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라벨이 사악한 길인 게시물 표시

불가능함은 기회입니다. (6)

불가능해 보이는 인간(부부) 관계, 어떻게 해야 하는 것일까요? 믿음이란 ... (1) 바랄 수 없는 것을 바라게 합니다. (2) 볼 수 없는 것을 보게 합니다. (3) 할 수 없는 것을 하게 합니다. https://youtu.be/LwfJR3i5w48?si=DeFjUqZG3WtAIYGA

우리의 길을 막으시는 하나님 (4) (민수기 22장 21-34절)

우리의 길을 막으시는 하나님 (4)           [ 민수기 22 장 21-34 절 ]                   “102 세 철학자 김형석 교수 ‘ 행복론 ’ 담은 신간 출간 : ‘ 저는 행복했습니다 , 여러분도 행복을 포기하지 마세요 ’” 라는 기사 제목을 보고 읽어보았습니다 .   읽으면서 이 두 가지 내용에 관심을 갖게 되었습니다 : (1) “젊었을 때는 ‘즐거움’이 행복이라고 보통 생각하죠 .   그러나 지금은 , 사람의 인격이야말로 행복의 필수 조건이라고 생각합니다 . ”   우리는 흔히 젊었을 때는 돈과 사랑을 , 중년이 되면 사회적 성공을 , 노년에는 건강과 보람을 행복의 척도라고 생각한다 .   그러나 김 교수는 행복의 ‘조건’으로 개인의 인격 , 그중에서도 성실함을 꼽았다 .   “동서양 마찬가지로 성실함이 행복에 있어 가장 중요한 가치라고 생각합니다 .   성실하게 되면 교만하지 않고 , 정직하게 되고 , 항상 더 높은 것을 추구하는 마음을 갖게 되죠 . 행복은 이러한 삶의 태도에서 나오게 됩니다 . ”   (2) “ 그의 ‘건강 비결’에 대한 질문을 받자 김 교수는 두 가지 마음가짐을 강조했다 .   “ 100 살 넘도록 사는 사람 가운데 내가 아는 사람이 7 명이 있습니다 .   그들의 공통점이 있는데 , 하나는 하나같이 욕심이 많지 않다는 것이고 , 또 하나는 남 욕을 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 정서적으로 아름답게 사는 것이 건강 비결이 아닌가 해요 .”   저는 이 두 가지 내용 중 두 번째 내용에서 김형석 교수님이 아시는 100 살 넘도록 사는 일곱 분들의 공통점 중 하나가 바로 “ 하나같이 욕심이 많지 않다는 것 ” 을 생각할 때 오늘 본...

우리의 길을 막으시는 하나님 (3) (민수기 22장 21-34절)

우리의 길을 막으시는 하나님 (3)         [ 민수기 22 장 21-34 절 ]               아직도 기억이 생생합니다 .   제가 Fuller 신학교를 다녔을 때 선교학 교수님이 ‘ 요나와 벌레 ’(Jonah and the Worm) 이란 책을 우리 학생들에게 소개하시면서 자신은 성경책 다음으로 이 책을 좋아하신다고 말씀하셨습니다 .   그래서 저는 그 책을 사서 읽었는데 아직도 생생하게 기억나는 것은 그 책에 그려진 그림들 중에 요나 선지가는 니느웨 반대 방향으로 뛰어가는 모습이었고 벌레는 니느웨 방향으로 기어가는 모습이었습니다 .   비록 한 장의 그림이지만 저는 지금까지도 그 사진을 생각하면 비록 하나님의 종인 요나 선지자는 하나님의 명령에 불순종하였지만 벌레는 창조주 하나님의 명령에 신실하게 순종하여 니느웨로 가서 요나의 머리 위에 그늘을 만들어 주시고자 예비하신 박넝쿨을 갉아먹었기에 ( 욘 4:6-7) 요나 선지자는 벌레만도 못하다는 생각입니다 .   새 찬송가 143 장 “ 웬 말인가 날 위하여 ” 1 절 가사가 생각납니다 : “ 웬 말인가 날 위하여 주 돌아가셨나 이 벌레 같은 날 위해 큰 해 받으셨나 .”   또 생각나는 것은 시편 73 편 22 절 말씀입니다 : “ 내가 이같이 우매 무지함으로 주 앞에 짐승이오나 .”   시편 기자 아삽은 의인은 고통을 당하는데 ( 시 73:13-14) 악인은 형통하는 것을 보고 (3-12 절 ) 오만한 악인을 질투하다가 (3 절 ) 하나님의 성소에 들어가서야 그 악인들의 종말을 깨닫게 되었을 때 (17 절 ) 자신의 마음이 괴롭고 양심이 찔리므로 말미암아 자신이 어리석고 무지함으로 주님 앞에 짐승같이 되었다고 고백했습니다 (21-22 절 , 현대인의 성경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