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라벨이 은혜 의식인 게시물 표시

부부 관계

부부 관계를 잘 유지하기 위해선 남편과 아내가 서로 싫어하는 것을 하지 말아야겠지만 부부 관계가 잘 성장하기 위해선 배우자가 좋아하는 것을 내가 싫어해도 하는 것입니다.

사고의 전환점?

사고의 전환점?  우리에게는 사고의 전환점이 필요합니다 .   그 사고의 전환점이란  더 이상 내가 하나님을 위해서 무엇인가를 해야 한다고 생각하기 보다 ( 공로의식 )  하나님께서 나를 위해 무엇을 하셨고 ,  지금 하고 계시며 ,  앞으로 하실 것인지를 생각하는 것입니다 ( 은혜의식 ).   ( 유진 피터슨의 " 물통새에 불이 붙듯 " 을 읽으면서 )

더욱더 깊고 큰 은혜 의식을 가지고 신앙생활을 하고 싶습니다.

더욱더 깊고 큰 은혜 의식을 가지고 신앙생활을 하고 싶습니다. 과거에 하나님께 범한 죄가 얼마나 큰 죄인지  하나님께 가까이 나아갈 수록 깨닫게 될 때  우리는 더욱더 깊고 큰 은혜 의식을 가지고  겸손히 신앙생활을 할 수 밖에 없을 것입니다 ( 마치 사도 바울처럼 죄인 중에 괴수라는 자백속에  ' 나의 나된 것이 하나님의 은혜입니다 ' 라고 고백한 것처럼 ;  고 한경직 목사님이 일제시대 때 신사참배한 죄를 크게 여기시면서  하나님의 은혜 의식이 크셨던 것처럼 ).   그리할 때 우리는 교만할 수가 없으며 욕심을 낼 수가 없을 것입니다 .

우리는 항상 하나님의 은혜 가운데 있어야 합니다.

우리는 항상 하나님의 은혜 가운데 있어야 합니다. 예수님을 따르는 예수님의 제자들인 우리는 항상 하나님의 은혜 가운데 있어야 합니다 ( 사도행전 13:43).   그러므로 우리는 은혜 의식이 강해야 합니다 ( 공로 의식을 배척해야 함 ).    그리고 우리는 하나님의 은혜로 많이 수고해야 합니다 ( 고린도전서 15:10).    예수님의 제자들인 우리는 부지런히 하나님의 말씀을 들으며 배워야 합니다 ( 사도행전 13:43-44; 예레미야 12:16).  

진정한 권위

진정한 권위  “늘 자신이 하나님께 복음을 위임받았다는 자각으로 ,  사람의 마음을 감찰하시는 하나님만 기쁘시게 하겠다는 마음으로  하나님의 뜻을 두려움과 떨림으로 받들 때 ,  또한 인간과 타협하지 않고 자기 탐심을 부정하며  진리를 왜곡하지 않고 솔직하고 용기 있게 선포할 때  비로소 진정한 영적 권위가 있게 됩니다 .  …     근본적으로 바울의 진정한 권위는  복음 선포자로서의 자기 이해에서 나오는 것입니다” ( 김세윤 ).   저와 같은 목사의 진정한 권위는 복음 선포자로서의 자기 이해에서 나와야 합니다 .    다시 말하면 , 나 같은 죄인이 하나님의 은혜로 구원 받았을 뿐만 아니라 하나님의 은혜로 부르심을 받아 목사가 되었다는 은혜 의식으로 인해 교회 안에서 목사로서 주어진 권세를 행사하기를 거부하기까지 그리스도의 복음에 아무 장애가 없게하는 삶을 사는 것입니다 .   그리할 때 우리 목사의 진정한 권위가 세워지는 것입니다 .   우리 부모의 권위도 마찬가지라 생각합니다 .    부모의 진정한 권위는 우리 자녀들에게 부모의 권세를 주장하며 내세우는 것이 아니라 그리스도의 복음을 위하여 그들에게 장애가 없게 하기 위해서 부모로서의 권리를 쓰지 않고 모든 일에 참는 것입니다 .   특히 저 같은 목사들은 주님께서 맡겨주신 양 떼들에게 복음을 전함에 있어서 아무 장애가 없도록 목사로서의 권위 ( 권리 ) 를 쓰지 않고 범사에 오래 참아야 합니다 .   저는 고린도전서 9 장 12 절 말...

공로의식 vs. 은혜의식

공로의식을 경계해야 합니다. 내가 무엇인가 주님을 위해서, 교회를 위해서, 이웃을 위해선 행했다는 행함을 우리 머리 속에 기록해 놓는 것을 경계해야 합니다. 오히려 우리는 은혜의식이 충만해야 합니다. 주님께서 나를 위하여 행하신 일을 심비에 깊이 기록해 놓아야 합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사도 바울처럼 '나의 나된 것은 하나님의 은혜입니다'(고전15:10)라고 고백하면서 더욱더 그 은혜의 힘으로 수고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