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라벨이 그리스도의 일인 게시물 표시

불가능함은 기회입니다. (6)

불가능해 보이는 인간(부부) 관계, 어떻게 해야 하는 것일까요? 믿음이란 ... (1) 바랄 수 없는 것을 바라게 합니다. (2) 볼 수 없는 것을 보게 합니다. (3) 할 수 없는 것을 하게 합니다. https://youtu.be/LwfJR3i5w48?si=DeFjUqZG3WtAIYGA

에바브로디도와 같은 사람을 존경하십시오.

에바브로디도와 같은 사람을 존경하십시오.  에바브로디도처럼 자기가 병든 것을 여러분이 알게 되었다고 걱정하는 사람 , 여러분 모두를 그리워하고 있는 사람 , 여러분이 그를 다시 보게 되면 기뻐할 사람 , 멀리 있는 여러분을 대신해서 나를 도우려고 위험을 무릅쓰고 그리스도의 일을 하다가 죽을 뻔하기까지 한 사람 , 그런 사람을 여러분은 주님 안에서 기쁨으로 맞아들이고 또 그와 같은 사람들을 존경하십시오 ( 빌립보서 2:25-30, 현대인의 성경 ).

존귀히 여겨야 할 사람들

존귀히 여겨야 할 사람들 이와 같은 자들을 존귀히 여겨야 합니다 .   그리스도의 일을 위하여 죽기에 이르러도  자기 목숨을 돌보지 아니하는  에바브로디도와 같은 사람들 ...   ( 빌립보서 2:25-30)

“그리스도의 일을 위하여 죽기에 이르러도 …” (빌립보서 2장 25-30절)

  “ 그리스도의 일을 위하여 죽기에 이르러도  …”     [ 빌립보서  2 장  25-30 절 말씀 묵상 ]   토니 캠폴로 ( Tony Campolo ) 는 노인문제를 연구한 결과를 발표한 바 있습니다 ( 인터넷 ). 95 세 이상이 된 노인  50 명을 상대로 설문조사를 했는데  < 당신들에게 이제 다시 삶이 주어진다면 어떻게 살아가고 싶습니까 ?> 라는 설문이었습니다 .  3 가지씩 답을 하라고 했습니다 .   이에 대한  3 가지 답은 아래와 같았습니다 : (1)  첫째 ,  날마다 반성하는 삶을 살겠다였습니다 ( They would reflect more ).   그동안 정신없이 살아서 왜 사는 지도 생각 못하고 살았다 .   좀 더 정신 차려 살겠다 .  (2)  둘째 ,  너무 비겁하게 살았다는 것입니다 ( They would risk more ).   불의와 타협하며 살고 남의 눈치나 보고 살았다 .   이제부터는 좀 더 용감하게 살고 싶다 .  (3)  셋째 내가 죽은 후에도 계속될 일들을 더 많이 하겠다 ( They would do more things that would live on after they were dead ).   죽음을 생각하고 살고 싶다 .   죽은 후에 나는 어떻게 되는가 .   무엇을 남길 것인가 후회스럽다 .   내가 생각 없이 산 것이 후회스럽다고 공통적으로 고백하고 있다 ( 인터넷 ).   우리는 이미 빌립보서  2 장  19-24 절 말씀 중심으로 사도 바울이 빌립보 교회에게 속히 보내기를 원했던 그의 영적 아들이요 믿음의 신실한 아들인 디모데에 대해서 묵상했었습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