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라벨이 대제사장인 게시물 표시

설교에 대한 나의 고민

  https://youtu.be/7gw7qr-zJsA?si=UYNXPlNlgtI1j3Cg

저는 이 말씀을 묵상할 때 2가지를 좀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저는 이 말씀을 묵상할 때 2가지를 좀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헤롯왕은 동방에서 유대인의 왕으로 태어나신 아기 예수님의 별을 보고 경배를 드리러 왔다고 박사들이 왔다고 하는 말을 듣고 몹시 근심하였으므로 두 가지 질문을 두 그룹의 사람들에게 물었습니다 : (1) 대제사장들과 율법학자들에게 “ 그리스도가 어디서 난다고 하였소 ?”   (2) 동박에서 온 박사들에게는 별이 나타난 때를 자세히 캐물었습니다 .   그 결과 헤롯왕은 대제사장들과 율법학자들을 통해 그리스도가 유대 베들레헴에서 난다는 것을 알게 되었기에 동박에서 온 박사들을 베들레헴으로 보내면서 “ 가서 아기에 대하여 자세히 알아보고 찾거든 내게도 알려 주시오 .   그러면 나도 가서 아기에게 경배하겠소 ” 하고 말했습니다 ( 마태복음 2:1-8, 현대인의 성경 ).   저는 이 말씀을 묵상할 때 2 가지를 좀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 (1) 분명히 동방에서 온 박사들은 “ 유대인의 왕 ”(2 절 ) 으로 태어나신 아기 예수님께 경배드리러 왔다고 말했는데 헤롯왕은 그 “ 유대인의 왕 ” 을 가리켜 “ 그리스도 ”(4 절 ) 라고 칭했습니다 .   이것은 저에겐 좀 흥미로운 이유는 헤롯왕이 말한 “ 그리스도 ” 란 의미는 구약성경에서 “ 기름부음을 받은 자 ” 라는 뜻을 가진 히브리어의 메시아란 단어의 헬라어로서 그저 아기 예수님이 “ 유대인의 왕 ” 이란 의미만 있는 것이 아니라 그 분은 “ 대제사장 ”( 히브리서 2:17; 4:14) 과 “ 그 선지자 ”( 신명기 18:18) 란 의미가 있기 때문입니다 .   그 말은 저는 헤롯왕은 구약성경에서 선지자들이 장차 오신 메시야 , 즉 그리스도에...

우리의 연약함을 동정하시는 예수님

우리의 연약함을 동정하시는 예수님  하늘로 올라가신 위대한 대제사장이신 하나님의 아들 예수님은 모든 점에서 우리처럼 시험을 받으셨으나 죄는 없으시기에 우리의 연약함을 동정하십니다 .   그러므로 우리는 불쌍히 여기심을 받고 때를 따라 도우시는 은혜를 받기 위하여 담대하게 하나님의 보좌로 가까이 나아가십시다 ( 히브리서 4:15-16, 현대인의 성경 ).

주님께서 모든 점에서 우리와 같이 되신 이유는 ...

주님께서 모든 점에서 우리와 같이 되신 이유는 ...   주님께서 모든 점에서 우리와 같이 되신 이유는 하나님을 섬기는 일에 자비롭고 충성스러운 대제사장이 되어 우리의 죄가 용서 받도록 하기 위한 것입니다 ( 히브리서 2:17, 현대인의 성경 ).

심문받으시는 예수님

  심문받으시는 예수님   [ 요한복음 18 장 19-24 절 ]   A. ( 요한복음 18:19) “ 대제사장이 예수에게 그의 제자들과 그의 교훈에 대하여 물으니 .” 1.     “ 대제사장 ”( 요 18:19): a.     대제사장은 아무 유대인이나 될 수가 있는 것이 아니라 레위 지파 사람 ( 출 28:1; 레 1:5, 7-8) 중에서도 아론의 자손만 될 수가 있었음 .   (1)   그리고 대제사장은 아론으로부터 그의 맏아들인 나답이 대제사장직을 승계했어야 했지만 그는 그의 동생 ( 아론의 둘째 아들 아비후 ) 과 함께 시내 광야에서 여호와 앞에 다른 불을 드리다가 여호와 앞에서 죽었으므로 아론의 셋째 아들인 엘르아살에게 계승되어 ( 민 20:23-29; 27:18-23) 그가 대제사장 직분을 행했음 ( 민 3:4). (a)   그 이후로부터는 대제사장은 별다른 일이 없는한 장자에게만 계승된 종신직이었음 ( 민 25:10-13).   그러다가 바벨론 포로기 이후부터 그 성격이 변하기 시작해서 나중에는 헤롯 및 로마 정부에 의해 임의대로 임명되기도 했음 ( 인터넷 ). b.     그래서 오늘 본문 요한복음 18 장 24 절 에 대제장이 2 명이 나오는 것임 .   그 2 명은 바로 대제사장 안나스와 그의 사위인 대제사장 가야바 임 ( 요 18:13 ). (1)   본래 대제사장은 한 명이어야 하는데 , 신약성경에서 안나스와 가야바를 둘 다 대제사장으로 언급하고 있는 것 ( 요 18:19, 24, 행 4:6) 은 당시 유대 지역에서 이들이 가장 영향력 있는 인물이었음을 말해 줌 .   안나스의 임기는 주후 15 년에 끝나지만 , 그 후로도 계속 그의 5 명의 아들들을 대제사장으로 세워 크게 영향을 끼쳤음 . (a)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