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라벨이 하나님께서 원하시는 것인 게시물 표시

불가능함은 기회입니다. (6)

불가능해 보이는 인간(부부) 관계, 어떻게 해야 하는 것일까요? 믿음이란 ... (1) 바랄 수 없는 것을 바라게 합니다. (2) 볼 수 없는 것을 보게 합니다. (3) 할 수 없는 것을 하게 합니다. https://youtu.be/LwfJR3i5w48?si=DeFjUqZG3WtAIYGA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원하시는 인애(사랑)이란?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원하시는 인애(사랑)이란? ‘순종이 제사보다 낫다’는 말씀 ( 삼상 15:22) 과 “나는 인애를 원하고 제사를 원하지 아니하며” ( 호 6:6) 라는 말씀과 무슨 연관이 있는 것일까요 ?    저는 이 질문을 던질 때에 요한복음 14 장 21 절 말씀이 생각났습니다 :  “나의 계명을 지키는 자라야 나를 사랑하는 자니 나를 사랑하는 자는 내 아버지께 사랑을 받을 것이요 나도 그를 사랑하여 그에게 나를 나타내리라 . ”    이 말씀을 보면 예수님께서는 예수님의 계명을 지키는 자라야 예수님을 사랑하는 자라고 말씀하셨습니다 .  즉 , 우리가 주님을 사랑한다면 우리는 주님의 말씀에 순종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   이렇게 사랑과 순종은 연관된 것을 볼 때 ‘순종이 제사보다 낫다’는 말씀 ( 삼상 15:22) 과 “나는 인애를 원하고 제사를 원하지 아니하며”라는 말씀 ( 호 6:6) 의 연관성은 하나님은 우리에게 하나님께 순종하는 “인애”를 원하신다는 것입니다 .   여기서 “인애”란 단어는 원어 히브리어로 “헤세드”로서 그 의미는 언약적 사랑과 충성 (covenantal affection and loyalty) 입니다 ( 주석 ).  즉 , 하나님이 우리에게 원하시는 인애란 언약의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명령하신 계명을 충성되이 순종하는 사랑입니다 .  이 순종하는 사랑이란 새 언약의 피를 흘리시사 ( 마 26:28; 히 10:29) 우리로 하여금 새 언약의 백성들이 되게 하신 예수 그리스도께서 우리에게 주신 “네 마음을 다하고 목숨을 다하고 뜻을 다하여 주 너의 하나님을 사랑하라”와 “네 이웃을 네 ...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원하시는 것은 ...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원하시는 것은 ...  하나님이 우리에게 원하시는 것은  우리가 하나님을 아는 것입니다 ( 호 6:6).   그런데 우리는 하나님을 아는 지식도 없습니다 (4:1).   우리가 하나님을 아는 지식이 없으므로 망하고 있습니다 (6 절 ).   목사님들도 하나님을 아는 지식을 버렸습니다 (6 절 ).   우리 모두가 하나님의 율법 ( 계명 ) 을 잊어버렸습니다 (6 절 ).   지금 교인들과 교회 수는 줄어들고 있는데  목사님들은 늘어나고 있습니다 .   그런데 목사님들이 많으면 많을수록  하나님께 더 많이 범죄하고 있습니다 (7 절 , 현대인의 성경 ).   그러므로 하나님은 우리의 영광을 수치로 바꾸고 계십니다 (7 절 , 현대인의 성경 ).   우리가 하나님을 아는 것을 원치 않는 이유는  우리가 하나님을 알아가면 갈수록  우리의 죄가 들춰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 엡 5:11).   다시 말하면 , 우리가 하나님을 아는 지식을 추구하지 않는 이유는  지금 우리는 어둠의 일에 참여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11 절 ).   우리가 입술로는 하나님과 교제한다고 말하지만  실제로는 죄를 짓는 어두운 생활을 하고 있기에 ( 요일 1:6, 현대인의 성경 )  우리는 하나님을 알고 싶어하지 않고 있습니다 .   우리는 하나님을 알아야 합니다 .    우리는 힘써 하나님을 알아가야 합니다 ( 호 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