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라벨이 요나 1:2-3인 게시물 표시

바울의 마지막 문안 인사 (5): 두기고와 같은 사람이 되십시다.

  "' 내 사정을 알아주는 사람 '은 상대방의 상황과 어려움을 깊이 이해하고 공감해 주는 사람을 의미하며, 이는 신뢰 관계 형성의 핵심입니다. 이런 사람은 자신의 처지를 이해해 줄 뿐만 아니라, 어려움을 함께 겪었거나 비슷한 상황에 놓여 있는 사람일 수 있습니다.    사정을 알아주는 사람이 되는 방법 공감 능력: 상대방의 감정과 상황을 이해하려고 노력합니다. 적극적인 경청: 상대방의 말을 주의 깊게 듣고, 판단하지 않고 그들의 이야기를 진지하게 들어줍니다. 이해와 지지: 상대방의 상황에 대해 비난하거나 섣불리 조언하기보다, 이해와 지지를 보내줍니다. 역할: 상대방의 사정을 아는 사람은 어려움을 겪는 상대방에게 위로와 힘이 되어 줄 수 있습니다"(인터넷). https://youtu.be/tQmBXXqFIoQ?si=FfibWuV9aIMtCRHP

'혼자'가 "함께" 보다 나을 때가 있습니다.

'혼자'가 "함께" 보다 나을 때가 있습니다. 요나 선지자는  하나님의 명령에 순종하여  ' 혼자 ' 나느웨로 가기보다  불순종의 길을 선택하여  불신자들과 " 함께 " 다시스로 가려고 했습니다 ( 요나 1:2-3). 주님과 함께 순종의 길을 걸어가는 것이  세상 사람들과 함께 불순종의 길을 걸어가는 것보다  훨씬 낫습니다 .

불순종을 합리화시키다?

불순종을 합리화시키다? 하나님의 명령에 불순종하고 있었던 요나 선지자가  일어나 다시스로 도망하려 하여  욥바로 내려갔을 때  " 마침 다시스로 가는 배를 만났다 " 는 것은 ( 요나 1:2-3)  충분히 자기의 불순종의 행동을  ' 하나님의 뜻이다 ' 라고까지 합리화시킬 수도  있었지 않았을까 생각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