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자녀를 건강한 아이로 키우려면? 부모 자신부터 감정을 다스려라"

"자녀를 건강한 아이로 키우려면? 부모 자신부터 감정 다스려라   부모의 감정이 무엇보다 자녀의 감정에 큰 영향을 미친다 / 셔터스톡 부모라면 자녀의 감정을 존중하는 것의 중요성에 대해 들어봤을 것이다.  하지만 부모인 당신의 감정은 어떠한가? 임상 사회 복지사이자 심리 치료사인 힐러리 제이콥스 헨델과 심리학자이자 양육 교육자인 줄리 프라가 박사는 신간, 『부모도 감정이 있다(Parents Have Feelings, Too)』에서 통념을 뒤집었다.  즉, 정서적으로 건강한 아이를 양육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선 먼저 부모 자신의 감정을 다스릴 줄 알아야 한다는 것이 핵심 메시지다. 이들이 부모들에게 어떤 조언을 했는지 CNN과 함께 알아본다.  부모에게 가장 중요한 감정, '분노' 헨델은 부모가 다뤄야 할 6가지 핵심 감정으로  ▲분노 ▲슬픔 ▲두려움 ▲혐오 ▲기쁨 ▲흥분을 꼽았다. 그러면서 ‘분노’를 가장 중요한 핵심 감정으로 보았다.  그녀는 “분노는 파괴적인 잠재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사람들을 곤경에 빠뜨리는 감정이며, 그래서 우리는 대개 그것을 묻어버린다. 그런데 이때 분노는 안으로 폭발하여 우울, 죄책감, 불안, 수치심으로 나타날 수 있다. 혹은 밖으로 폭발하여 공격성으로 표출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중요한 것은 분노를 ‘행동’으로 옮기지 않고 ‘경험’하는 방법을 배우는 것이다.  이는 분노에 이름을 붙이고, 신체에서 어떻게 느껴지는지 알아차리고, 그 순간의 충동이 무엇인지를 인식하며, 궁극적으로는 그 에너지를 방출하는 것을 포함하는 내면의 과정이다.  이에 더해 헨델은 분노를 두 개의 분리된 단계로 이해할 필요성을 말했다. 분노를 경험하는 내적인 과정과 스스로와 가족에게 건설적인 방식으로 분노를 표현하는 외적인 과정이 그것이다.  한편, 프라가 박사는 엄마와 달리, 아빠들의 경우 ‘분노’라는 감정처리에 더욱 익숙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하지만 아빠들...

장모님의 서울대 간호학과 졸업생 사진

 어제 토요일에 아내의 부탁을 받아 제 장모님의 서울대 간호학과 절친 한분에게(밑에 사진에 나와있는 분이심)장모님의 입관예배 및 하관예배 사진들과 동영상들을 보내드렸습니다. 그 분에 대해서 인터넷을 뒤져보니까 서울대 간호학과 명예 교수님이시더라구요.  오늘도 그 분하고 카카오톡으로 대화를 나눴는데 어떤 생각이 들었냐면 장모님의 죽음이 후 이렇게 장모님의 절친하신 분을 주님 안에서 온라인으로나마 만남을 가지게 되었다는 것입니다.  제 아내의 말로는 장모님이(밑에 사진에 맨 왼쪽 서 계신 분) 제일 친하게 지낸 분이 밑에 사진에 맨 오른쪽 서 계신 두분이라고 합니다.  다른 한분도 서울대 간호학과 명예 교수시네요.  그래서 아내의 말로는 자기 어머님도 미국에 유학을 오셔서 박사 공부한 후 서울대로 돌아가셔서 교수가 되시려고 하셨다고 합니다(오늘 장모님의 친구 분하고 카톡으로 대화하면서 처음 알게된 사실은 장모님도 친구 두 분과 함께 조교 또는 전임 강사로 가르치셨다고 합니다("박성숙 교수라고 하시네요).  그런데 하나님은 장모님에게 전혀 다른 계획을 가지고 계셨습니다. 미국에서 박사 공부가 아니라 산부인과 의사셨던 남편(제 장인 어르신)따라 인디안 보호구역에서 약 4년 사셨고(장인 어르신이 거기서 산부의사 일을 하셨기에) 그 후에는 씨에라비스타 병원에 직장이 되어 일하시면서 일 후 집에서 몇몇 분들과 성경공부를 하시다가 주님이 교회를 개척케하신 것 같습니다.  결국 주님의 뜻은 제 장모님이 박사 학위를 받는 것이 아니라 불쌍한 영혼들을 섬기에 하신 것입니다. 약 49년 동안 씨에라비스타에 사시면서 그 사람들을 사랑으로 섬기시다가 한 알의 밀알이 되신 것입니다.   오직 하나님의 뜻대로!

우리 남편들은 회개해야 합니다!

괴로울 때 하나님을 믿음으로 성경적인 생각을 해야 하는데(사53:8) 불신앙 가운데 비성경적이요 인간적이요 심지어 마귀적인 생각을 하므로(마16:23) 생각의 영역에서 죄를 범할 때가 수 없이 많습니다. 우리는 '나의 허물'과 "나의 탓"(삼상22:22) 때문이라고 생각하지 못하고 '나의 배우자'나 '나의 부모'나 '나의 자녀' 탓을 함으로 마음과 생각과 입술과 언행으로 하나님과 식구에게 범죄할 때가 수 없이 많습니다. 가정의 죄는 가정의 가장인 우리 남편/아버지의 죄 때문입니다. 우리가 허물과 죄가 너무 많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우리가 먼저 하나님께 회개해야 합니다. 우리의 허물과 죄를 사하시고자 십자가에 대속 죽으신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를 믿음으로 바라보면서 사죄의 확신을 가지고 우리는 우리 죄를 자복하고 회개해야 합니다. https://youtu.be/qdEpaKxXlOY?si=SSEsWJzwU2BvC1dO

커피를 사랑하는 사람

 경기도 남양주시 화도읍 묵현로양현1길3  겸비교회 1층 o

“칼날에 죽임을 당하도록 되어 있는 사람”

“ 칼을 쓰는 사람은 다 칼로 한다 ”( 마 26: 52, 현대인의 성경 ) 하는 예수님의 말씀을 묵상할 때 요한계시록 13 장 10 절 현대인의 성경 말씀을 묵상하게 됩니다 : “ 잡혀갈 사람은 잡혀가고 칼날에 죽임을 당하도록 되어 있는 사람은 칼날에 죽임을 당할 것입니다 .   그래서 성도들에게 인내하는 믿음이 필요합니다 .”    이 두 말씀을 연합해서 묵상할 때 우리 성도들은 “ 칼을 쓰는 사람 ” 이라기보다 오히려 “ 칼날에 죽임을 당하도록 되어 있는 사람 ” 이란 생각이 듭니다 .   그래서 우리뿐만 아니라 시몬 베드로도 “ 인내하는 믿음이 필요합니다 .”    

주간 짧은 말씀 묵상 (2025년 6월 23-27일)

주간 짧은 말씀 묵상       “ 제자들이 다 예수를 버리고 도망하니라 한 청년이 벗은 몸에 베 홑이불을 두르고 예수를 따라가다가 무리에게 잡히매 베 홑이불을 버리고 벗은 몸으로 도망하니라 그들이 예수를 끌고 대제사장에게로 가니 대제사장들과 장로들과 서기관들이 다 이더라 베드로가 예수를 멀찍이 따라 대제사장의 집 뜰 안까지 들어가서 아랫사람들과 함께 앉아 불을 쬐더라 ”( 마가복음 14:50-54) 하는 말씀을 묵상하면서 주시는 교훈을 받고자 합니다 : (1)    예수님께서 잡히셨을 때 예수님의 제자들은 모두 다 예수님을 버리고 도망하였습니다 (50 절 ).   이것은 예수님께서 이미 “ 너희가 다 나를 버리리라 이는 기록된 바 내가 목자를 치리니 양들이 흩어지리라 ”(27 절 ) 하고 예언하신 말씀이 성취된 것을 보여줍니다 .   다시 말하면 , 가룟 유다와 유대인들이 예수님을 로마인들에게 넘겨주어 그들로하여금 예수님을 십자가에 못박아 죽이게 하려고 선한 “ 목자 ” 이신 예수님을 잡았을 때 ( 공격하였을 때 ) 예수님의 “ 양들 ” 인 제자들이 모두 다 예수님을 버리고 도망한 것입니다 ( 참고 : 호크마 주석 ). (a)    여기서 선한 “ 목자 ” 이신 예수님이 공격을 당하신 것은 “ 기록된 바 내가 목자를 치리니 …” 란 구약 성경 스가랴 13 장 7 절의 예언 말씀의 성취입니다 : “ 만군의 여호와가 말하노라 칼아 깨어서 내 목자 , 내 짝 된 자를 치라 목자를 치면 양이 흩어지려니와 작은 자들 위에는 내가 내 손을 드리우리라 ”[( 현대인의 성경 ) “ 전능하신 여호와께서 다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