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라벨이 열매 맺는 60-90세인 게시물 표시

설교에 대한 나의 고민

  https://youtu.be/7gw7qr-zJsA?si=UYNXPlNlgtI1j3Cg

100세 철학자 김형석 "살아보니 열매 맺는 60~90세 가장 소중"

  100세 철학자 김형석 "살아보니 열매 맺는 60~90세 가장 소중" 중앙일보 업데이트 2020.09.28 08:05 지면보기 지면 정보 장세정 기자 중앙일보 논설위원  구독 1920년 4월 23일 평안북도 운산군에서 태어난 김형석 연세대 명예교수는 47년 월남한 '원조 탈북 실향민'이다. 85년 퇴직 이후 35년간 강연과 집필 활동으로 인생 이모작을 일궈 왔다. 자신과 주변의 100세 사례를 근거로 "선하고 아름다운 인간관계를 유지하는 것이 건강과 장수의 비결"이라고 말했다. 임현동 기자 철학자이자 수필가로 유명한 김형석 연세대 명예교수가 100세를 맞은 지난 4월 『백세 일기』를 펴냈다. 코로나19 때문에 초유의 '비대면 추석'을 앞두고 있다. 풍성한 한가위여야 하는데 이번엔 고향에 가기가 꺼려지고 부모와 형제자매 얼굴 보기도 어렵다.  최근『백세 일기』를 펴낸 철학자 김형석(100) 연세대 명예교수를 아직 파릇파릇한 기운이 남아 있는 서울 신촌의 연세대 캠퍼스에서 만난 이유는 1920년에 태어나 100년을 살아온 진정한 원로(Elder)에게서 코로나 시대의 인생과 세상살이의 지혜를 듣기 위해서였다.  김 교수는 평안북도 운산군에서 태어나 평안남도 대동군에서 자랐다. 6남매의 장남인 그는 47년 8월 부모님을 고향에 남겨두고 아내와 장남을 데리고 월남한 '원조 탈북자'이자 실향민이다.  -추석이 다가오면 누가 제일 그립고 많이 보고 싶으신가요.  "6·25전쟁 때 고향에 다시 가서 5~6일 지냈어요. 그때 어머님을 모셔와서 남쪽에서 세상을 떠나셨어요. 월남할 때 두고 왔던 큰딸은 6·25 때 데리고 왔는데 아버님은 모시고 오지 못해 지금껏 못 뵈었죠. 그래서 아버님 생각이 제일 많이 납니다. 아버님이 나한테 해주신 말씀이 지금까지 제 인생을 뒷받침해줬죠."  -어떤 말씀이 특히 생각나십니까.  "14세 때 중학교에 입학했는데 당시는 일본 강점기였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