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라벨이 죄 용서인 게시물 표시

부부 사랑 (8)

  부부 사랑은 함께 웃는 것입니다.

고통 중에 있는 이웃들을 위로하고 격려해야 합니다.

고통   중에   있는   이웃들을   위로하고   격려해야   합니다 . 우리는 고통 중에 있는 이웃들을 위로하고 격려해야 합니다 .   주님께서 그들의 고통의 날들을 끝내주시길 기원합니다 .   특히 자기들의 죄에 비해 갑절이나 무거운 형벌을 받는 이웃들에게 주님께서 그들의 죄가 용서되었다고 말씀해 주시길 기원합니다 ( 참고 : 이사야 40:2, 현대인의 성경 ).

수없이 자신의 노여움을 억제하시고 그 노를 다 발하지 않으십니다.

수없이 자신의 노여움을 억제하시고 그 노를 다 발하지 않으십니다 .    우리의 마음이 하나님께 한결같지 않고 우리가 하나님과 맺은 언약에 충실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하나님은 긍휼하시므로 우리의 죄를 용서하시고 수없이 자신의 노여움을 억제하시고 그 노를 다 발하지 않으십니다 .   그 이유는 하나님은 우리가 한번 지나가면 다시 돌아오지 못하는 바람에 불과한 존재임을 기억하시기 때문입니다 ( 참고 : 시편 78:37-39, 현대인의 성경 ).

하나님은 우리 죄를 드러내십니다.

하나님은 우리 죄를 드러내십니다 .    하나님은 우리 죄를 드러내십니다 .   우리가 무슨 변명을 하며 어떻게 우리의 무죄를 입증할 수 있겠습니까 ?( 창세기 44:16, 현대인의 성경 )   오직 하나님의 아들이신 예수 그리스도께서 피 흘린 대가로 우리가 자유를 얻고 죄 용서받았습니다 ( 골로새서 1:14, 현대인의 성경 ).

많이 깨달음, 많이 용서, 많이 사랑

많이 깨달음, 많이 용서, 많이 사랑     나의 많은 죄가 용서를 받았다는 사실을  많이 깨달아 가는 그리스도인은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의 사랑으로  나에게 죄를 지은 사람을 많이 용서하므로  주님을 많이 사랑하지만 ,  나의 많은 죄가 용서 받았다는 사실을  적게 깨달아 가는 그리스도인은  나에게 죄 지은 사람을 적게 용서하므로  주님을 적게 사랑합니다 ( 누가복음 7:47, 현대인의 성경 ).

하나님은 우리를 ...

하나님은 우리를 ... 하나님은 우리를 지명하여 부르셨습니다 ( 사 43:1). 하나님은 우리에게 " 너는 내 것이라 " 고 말씀하셨습니다 (1 절 ). 하나님은 우리를 구속하셨습니다 ( 사 43:1; 44:22, 23). 하나님은 우리의 허물과 죄를 없이 하셨습니다 (44:22). 하나님은 우리 중에 자기의 영광을 나타내실 것입니다 (23 절 ).

주님의 인자와 긍휼 따라

주님의 인자와 긍휼 따라  우리에게 죄 지은 사람의 죄를  용서하며  덮어주며  지워주며  기억지 아니하는 것은  주님의 인자와 긍휼 따라  그 사람에게 은혜를 베푸는 것입니다 ( 시편 51:1).

죄 용서와 죄의 결과

죄 용서와 죄의 결과     죄 용서 (forgiveness of sin) 와 죄의 결과 (consequence of sin) 는 별개라는 생각이 든다 .   다윗은 하나님께 범죄한 후 나단 선지자의 면책을 듣고 자기의 죄를 자백하고 회개하셨다 .  그래서 죄를 용서받았다 .   그러나 그가 범한 죄의 결과로 밧세바와의 첫째 아기도 죽고 다윗의 집 안에 강간 , 살인 사건 , 구데타 사건 등등 무서운 죄의 결과를 다윗은 겪었어야 했다 .   다윗이 죽기 전에 솔로몬에게 말한 것 중에 베냐민 사람 시므이에 대해서 말하면서 다윗은 그를 용서는 했지만 " 저를 무죄한 자로 여기지 말 " 라고 말하였다 ( 왕상 2:8-9).  압살롬에게 도망가면서 시므이가 다윗에게 저주하고 돌 던지고 했던 것 , 나중에 압살론이 죽고 다시 예루살렘으로 돌아올 때에 시므이가 나와 다윗을 영접했을 때에 다윗은 그를 용서했는데 다윗은 자기가 죽기 전에 아들 솔로몬에게 말하는 것을 보면 결국 죄 용서와 죄의 결과를 별개라는 생각을 들게한다 .   예수님의 십자가를 생각하면 좀 더 분명해 진다 . 마치 다윗이 범죄한 후 죄를 회개하므로 죄 용서는 받았지만 죄의 결과 중 하나인 밧세바와의 첫 아기가 죽었던 것처럼  하나님께서는 예수님의 십자가의 죽으심으로 우리의 죄를 용서하는 하셨지만 그 죄의 결과는 독생자 예수님의 죽음이였던 것이다 .   그렇다면 우리가 우리의 죄를 회개하여 하나님께 용서받는 것도 중요하지만 우리의 죄의 결과를 다윗처럼 겸손히 받는 것도 매우 중요하다는 생각이 든다 .  그러므로 말미암아 다시는 똑 같은 죄를 범하지 않는 철저한 회개의 합당한 삶을 하나님 앞에서 살아드려야 하지 않나 생각한다 .       하나님의 마음에 합하였던 다윗처럼 철저한 회개의 합당한 삶을 살기를 소원하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