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구원의 확신 (11) (로마서 8장 29-30절)

구원의 확신 (11)       [ 로마서 8 장 29-30 절 ]     로마서 8 장 30 절 말씀입니다 : “또 미리 정하신 그들을 또한 부르시고 부르신 그들을 또한 의롭다 하시고 의롭다 하신 그들을 또한 영화롭게 하셨느니라 . ”   여기서 “또한 의롭다 하시고”는 칭의를 말씀합니다 .   우리는 이미 로마서 3 장 21-26 절을 통하여 칭의에 대하여 7 가지 교훈을 받았습니다 : (1) 칭의의 창시자 , (2) 칭의 필요성 , (3) 칭의의 근거 , (4) 칭의의 통로 , (5) 칭의의 보편성 , (6) 칭의의 목적 , (7) 칭의의 결과 .     오늘은 “ 구원의 확신 (11)” 이란 제목 아래 로마서 8 장 30 절 하반절 “ 또한 영화롭게 하셨으니라 ” 는 말씀을 묵상하고자 함 .   3 단계로 묵상하려고 합니다 .   첫째로 , 부활의 단계입니다 .   우리가 부활하면 그것은 영화 ( 영광 ) 입니다 .   우리가   의롭다하심 ( 칭의 ) 을 입은 것은 우리 영혼이 부활한 것입니다 .   한 사람 아담의 범죄로 [ 창세기 2 장 17 절에서 말씀하고 있는 하나님의 명령을 불순종하였음 (3:6)] 말미암아 모든 사람이 죄를 지었으므로 사망이 모든 사람에 이르렀는데 ( 롬 5:12) 그 사망이란 우리 영혼이 죽었습니다 [ 참고 : ( 엡 2:1, 현대인의 성경 ) “ 여러분은 불순종과 죄 때문에 영적으로 죽었던 사람들입니다 ”].   즉 , 우리는 생명이신 하나님과 분리된 것입니다 .   그래서 우리는 영혼이 멸망당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   이런...

"아빠와의 성경나눔 4일차"

 암 투병중이신 아버지에게 복음을 전하는 영상 형제의 "아빠와의 성경나눔" 글입니다:


"아빠와의 성경나눔 4일차: "이 희망은 우리를 실망시키지 않습니다. 그것은,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주신 성령으로 하나님의 사랑을 우리 마음 속에 부어 주셨기 때문입니다."(로마서5:5)

창세기를 보면 아담의 범죄 이후로 땅에 가시와 엉겅퀴가 나게 되었다고 기록하고 있어. 우리가 가시와 엉겅퀴 가득한 이 세상에서 아무리 씨를 뿌리고 밭을 갈아도 수고한 만큼의 열매는 우리에게 돌아오지 않고, 우리의 삶의 터전은 언제나 나를 비웃듯이 나의 수고와 노력을 배신하기 마련이야.

가족을 위해 아등바등 살아온 것 밖에 없는데 돌아온 것은 편안한 노후가 아니라, 암이나 사고와 같은 고통이거나 기대하지 않은 더한 아픔을 맞이하기도 하는게 우리의 인생이잖아.

내게도 볕들날이 있겠지하며 버텨왔지만 돌이켜보면 돈도, 건강도, 사람도 나를 실망시키기 일쑤인 인생이었고, 그래서 눈물 많은 인생이었지만, 성경은 하나님 나라의 영광을 향한 성도의 소망은 우리를 절대 실망시키지도, 부끄럽게 하지도 않는다고 말하고 있어.

'내 구원을 어떻게 확인할 수 있을까' 혹은 '하나님께서 나를 사랑하심을 어떻게 확인할 수 있을까'하고 불안해 할 필요도 없어. 성령님이 그 증거가 되시거든. 하나님께서 천국백성 삼으시기 위해 거듭나게 하신 자들의 징표는 '하나님의 영', 혹은 '예수님의 영'이라고도 불리는 '성령님'께서 그 성도 안에 머무르신다는 거야.

하나님은 사랑의 하나님이시기에 성령님을 '사랑의 영'이라고도 하는데, 사랑의 영이신 성령님은 사랑의 하나님을 알아가고픈 소원을 우리 마음에 불러일으킬 뿐만 아니라, 천국에서의 완전한 사랑을 소망하게 하고, 고된 성도의 삶에 하나님의 사랑으로 기쁨이 넘치도록 하며, 하나님을 사랑하고 이웃을 사랑함의 원천이 되기도 해. 이 글을 읽으며 하나님을 알아가고자 하는 마음이 있다면, 그것은 성령님이 이미 아빠 안에서 일하시기 시작했다는 증거라고 믿어봐도 되고. 이것은 곧 구원의 증거가 돼. 성령님은 절대로 성도를 떠나시지 않거든.

하나님은 이처럼 십자가에 달리신 예수님을 통해 우리를 향한 하나님의 사랑을 확증하셨을 뿐만 아니라, 십자가 사건이 과거의 사건에만 머무르지 않도록, 거듭난 성도의 구원이 완성에 이르기까지 사랑의 영인 성령님을 성도 안에 머무르게 하셔서, 성도의 삶에서 언제나 구원을 증명해.

배신과 실망 가득한 이 땅에서는 어디 하나 온전히 마음 둘 곳이 없었지만, 하나님을 향한 소망에는 우리의 온 마음과 남은 생을 온전히 내던져도 되고 안심해도 돼. 가시와 엉겅퀴 가득한 이 세상이 아무리 병과 고난과 고통으로 나를 좌절시키려 해도 말이야.

우리가 병상의 침대가 아니라, 하나님의 넓은 품에 몸을 뉘이고 평안을 누렸으면 해. 이 땅에서 지금 이 순간에도 말야. 우리의 눈물을 닦으시고 회복시키시는 하나님을 믿어보자."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