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라벨이 마라인 게시물 표시

부부 관계

부부 관계를 잘 유지하기 위해선 남편과 아내가 서로 싫어하는 것을 하지 말아야겠지만 부부 관계가 잘 성장하기 위해선 배우자가 좋아하는 것을 내가 싫어해도 하는 것입니다.

계산적으로 생각하면 얻은 사람보다 잃은 사람들이 더 많고 더 크다고 생각할 것입니다.

계산적으로 생각하면 얻은 사람보다 잃은 사람들이 더 많고 더 크다고 생각할 것입니다 .      나오미 ( 뜻 : " 나의 즐거움 ") 가 며느리 룻과 함께 고향 베들레헴으로 돌아와서 그 곳 여자들에게 " 나를 나오미라 부르지 말고 ' 마라 '( 뜻 : " 쓰다 ") 라고 불러 주시오 " 라고 말했습니다 .   그 이유는 " 이것은 전능하신 하나님이 나에게 괴로운 시련을 많이 주셨기 때문입니다 .   내가 이 곳을 떠날 때는 가진 것이 많았으나 여호와께서는 나를 빈손으로 돌아오게 하셨습니다 .   여호와께서 나를 버리시고 나에게 괴로움을 주셨으니 어떻게 당신들이 나를 나오미라고 부를 수 있겠습니까 ?" 였습니다 ( 룻기 1:19-21, 현대인의 성경 ).   유다 땅에 " 흉년 " 으로 인해 고향을 떠나 모압 땅에 가서 살기로 한 결정 (1-2 절 ) 의 결과가 결국 떠날 때 가지고 있었던 많은 것을 다 잃어버리고 빈손으로 다시 고향으로 돌아오는 것이었습니다 .   그 결과 나오미는 하나님께서 자기를 버리시고 자기에게 괴로움을 주셨다고 생각했습니다 .   그러나 나오미는 많은 것을 잃었지만 ( 심지어 자신의 남편과 두 아들도 ) 이방 여인 룻이라는 며느리 한 사람을 얻었습니다 .   계산적으로 생각하면 얻은 사람보다 잃은 사람들이 더 많고 더 크다고 생각할 것입니다 .   그러나 믿음의 눈으로 보면 룻이란 한 여인이 보아스와 재혼해서 다윗왕을 낳은 이새의 아버지 오벳을 낳습니다 (4:17, 현대인의 성경 ).   그리고 다윗왕을 통해 메시야 이신 예수님이 오셨습니다 ( 마태복음 1:1-16, 특히 5-6 절 ).

인생의 쓴맛을 본 여인 ...

인생의 쓴맛을 본 여인 ... 인생의 쓴맛을 본 여인 나오미 ,  그녀는 소망이 없었습니다 ( 룻 1:12).   그녀는 모압 지방에 가서 거류하다가  남편만 죽은게 아니라 그녀의 두 아들도 죽었습니다 (1, 3, 5 절 ).   그녀는 늙어서 남편을 둘 수가 없었습니다 (12 절 ).   그 말은 또 다시 아들들을 낳을 수가 없었다는 말입니다 (12 절 ).   그녀는 " 여호와의 손이 나를 치셨 " 다고 생각했습니다 (13 절 ).   그녀는 " 전능자가 나를 심히 괴롭게 하셨 " 다고 생각했습니다 (20 절 ).  그녀는 유다 베들레헴 (1 절 ) 에서 " 풍족하게 " 살다가 (21 절 ) " 흉년 " 이 들므로 모압 지방으로 이사갔다가 (1 절 ) " 여호와께서 내게 비어 " 다시 유다 베들레헴으로 돌아오게 하셨다고 말했습니다 (21 절 ).   그녀는 " 여호와께서 나를 징벌하셨고 전능자가 나를 괴롭게 하셨 " 다고 믿었습니다 (21 절 ).   그래서 나오미는 자기를 " 나오미 " 라 더 이상 부르지 말고  " 나를 마라라 부르라 " 고 말했습니다 (20 절 ). [" 나오미 " 의 뜻은 " 나의 즐거움 ", " 마라 " 의 뜻은 " " 쓰다 " 또는 " 괴로움 " 임 ].

왜 나오미는 그리도 괴로웠을까요?

왜 나오미는 그리도 괴로웠을까요?  성경 룻기서에 나오는 나오미가  자기 고향 유다 여인들에게  자기를 " 나오미 "( 뜻 : " 나의 즐거움 ") 라고 부르지 말고 " 마라 "( 뜻 : " 쓰다 ") 라고 불러달라 한 이유는  유다 베들레헴을 떠나기 전에 풍부했지만  모압 땅에서 다시 유다 베들레헴으로 돌아올 때에는  빈손이었기 때문 뿐만 아니라 ( 룻 1:20-21)  자기 남편과 두 아들이 죽었기 때문이겠지만 (3, 5 절 )  어쩌면 그 궁극적인 이유는 그녀는  자기 남편의 대를 이을 손자가 없어서  자기를 " 마라 " 라고 불러 달라고 한게 아닌가 생각합니다 .   그랬기에 " 여인들이 나오미에게 이르되  " 찬송할지로다 여호와께서 오늘 네게 기업 무를 자가 없게 하지 아니하셨도다 ... 이는 네 생명의 회복자이며 네 노년의 봉양자라 ..." 라고 말한 후 (4:14-15)  그 아기에게   " 오벳 " 아라고 이름을 지어주면서  " 나오미에게 아들이 태어났다 " 라고 말했다고 생각합니다 (17 절 )( 오벳은 그녀의 아들이 아니라 손자인데 말입니다 ).   그리고 나오미가 아기를 받아 품에 품고  그의 양육자가 됩니다 (16 절 ).

왜 나오미는 그리도 괴로웠을까?

성경 룻기서에 나오는 나오미가 자기 고향 유다 여인들에게 자기를 "나오미"(뜻: "나의 즐거움")라고 부르지 말고 "마라"(뜻: "쓰다")라고 불러달라 한 이유는 유다 베들레헴을 떠나기 전에 풍부했지만 모압 땅에서 다시 유다 베들레헴으로 돌아올 때에는 빈손이었기 때문 뿐만 아니라(룻1:20-21)  자기 남편과 두 아들이 죽었기 때문이겠지만(3, 5절)  어쩌면 그 궁극적인 이유는 그녀는 자기 남편의 대를 이을 손자가 없어서 자기를 "마라"라고 불러 달라고 한게 아닌가 생각합니다.  그랬기에 "여인들이 나오미에게 이르되 "찬송할지로다 여호와께서 오늘 네게 기업 무를 자가 없게 하지 아니하셨도다 ... 이는 네 생명의 회복자이며 네 노년의 봉양자라 ..."라고 말한 후(4:14-15) 그 아기에게 "오벳"아라고 이름을 지어주면서 "나오미에게 아들이 태어났다"라고 말했다고 생각합니다(17절)(오벳은 그녀의 아들이 아니라 손자인데 말입니다).  그리고 나오미가 아기를 받아 품에 품고 그의 양육자가 됩니다(16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