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라벨이 도시인 게시물 표시

"자녀를 건강한 아이로 키우려면? 부모 자신부터 감정을 다스려라"

"자녀를 건강한 아이로 키우려면? 부모 자신부터 감정 다스려라   부모의 감정이 무엇보다 자녀의 감정에 큰 영향을 미친다 / 셔터스톡 부모라면 자녀의 감정을 존중하는 것의 중요성에 대해 들어봤을 것이다.  하지만 부모인 당신의 감정은 어떠한가? 임상 사회 복지사이자 심리 치료사인 힐러리 제이콥스 헨델과 심리학자이자 양육 교육자인 줄리 프라가 박사는 신간, 『부모도 감정이 있다(Parents Have Feelings, Too)』에서 통념을 뒤집었다.  즉, 정서적으로 건강한 아이를 양육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선 먼저 부모 자신의 감정을 다스릴 줄 알아야 한다는 것이 핵심 메시지다. 이들이 부모들에게 어떤 조언을 했는지 CNN과 함께 알아본다.  부모에게 가장 중요한 감정, '분노' 헨델은 부모가 다뤄야 할 6가지 핵심 감정으로  ▲분노 ▲슬픔 ▲두려움 ▲혐오 ▲기쁨 ▲흥분을 꼽았다. 그러면서 ‘분노’를 가장 중요한 핵심 감정으로 보았다.  그녀는 “분노는 파괴적인 잠재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사람들을 곤경에 빠뜨리는 감정이며, 그래서 우리는 대개 그것을 묻어버린다. 그런데 이때 분노는 안으로 폭발하여 우울, 죄책감, 불안, 수치심으로 나타날 수 있다. 혹은 밖으로 폭발하여 공격성으로 표출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중요한 것은 분노를 ‘행동’으로 옮기지 않고 ‘경험’하는 방법을 배우는 것이다.  이는 분노에 이름을 붙이고, 신체에서 어떻게 느껴지는지 알아차리고, 그 순간의 충동이 무엇인지를 인식하며, 궁극적으로는 그 에너지를 방출하는 것을 포함하는 내면의 과정이다.  이에 더해 헨델은 분노를 두 개의 분리된 단계로 이해할 필요성을 말했다. 분노를 경험하는 내적인 과정과 스스로와 가족에게 건설적인 방식으로 분노를 표현하는 외적인 과정이 그것이다.  한편, 프라가 박사는 엄마와 달리, 아빠들의 경우 ‘분노’라는 감정처리에 더욱 익숙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하지만 아빠들...

모든 동네들을 다 다니기 전에 예수님은 다시 오실 것입니다.

모든 동네들을 다 다니기 전에 예수님은 다시 오실 것입니다.  어떤 동네에서 사람들이 우리를 괴롭히거든 우리는 다른 동네로 피해야 합니다 .    주님이 분명히 말씀하셨습니다 .   우리가 이곳 저곳으로 피하며 세상의 모든 동네들을 다 다니기 전에 예수님은 다시 오실 것입니다 ( 참고 : 마태복음 10:23, 현대인의 성경 ).

그 도시의 평안과 번영을 추구하고 그 일을 위해서 하나님께 기도해야 합니다.

그   도시의   평안과   번영을   추구하고   그   일을   위해서   하나님께   기도해야   합니다 .    우리는 하나님의 사랑의 징계의 도구로 쓰임받은 그 도시의 평안과 번영을 추구하고 그 일을 위해서 하나님께 기도해야 합니다 .   그 이유는 그 도시가 평안하고 번영을 누릴 때 우리도 평안하고 번영을 누릴 것이기 때문입니다 ( 참고 : 예레미야 29:7, 현대인의 성경 ).

도시에서 풍부함보다 광아에서 궁핍함이 더 귀합니다!

  도시에서 풍부함보다 광아에서 궁핍함이 더 귀합니다! 도시 한 복판에서 세상적으로 풍부함을 누리면서 편안하게 신앙생활을 하기보다 이 세상을 광야로 삼고 궁핍함 가운데서 하나님을 간절히 찾는 사모하는 영혼과 주린 영혼으로 신앙생활을 하는 것이 훨씬 낫습니다.

"팀 켈러는 왜 ‘도시 선교’를 말하는가?"

https://tgckorea.org/articles/1683?sca=   팀 켈러는 왜 ‘도시 선교’를 말하는가? by 고상섭 2022-07-20 Photo by Emanuel Ekström on Unsplash “  도시를 선교한다는 것은 총체적인 변화를 가장 효과적으로 이룰 수 있는 도구를 활용한다는 뜻이 된다  ” Share this story   팀 켈러의  센터처치 는 복음, 도시, 운동이라는 세 가지 신학적 비전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마디로 요약하자면, 복음을 통해 도시를 변화시키는 연합운동으로 복음 생태계를 만들어 도시를 하나님의 나라로 만드는 것이다. 한국 교회에서 팀 켈러를 언급할 때 지금까지 가장 많이 대두된 단어가 있다면 아마도 ‘복음’과 ‘복음설교’일 것이다. 복음의 재발견은 너무 귀한 것이지만, 그렇다고 복음에 머물러 있어서는 안 된다. 복음은 반드시 도시로 그리고 운동으로 확장되어야 한다.  왜 도시인가?  도시선교라는 단어는 많은 궁금증을 유발한다. “도시를 선교해야 한다면 농촌은 선교하지 말아야 하는가?”라는 말을 하는 사람들도 있지만, 팀 켈러가 말하는 ‘도시’는 단순히 농촌과 반대되는 개념으로 도시가 아니고 또 농촌선교를 무시하는 것도 아니다. 팀 켈러가 도시에 집중하는 이유는 도시는 단위면적당 인구 밀도가 높은 곳이기 때문이다. 오늘날 많은 사람이 도시에 몰려서 살고 있고, 이것은 단순히 사람들의 숫자가 많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그 속에서 문화와 사회가 형성된다는 의미이다. 도시의 변화는 한 개인의 변화를 넘어 도시 속에 창출된 경제, 정치. 법질서, 문화의 변화를 촉진한다. 오늘날 도시에 사는 사람들은 단순히 개인의 성향을 따라 사는 것이 아니라 도시를 통해 만들어진 문화 내러티브의 영향 아래 살고 있다. 그래서 교회가 도시의 개념에 눈을 뜨지 못하면 복음은 단지 개인의 구원에만 집중하게 되고 구조적인 사회의 영향력에서 벗어나지 못하게 된다. 결국 도시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