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자녀를 건강한 아이로 키우려면? 부모 자신부터 감정을 다스려라"

"자녀를 건강한 아이로 키우려면? 부모 자신부터 감정 다스려라   부모의 감정이 무엇보다 자녀의 감정에 큰 영향을 미친다 / 셔터스톡 부모라면 자녀의 감정을 존중하는 것의 중요성에 대해 들어봤을 것이다.  하지만 부모인 당신의 감정은 어떠한가? 임상 사회 복지사이자 심리 치료사인 힐러리 제이콥스 헨델과 심리학자이자 양육 교육자인 줄리 프라가 박사는 신간, 『부모도 감정이 있다(Parents Have Feelings, Too)』에서 통념을 뒤집었다.  즉, 정서적으로 건강한 아이를 양육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선 먼저 부모 자신의 감정을 다스릴 줄 알아야 한다는 것이 핵심 메시지다. 이들이 부모들에게 어떤 조언을 했는지 CNN과 함께 알아본다.  부모에게 가장 중요한 감정, '분노' 헨델은 부모가 다뤄야 할 6가지 핵심 감정으로  ▲분노 ▲슬픔 ▲두려움 ▲혐오 ▲기쁨 ▲흥분을 꼽았다. 그러면서 ‘분노’를 가장 중요한 핵심 감정으로 보았다.  그녀는 “분노는 파괴적인 잠재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사람들을 곤경에 빠뜨리는 감정이며, 그래서 우리는 대개 그것을 묻어버린다. 그런데 이때 분노는 안으로 폭발하여 우울, 죄책감, 불안, 수치심으로 나타날 수 있다. 혹은 밖으로 폭발하여 공격성으로 표출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중요한 것은 분노를 ‘행동’으로 옮기지 않고 ‘경험’하는 방법을 배우는 것이다.  이는 분노에 이름을 붙이고, 신체에서 어떻게 느껴지는지 알아차리고, 그 순간의 충동이 무엇인지를 인식하며, 궁극적으로는 그 에너지를 방출하는 것을 포함하는 내면의 과정이다.  이에 더해 헨델은 분노를 두 개의 분리된 단계로 이해할 필요성을 말했다. 분노를 경험하는 내적인 과정과 스스로와 가족에게 건설적인 방식으로 분노를 표현하는 외적인 과정이 그것이다.  한편, 프라가 박사는 엄마와 달리, 아빠들의 경우 ‘분노’라는 감정처리에 더욱 익숙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하지만 아빠들...

"오직 나와 내 집은 여호와를 섬기겠노라" (3) (여호수아 24:14-15)

우리는 하나님이 약속하신 모든 선한 일이 다 이루어질 것이라는 믿음으로 하나님을 섬겨야 합니다(23:14-15). 우리 하나님은 선하신 하나님이십니다. 우리를 향하신 하나님의 뜻은 선하십니다(롬12:2). 선하신 하나님은 하나님의 선하신 뜻을 모든 것을 합력하여 반드시 이루십니다(8:28). 심지어 선하신 하나님은 우리의 불성실함과 불충성과 불순종과 불신앙도 합력하여 하나님의 선하신 뜻을 하나님의 때에 하나님의 방법으로 반드시 이루십니다. 비록 우리는 신실성이 없지만 주님은 언제나 신실하셔서 약속하신 것을 어기실 수 없습니다(딤후2:13, 현대인의 성경). https://youtu.be/8TBAHxMm-bw?si=gwbiv1IC0ChjsFWC

Because we trust God even in times of great crisis ...

Because we trust God even in times of great crisis ...     Those who gather to prosecute us, finding faults and flaws in us, Whispering together in order to accuse us, Conspiring against us, forming cliques, Ultimately pushing us into great crises like a lion's den, Yet even in the midst of these great crises, we trust in God. So in the end, not a single harm will befall us, And we will be delivered by God's salvation (Daniel 6:4-5, 11, 16, 23).

We must not betray our wives.

We must not betray our wives.     God has made us one with our wives. The purpose of this is to obtain godly offspring. Therefore, we must guard our hearts and not betray our wives, whom we married in our youth. We must remain faithful to our wives a s we pledged in our marriage vows and also honor God through our relationship with them. This is the word of God: "I hate divorce," says the Lord God of Israel, and ‘I hate a man's covering himself with violence as well as with his garment,’ says the Lord Almighty. So guard yourself in your spirit, and do not break faith with your wife (Malachi 2:14-16).

A servant of God who did not imitate God’s loving heart.

A servant of God who did not imitate God’s loving heart.     The prophet Jonah, who had been disobedient, received salvation from God twice.   The first salvation occurred when the unbelieving sailors, at Jonah's suggestion, threw him into the sea. God had already prepared a great fish to swallow Jonah, thus saving him (Jonah 1:12, 16, 17).   The second salvation happened when God commanded the great fish to vomit Jonah onto dry land, thus saving him from being in the belly of the fish (2:10).   However, even after experiencing God's salvation twice, the prophet Jonah, who proclaimed God's word, believed it, proclaimed a fast (3:1-5), and turned from evil ways, genuinely repenting. Yet, when God relented from bringing the disaster He had threatened against the people of Nineveh who also repented (v. 10), Jonah became exceedingly displeased and angry,   even saying, "It is better for me to die than to live" (4:1, 3)....

짧은 말씀 묵상 (2024. 2. 28.)

짧은 말씀 묵상       질병에서 회복된 후에 우리가 혹여나 하나님께 범죄하지 않을까 조심해야 합니다 ( 참고 : 이사야 39 장 ).   부모가 자기 후세대에 미칠 재앙의 말씀을 하나님께 받고도 자기 시대에는 평화와 안전이 있다고 해서 받은 그 하나님의 재앙의 말씀이 다 좋다고 생각한다면 그 부모는 후세대를 사랑하는 부모라 말할 수 있을지 모르겠습니다 ( 참고 : 이사야 39:5-8, 현대인의 성경 ).   “ 너희는 위로하라 내 백성을 위로하라 ”( 이사야 40:1) 는 말씀은 제 셋째 삼촌 목사님이 주님의 품에 안기시기 전에 승리장로교회의 담임 목사인 저에게 자신의 입관 예배를 인도해달라고 부탁 ( 유언 ) 하시면서 설교 본문으로 저에게 주신 성경 구절입니다 .    고 김창혁 (Andrew Kim) 목사님은 암 투병 중에서 자신의 임박한 죽음 앞에서도 자신의 장례식에 참석할 조문객들을 위로하시고 싶으셨던 것입니다 .   저 또한 저의 장례식 때 참여하여 저의 죽음으로 인해 슬퍼할 조문객들을 주님께서 주님의 말씀으로 위로해 주시길 기원합니다 .   우리는 고통 중에 있는 이웃들을 위로하고 격려해야 합니다 .   주님께서 그들의 고통의 날들을 끝내주시길 기원합니다 .   특히 자기들의 죄에 비해 갑절이나 무거운 형벌을 받는 이웃들에게 주님께서 그들의 죄가 용서되었다고 말씀해 주시길 기원합니다 ( 참고 : 이사야 40:2, 현대인의 성경 ).   우리는 광야와 같은 이 세상에서 주님의 길을 예비해야 합니다 .   우리는 다시 오실 주님의 대로를 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