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라벨이 용납인 게시물 표시

"자녀를 건강한 아이로 키우려면? 부모 자신부터 감정을 다스려라"

"자녀를 건강한 아이로 키우려면? 부모 자신부터 감정 다스려라   부모의 감정이 무엇보다 자녀의 감정에 큰 영향을 미친다 / 셔터스톡 부모라면 자녀의 감정을 존중하는 것의 중요성에 대해 들어봤을 것이다.  하지만 부모인 당신의 감정은 어떠한가? 임상 사회 복지사이자 심리 치료사인 힐러리 제이콥스 헨델과 심리학자이자 양육 교육자인 줄리 프라가 박사는 신간, 『부모도 감정이 있다(Parents Have Feelings, Too)』에서 통념을 뒤집었다.  즉, 정서적으로 건강한 아이를 양육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선 먼저 부모 자신의 감정을 다스릴 줄 알아야 한다는 것이 핵심 메시지다. 이들이 부모들에게 어떤 조언을 했는지 CNN과 함께 알아본다.  부모에게 가장 중요한 감정, '분노' 헨델은 부모가 다뤄야 할 6가지 핵심 감정으로  ▲분노 ▲슬픔 ▲두려움 ▲혐오 ▲기쁨 ▲흥분을 꼽았다. 그러면서 ‘분노’를 가장 중요한 핵심 감정으로 보았다.  그녀는 “분노는 파괴적인 잠재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사람들을 곤경에 빠뜨리는 감정이며, 그래서 우리는 대개 그것을 묻어버린다. 그런데 이때 분노는 안으로 폭발하여 우울, 죄책감, 불안, 수치심으로 나타날 수 있다. 혹은 밖으로 폭발하여 공격성으로 표출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중요한 것은 분노를 ‘행동’으로 옮기지 않고 ‘경험’하는 방법을 배우는 것이다.  이는 분노에 이름을 붙이고, 신체에서 어떻게 느껴지는지 알아차리고, 그 순간의 충동이 무엇인지를 인식하며, 궁극적으로는 그 에너지를 방출하는 것을 포함하는 내면의 과정이다.  이에 더해 헨델은 분노를 두 개의 분리된 단계로 이해할 필요성을 말했다. 분노를 경험하는 내적인 과정과 스스로와 가족에게 건설적인 방식으로 분노를 표현하는 외적인 과정이 그것이다.  한편, 프라가 박사는 엄마와 달리, 아빠들의 경우 ‘분노’라는 감정처리에 더욱 익숙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하지만 아빠들...

총체적 칭의론 (2) (로마서 2장 1-16절)

총체적 칭의론 (2)         [ 로마서 2 장 1-16 절 ]       “ 총체적 칭의론 ” 7 가지 소주제 중 첫 번째인 “ 칭의의 필요성 ” 에 대해서 계속 묵상하고자 합니다 .   로마서 3 장 23 절 말씀입니다 : “모든 사람이 죄를 범하였으매 하나님의 영광에 이르지 못하더니 . ”   이 하나님의 말씀에 의하면 모든 사람”이 죄를 범하였으므로 하나님의 영광에 이르지 못하였기에 “모든 사람”이 절대적으로 칭의가 필요합니다 .   여기서 “모든 사람”이란 인류의 첫 사람인 창세기에 나오는 아담부터 한 사람도 빠짐없이 모든 사람을 말씀합니다 .   사도 바울은 로마서에서 이 “모든 사람”을 한 4 가지로 말씀하였는데 우리가 지난 주 수요 예배 때 첫째로 죄를 범한 이방 사람들에 대해서 로마서 1 장 18-32 절 말씀 중심으로 묵상하면서 이방 사람들이 절대적으로 칭의가 필요하다는 것을 이미 묵상을 했었습니다 .   오늘은 죄를 범한 “ 남을 판단하는 사람들 ” 에 대해서 로마서 2 장 1-16 절 말씀 중심으로 묵상하면서 남을 판단하는 사람들도 절대적으로 칭의가 필요하는 것을 배우고자 합니다 .   오늘 본문 로마서 2 장 1 절을 보십시오 : “ 그러므로 남을 판단하는 사람아 , 누구를 막론하고 네가 핑계하지 못할 것은 남을 판단하는 것으로 네가 너를 정죄함이니 판단하는 네가 같은 일을 행함이니라 .”   성경에 남을 판단한 사람의 좋은 예가 누가복음 18 장 9-14 절에 나옵니다 .   예수님께서 “ 자기를 의롭다고 믿고 다른 사람을 멸시하는 자들에게 ” 하신 비유의 말씀 (9 절 ) 으로서 “ 바리새인 ” 과 “ 세리 ” 가 성전에 올라가서 기도를 하는데 (10 절 ) 바리새인은 서서 세리와 따로 하나님께 이렇게 기도했습니다 : “ 나는 다른 사람들 곧 토색 , 불...

총체적 칭의론 (2) (롬 2장 1-16절)

총체적 칭의론 (2)         [ 로마서 2 장 1-16 절 ]       A. “ 총체적 칭의론 ” 7 가지 소주제 중 첫 번째인 “ 칭의의 필요성 ” 에 대해서 계속     묵상하고자 함 . 1.     ( 롬 3:23 ) “ 모든 사람이 죄를 범하였으매 하나님의 영광에 이르지 못하더니 . ” a.     이 하나님의 말씀에 의하면 모든 사람”이 죄를 범하였으므로 하나님의 영광에 이르지 못하였기에 “ 모든 사람 ”이 절대적으로 칭의가 필요함 . (1)   여기서 “ 모든 사람 ”이란 인류의 첫 사람인 창세기에 나오는 아담부터 한 사람도 빠짐없이 모든 사람을 말씀함 .   (a)   사도 바울은 로마서에서 이 “ 모든 사람 ”을 한 4 가지로 말씀하였는데 우리가 지난 주 수요 예배 때 첫째로 죄를 범한 이방 사람들에 대해서 로마서 1 장 18-32 절 말씀 중심으로 묵상하면서 이방 사람들이 절대적으로 칭의가 필요하다는 것을 이미 묵상을 했었음   B. 오늘은 죄를 범한 “ 남을 판단하는 사람들 ” 에 대해서 로마서 2 장 1-16 절 말씀     중심으로 묵상하면서 남을 판단하는 사람들도 절대적으로 칭의가 필요하는 것을      배우고자 함 . 1.     ( 롬 2:1 ) “ 그러므로 남을 판단하는 사람아 , 누구를 막론하고 네가 핑계하지 못할 것은 남을 판단하는 것으로 네가 너를 정죄함이니 판단하는 네가 같은 일을 행함이니라 .” a.     성경에 남을 판단한 사람의 좋은 예가 누가복음 18 장 9-14 절 에 나옴 .   (1)   예수님께서 “ 자기를 의롭다고 믿고 다...

주님께 책망을 받을 것입니다.

주님께 책망을 받을 것입니다.  만일 우리가 자칭 예언자라는 여자 이세벨을 용납하여 그녀의 가르침의 꾐에 넘어가 음란한 짓을 하고 우상의 제물을 먹는다면 우리는 주님께 책망을 받을 것입니다 ( 요한계시록 2:20).

제 자신도 연약하기 짝이 없기 때문입니다.

제 자신도 연약하기 짝이 없기 때문입니다. 저는 하나님의 부르심을 받아 영광스러운 직분인 목사가 되어 승리장로교회 성도님들을 대표하여 하나님을 섬기는 일을 맡고 있습니다 .   그래서 저는 예배를 인도하면서 저의 죄 뿐만 아니라 성도님들의 죄를 위해서도 하나님께 사죄의 기도를 드리고 있습니다 .   특히 제가 무식하고 미혹된 자를 능히 용납할 수 있는 것은 제 자신도 연약하기 짝이 없기 때문입니다 ( 참고 : 히브리서 5:1-4, 현대인의 성경 ).

외식하는 율법을 열심히 지키는 사람들의 눈에는 결코 용납할 수 없는 것들이 있습니다.

외식하는 율법을 열심히 지키는 사람들의 눈에는 결코 용납할 수 없는 것들이 있습니다.   율법을 열심히 지키는 사람들에게 있어서는 사도 바울이 모세를 저버리고 , 할례를 행하지 말고 , 유대인의 관습도 따르지도 말라는 가르침은 결코 용납할 수 없는 것이었습니다 .   그러나 그것은 소문일 뿐이었습니다 ( 사도행전 21:20-21, 현대인의 성경 ).   바울은 모세를 저버리지 않았고 , 할례를 꼭 해야만 구원을 받는다는 가르침을 동의할 수 없었던 것이고 (15:1-2) 유대인의 관습을 따르지 말라고 가르치기보다 하나님의 계명을 버리고 사람의 전통을 지키는 것이 잘못되었다는 예수님의 가르침 ( 마가복음 7:8-9) 을 따랐을 뿐이었습니다 .   지금도 교회 안에서는 바리새인들과 같이 외식하는 율법을 열심히 지키는 사람들의 눈에는 결코 용납할 수 없는 것들이 있다고 생각하는 것 같습니다 .   특히 사실에 근거하지 않은 소문이나 복음의 진리를 모르는 무지함 속에서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적인 가르침과 복음의 합당한 삶을 판단하고 비난하며 마음속으로 라도 정죄하는 것 같습니다 .   이러한 면이 만일 우리 안에 보인다면 우리를 회개해야 합니다 .

어쩌면 사랑하는 방법도 ...

어쩌면 사랑하는 방법도 ... 어쩌면 사랑하는 방법은  상대방을 그 모습 그대로 용납하는 것일 수도 . . . 그를 비판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그를 배려하지 않은 내 입장에서의 충고도 ( 아무리 사랑으로 한다고 나는 생각한다 할지라도 ) 삼가해야 하는지도 . . .

조금도 용납하지 말아야 합니다!

조금도 용납하지 말아야 합니다!  조금도 용납하지 말아야 합니다 ! ( 에스겔 14:3)   거짓 선지자들 / 거짓 목사들 거짓 예언 / 거짓 점괘 / 거짓 복음 (13:1-9) 유혹 (10 절 ) 거짓말 (22 절 ) 우상 (14:3) 죄악의 걸림돌 (3 절 )

성령의 하나 되게 하신 것을 힘써 지키십시다.

성령의 하나 되게 하신 것을 힘써 지키십시다. 교회란 공동체 안에는 세 부류의 사람들이 있습니다 : (1) 화평케 하는 자 (peace-maker), (2) 화평을 깨는 자 (peace-breaker), (3) 화평을 지키는 자 (peace-keeper).  우리는 화평을 깨는자가 되어서는 아니됩니다 .  우리는 화평을 지키는 자가 되야 합니다 .  우리는 화평케 하는 자들이 되야 합니다 . 교회란 공동체 안에는 평안(Shalom) 이 있어야 합니다 . 우리는 공동체의 한 일원( 지체 ) 으로서 " 평안의 매는 줄로 성령이 하나 되게 하신 것을 힘써 지 " 켜야 합니다 ( 엡 4:3).  그러기 위해서 우리는 " 모든 겸손과 온유로 " 해야 합니다 (2 절 ).  그리고 우리는 " 오래 참음으로 사랑 가운데 서로 용납 " 해야 합니다 (2 절 ).  왜 우리는 서로 용납하지 않는 것입니까?  왜 우리는 서로 용서하지 않는 것입니까?  우리가 지금 미움과 교만함과 오래참지 못함으로 인하여 공동체의 화평을 깨는 자들이 되고 있다면 그것은 하나님을 기쁘시게 하는 일이 결코 아닙니다.  우리가 하나님을 기쁘시게 하기 위해선 서로 사랑해야 합니다.  우리는 겸손히 그리고 온유함으로 서로 용서하며, 서로 용납해야 합니다 .  하나님께서 나 같은 죄인을 용서하셨고 용납해주셨듯이 우리는 서로 용서하고 용납해야 합니다.  진심으로 말입니다 . 그리할 때 우리는 공동체의 화평을 잘 지켜 나아갈 수 있을 것입니다. 우리 서로 사랑하십시다, 그리스도의 심장으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