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라벨이 쓰다인 게시물 표시

불가능함은 기회입니다. (6)

불가능해 보이는 인간(부부) 관계, 어떻게 해야 하는 것일까요? 믿음이란 ... (1) 바랄 수 없는 것을 바라게 합니다. (2) 볼 수 없는 것을 보게 합니다. (3) 할 수 없는 것을 하게 합니다. https://youtu.be/LwfJR3i5w48?si=DeFjUqZG3WtAIYGA

계산적으로 생각하면 얻은 사람보다 잃은 사람들이 더 많고 더 크다고 생각할 것입니다.

계산적으로 생각하면 얻은 사람보다 잃은 사람들이 더 많고 더 크다고 생각할 것입니다 .      나오미 ( 뜻 : " 나의 즐거움 ") 가 며느리 룻과 함께 고향 베들레헴으로 돌아와서 그 곳 여자들에게 " 나를 나오미라 부르지 말고 ' 마라 '( 뜻 : " 쓰다 ") 라고 불러 주시오 " 라고 말했습니다 .   그 이유는 " 이것은 전능하신 하나님이 나에게 괴로운 시련을 많이 주셨기 때문입니다 .   내가 이 곳을 떠날 때는 가진 것이 많았으나 여호와께서는 나를 빈손으로 돌아오게 하셨습니다 .   여호와께서 나를 버리시고 나에게 괴로움을 주셨으니 어떻게 당신들이 나를 나오미라고 부를 수 있겠습니까 ?" 였습니다 ( 룻기 1:19-21, 현대인의 성경 ).   유다 땅에 " 흉년 " 으로 인해 고향을 떠나 모압 땅에 가서 살기로 한 결정 (1-2 절 ) 의 결과가 결국 떠날 때 가지고 있었던 많은 것을 다 잃어버리고 빈손으로 다시 고향으로 돌아오는 것이었습니다 .   그 결과 나오미는 하나님께서 자기를 버리시고 자기에게 괴로움을 주셨다고 생각했습니다 .   그러나 나오미는 많은 것을 잃었지만 ( 심지어 자신의 남편과 두 아들도 ) 이방 여인 룻이라는 며느리 한 사람을 얻었습니다 .   계산적으로 생각하면 얻은 사람보다 잃은 사람들이 더 많고 더 크다고 생각할 것입니다 .   그러나 믿음의 눈으로 보면 룻이란 한 여인이 보아스와 재혼해서 다윗왕을 낳은 이새의 아버지 오벳을 낳습니다 (4:17, 현대인의 성경 ).   그리고 다윗왕을 통해 메시야 이신 예수님이 오셨습니다 ( 마태복음 1:1-16, 특히 5-6 절 ).

왜 나오미는 그리도 괴로웠을까요?

왜 나오미는 그리도 괴로웠을까요?  성경 룻기서에 나오는 나오미가  자기 고향 유다 여인들에게  자기를 " 나오미 "( 뜻 : " 나의 즐거움 ") 라고 부르지 말고 " 마라 "( 뜻 : " 쓰다 ") 라고 불러달라 한 이유는  유다 베들레헴을 떠나기 전에 풍부했지만  모압 땅에서 다시 유다 베들레헴으로 돌아올 때에는  빈손이었기 때문 뿐만 아니라 ( 룻 1:20-21)  자기 남편과 두 아들이 죽었기 때문이겠지만 (3, 5 절 )  어쩌면 그 궁극적인 이유는 그녀는  자기 남편의 대를 이을 손자가 없어서  자기를 " 마라 " 라고 불러 달라고 한게 아닌가 생각합니다 .   그랬기에 " 여인들이 나오미에게 이르되  " 찬송할지로다 여호와께서 오늘 네게 기업 무를 자가 없게 하지 아니하셨도다 ... 이는 네 생명의 회복자이며 네 노년의 봉양자라 ..." 라고 말한 후 (4:14-15)  그 아기에게   " 오벳 " 아라고 이름을 지어주면서  " 나오미에게 아들이 태어났다 " 라고 말했다고 생각합니다 (17 절 )( 오벳은 그녀의 아들이 아니라 손자인데 말입니다 ).   그리고 나오미가 아기를 받아 품에 품고  그의 양육자가 됩니다 (16 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