 나무들의 의젓한 몸짓이 현자의 음성으로 다가올지 모르니. 1. 유연함 : 흔들리면서도 꺾이지 않는다는 것 흔들리지 않는 삶이 어디 있으랴. 삶이란 모진 비바람이 예고 없이 불어닥치는 촌극의 연속이다. 꺾이지 않으려면 유연해야 한다. 비바람이 몰아치면 나무는 적당히 흔들리고 휘면서 버텨낸다. 완강하게 버티려 애쓸수록 힘은 힘대로 들고 결국 부러질 위험성이 크다. 유연함은 살아남기 위한 전략이자 성장을 위한 조건이다. 자신의 능력을 펼치며 살아가려면 굳건한 심지도 필요하지만 때로는 바람의 방향대로 적당히 흔들릴 줄 알아야 한다. 겉으로 단단해 보이는 사람이라도, 아니 단단해 보이는 사람일수록 숱한 흔들림을 겪으며 그 자리에까지 도달했음이 틀림없다. 자신만의 질문을 품고 흔들리면서도 한 걸음 한 걸음 내딛는 사람만이 성장할 수 있다. 우리는 모두 흔들리며 앞으로 조금씩 나아간다. 2. 공생 : 서로 다름이 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