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라벨이 욕망인 게시물 표시

The Inseparable Love of God (1) [Romans 8:38-39]

The Inseparable Love of God (1) [ Romans 8:38-39 ] Why can nothing separate us from the love of God? 1. Because God’s love is eternal. Romans 8:29a says: “For those whom He foreknew…” The word “foreknew” refers to before eternity began —before the creation of heaven and earth . The phrase “those whom He foreknew” does not simply mean knowing about someone intellectually, but rather loving them. In other words, it refers to “those whom God loved from eternity past.” Amos 3:2a says: “You only have I known of all the families of the earth.” If “known” merely meant intellectual knowledge, that would imply that God only knew Israel and did not know the other nations—which cannot be true, because the all-knowing God lacks knowledge of nothing. Therefore, “I have known you only” means “I have loved you only.” God loved Israel among all the nations of the earth. Hosea 13:5 says: “I knew you in the wilderness , in the land of great drought.” The “wilderness” was where the Israelite...

옛 사람을 벗어 버리고 새 사람을 입으라! (1) (골로새서 3장 5-17절)

옛 사람을 벗어 버리고 새 사람을 입으라 ! (1)         [ 골로새서 3 장 5-17 절 ]       여러분 , 예수님을 믿는 저와 여러분의 몸을 과거의 몸과 현재의 몸과 미래의 몸으로 구분할 수가 있습니다 :   (1)    과거의 몸 :   과거 우리의 몸은 “죄의 몸”이었습니다 ( 롬 6:6).   여기서 죄의 몸이란 “옛 사람”의 몸입니다 (6 절 ).   “죄의 몸”이란 본래 하나님께서 흙으로 빗으시사 첫 사람 아담의 코에 생기를 불어넣으시므로 생령이 됨 ( 창 2:7; 참고 : 고전 15:45).   그런데 아담의 범죄로 말미암아 죄가 몸 안에 들어왔습니다 .   이렇게 과거의 몸인 “죄의 몸” ( 옛 사람 ) 은 가인처럼 ( 요일 3:12) 형제를 미워하는 몸이요 살인을 하는 몸입니다 (15 절 ).   (2)    현재의 몸 :   지금 우리의 몸은 성령님이 계시는 성령의 전입니다 ( 고전 6:19).   이 현재의 몸은 “새로운 피조물” ( “새로운 존재” ) 이요 “새 사람” ( 고후 5:17, 현대인의 성경 ) 의 몸이요 “의의 종” ( 롬 6:18, 현대인의 성경 ) 의 몸입니다 .   이 의의 종의 몸은 의를 행합니다 ( 요일 2:29).   즉 , 새 사람인 의의 종의 몸은 주님의 계명대로 서로 사랑하라는 말씀에 순종합니다 (3:11, 23).   또한 의의 종의 몸은 “성령의 전”으로서 ( 고전 6:19) 성령의 열매인 “사랑” ( 갈 5:22) 을 맺어 사랑하는 몸이요 사랑할 수밖에 없는 몸입니다 .   (3)    미래의 몸 :   장차 우리의 몸은 예수님의 재림 때 변화 ( 부활 ) 할 몸입니다 . ...

우리 안에 무리한 욕망을 이루고 싶어하는 마음(야심)이 있다면 ...

우리 안에 무리한 욕망을 이루고 싶어하는 마음(야심)이 있다면 ...  “ 야심을 품고 ”( 열왕기상 1:5, 현대인이 성경 ) “ 스스로 높여서 ” 이스라엘 왕이 되고자 했던 아도니야 (5 절 ) 는 자기의 이복 동생인 솔로몬이 왕이 된 것이 “ 하나님의 뜻입니다 ”(2:15, 현대인의 성경 ) 이라고 솔로몬 왕의 어머니 밧세바에게 말한 후 그녀에게 수넴 여자 아비삭을 자기 아내로 삼게 해 달라고 부탁을 했습니다 (16-17 절 , 현대인의 성경 ).   여기서 “ 수넴 여자 아비삭 ” 은 다윗 왕이 살아 생전에 나이가 많아 아무리 이불을 많이 덮어도 따뜻한 줄을 몰랐을 때 그의 신하들이 아름다운 처녀를 찾아 전국을 돌아다니다가 찾은 여자로서 다윗 왕의 시중을 들게 한 여자였습니다 (1:1-4, 현대인의 성경 ).   그런데 아도니야가 자기 아버지 다윗 왕을 시중들던 그 여자를 자기 아내로 삼길 원했던 것입니다 .   저는 이 말씀을 묵상할 때 야곱의 첫째 아들인 르우벤이 자기 아버지 야곱의 첩 빌하와 동침 ( 통간 ) 한 성경 말씀이 생각났습니다 ( 창세기 35:22).   그래서 야곱은 자기 아들들을 불러 말했을 때 맏아들 르우벤에 대해서 “ 너는 내 첩과 잠자리를 같이하여 네 아버지를 욕되게 하였다 ” 고 말했습니다 (49:4, 현대인의 성경 ).   르우벤처럼 다윗의 아들 아도니야도 자기 아버지를 욕되게 하고자 수넴 여자 아비삭을 자기 아내로 삼길 원했던 것이라 생각합니다 .   야심을 품고 스스로 높여서 이스라엘의 왕이 되고 싶어했던 아도니야는 자기가 왕이 고자가 했던 계획이 실패로 돌아가자 이젠 아버지 다윗왕의 여인까지 자기 아내로 삼고자 했던 것입니다 .   우리 안에 무리한 욕망을 이루고 싶어하는 마음 ( 야심 ) 이 있다면 무리한 계획을 세우고 무리한 일을 무모하게 시도하므로 결국 그 야심의 대가를 치를 수밖에 없습니다 .

육체의 고통을 겪을 때 죄를 그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육체의 고통을 겪을 때 죄를 그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비록 우리가 예수님을 믿기 전에는 세상 사람들처럼 방탕과 정욕과 술 취함과 진탕 마시고 흥청망청 떠드는 것과 우상 숭배에 빠져 살았지만 예수님을 믿고 나서부터 우리는 남은 인생을 인간적인 욕망을 위해 살지 말고 하나님의 뜻을 위해 살아야 합니다 .     그러기 위해서 육체의 고통을 겪을 필요가 있습니다 .   그 이유는 우리가 육체의 고통을 겪을 때 죄를 그칠 수 있기 때문입니다 ( 베드로전서 4:1-3, 현대인의 성경 ).

세상과 벗된 삶을 살아서는 아니 됩니다.

세상과 벗된 삶을 살아서는 아니 됩니다.  우리는 세상을 가까이 하지 말고 하나님을 가까이 해야 합니다 .   우리는 하나님께 복종하고 마귀를 대항해야 합니다 .   결코 우리를 교만한 마음으로 마귀에게 복종하여 우리 속에 있는 싸우는 쾌락과 욕망과 욕심에 이끌려서 세상과 벗된 삶을 살아서는 아니 됩니다 ( 야고보서 4:1-2, 6-8, 현대인의 성경 ).

성령님은 우리를 질투하시기까지 사랑하신다는 사실을 기억해야 합니다.

성령님은 우리를 질투하시기까지 사랑하신다는 사실을 기억해야 합니다.  만일 우리가 세상과 벗이 되어 우리 속에 쾌락에 대한 욕망과 욕심을 만족케 하면서 살고 있으면 우리는 우리 속에 거하시는 성령님은 우리를 질투하시기까지 사랑하신다는 사실을 기억해야 합니다 ( 야고보서 4:1-5, 현대인의 성경 ).

욕망과 욕심

욕망과 욕심  우리 속에 싸우는 쾌락에 대한 욕망과 욕심은 우리로 하여금 싸움과 다툼을 일으키며 하나님께 기도 응답도 받지 못하게 하고 있습니다 ( 야고보서 4:1-3, 현대인의 성경 ).

마음 속에 지독한 시기심과 이기적인 욕망이 있다면 ...

마음 속에 지독한 시기심과 이기적인 욕망이 있다면 ...  마음 속에 지독한 시기심과 이기적인 욕망이 있다면   입을 열어 자랑하지 말아야 합니다 .   만일 입을 열어 자랑하게 되면 진리를 거스려 거짓말을 할 것입니다 ( 야고보서 3:14, 현대인의 성경 ).

어리석은 사람은 ...

어리석은 사람은 ...     1. 감정의 지배를 받는다 .      모든 것을 이성으로 판단하고 평가하는  대신에 감정의 차원에서 평가하고  대조한다 .   2. 욕망에 의하여 지배를 받는다 .      내가 원하는 것은 무엇이든지 다 가져야  한다 .  내가 하고 싶은 것은 다 옳다 하는  식이다 .      그 일이 마음에 드니 나는 그것을  가져야 행복하겠다는 것이다 .   3. 충동과 본능에 의하여 지배를 받아  행동한다 .     4. 열심에 의해 지배당하기도 한다 .      열심은 지혜나 이해로 인도되지 아니하고  지배되지 아니하는 한 쓸모없는 것이다 .   5. 적당하게 생각하지 아니한다 .      하나의 문제를 놓고 여러 각도에서  생각하지 아니한다 .  한번에 하나 밖에는  보지 못한다 .   6. 결과들을 숙고하지 아니한다 .   7. 일관성이 없다 .   8. 인내심과 참을성이 없다 .   9. 언제나 균형을 잃고 있다 .   ( 로이드 존스 , " 영적광명 ")

우리의 우상?

우리의 우상?  물질 (wealth) 과  높아지고 하는 욕망 (desire for status) 과  사람을 두려워하는 것 (fear of man) 및  자기 - 의 (self-righteousness) 는  우리의 우상이 될 수가 있습니다 .   [C. D. "Jimmy" Agan III 의  "The Imitation of Christ in the Gospel of Luke" 를 읽으면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