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라벨이 쓴맛이 사는 맛인 게시물 표시

부부 사랑 (8)

  부부 사랑은 함께 웃는 것입니다.

쓴맛이 사는 맛

  [김종민 칼럼] 쓴맛이 사는 맛 얼마전 영국의 공영방송 BBC가 ‘오늘의 단어’로 ‘꼰대(KKONDAE)’라는 말을 선정했다. “자신이 항상 옳다고 믿는 나이 많은 사람(다른 사람은 늘 잘못됐다고 여김)”이라고 설명을 붙였다. 아프리카 속담에 ‘죽어가는 노인은 불타고 있는 도서관과 같다’는 말이 있다. 노인 한 사람은 한 시대요, 그 시대의 산 역사다. 개개인의 지적 역량과 경험치, 인품과는 별개로 노인은 그 자체가 보물과 같은 존재다. 그러나 사회학자 엄기호는 우리 사회에 ‘자신의 경험을 후대에 전승하고 조언을 주고, 참조할 만한’ 어른이 없다고 했다. 자신의 과오에 대한 반성이 없이 잔소리와 설교를 일삼는 ‘꼰대’에게 사회적 존경이 따라올 수는 없다. <쓴맛이 사는 맛> 은 시대의 어른, 거리의 철학자로 존경받는 채현국 선생의 생각을 정운현 작가가 기록한 책이다. 채현국 선생은 1935년에 사업가 채기엽의 아들로 태어나 서울대 철학과를 졸업하고 중앙방송국(KBS의 전신)의 공채 1기 연출직에 입사했다. 그러나 그 곳에서의 일이 자신의 신념과 맞지 않는다는 것을 깨닫고 아버지의 탄광 운영을 돕게 된다. 사업을 통해 한때 개인 소득세 납부액 전국 2위를 기록할 정도로 거부가 되었지만, 돈 버는 것이 신앙이 되어 버리기 전에 그만둬야겠다고 생각하고 사업을 정리했다. 1988년부터 효암학원 이사장으로 취임해 효암 고등학교와 개운 중학교를 돌보며 교육자의 삶을 살고 있다. 그가 이사장으로 있는 효암 고등학교 정문 비석에는 ‘쓴맛이 사는 맛’이라는 글귀가 새겨져 있다. 채현국 선생은 사람은 누구나 필연적으로 인생에 쓴맛을 볼 수밖에 없기에 쓴맛도 인생의 일부이며 쓴맛을 본 사람이야 말로 단맛을 이야기할 수 있다고 말한다. 행복해지기 위해 돈 버는 것, 그리고 그것을 누리는 것이 단맛이라면 그는 누구보다도 단맛을 잘 아는 사람이다. 그는 사람들은 잘 모르지만 ‘돈 쓰는 재미’보다 몇 천 배 강한 것이 ‘돈 버는 재미’라고 말한다. 돈 버는 일에 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