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바울의 3가지 마지막 권면 (11)

바울의 3 가지 마지막 권면 (11)       우리는 입술로만 아니라 생활로도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을 전해야 합니다 .   그러기 위해선 우리는 그리스도의 복음에 합당하게 생활해야 합니다 .     여기서 우리가 그리스도의 복음에 합당하게 생활한다는 말씀은 3 가지 의미가 있습니다 :   (1) 복음의 신앙을 위하여 한 마음 , 한 뜻으로 서서 서로 협력하는 것 ( 빌 1:27).   우리는 주님의 겸손한 마음으로 한 마음을 품고 서로 돕고 힘을 합쳐서 주님의 뜻을 이루어 드림에 있어서 같은 의지와 욕망으로 주님의 일을 해야 합니다 .     (2) 무슨 일에든지 대적하는 자들 때문에 두려워하지 아니하는 것 (28 절 ).   예수님과 그분의 복음 때문에 핍박을 받고 고난을 당하는 것은 우리에게는 구원받은 증거입니다 .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힘과 용기를 주시사 그 핍박과 고난을 견디며 이기게 하실 것입니다 .   그러므로 우리는 예수 그리 스도와 우리를 대적하는 자들을 두려워하지 말아야 합니다 .     우리는 이러한 두려운 상황에 처하게 되는 것을 두려워하기 보다 그 두려운 상황에 처하게 될지라도 그 상황을 극복해 나아갈 수 있는 믿음이 우리에게 없음을 두려워해야 합니다 .   (3) 그리스도를 위하여 믿음으로 고난을 받는 것 (29 절 ). 고난은 유익합니다 .     그 이유는 우리가 고난당하기 전에 그 릇행하였다가 고난을 통하여 우리가 주님의 말씀을 배우므로 그 말씀을 지키게 되기 때문입니다 ...

하나님의 법과 죄의 법 (로마서 7:21-23)

하나님의 법과 죄의 법

 

 

 

[로마서 7:21-23]

 

 

A.  ( 7:21-23) “그러므로 내가 한 법을 깨달았노니 곧 선을 행하기 원하는 나에게 악이 함께 있는 것이로다 내 속사람으로는 하나님의 법을 즐거워하되 내 지체 속에서 한 다른 법이 내 마음의 법과 싸워 내 지체 속에 있는 죄의 법으로 나를 사로잡는 것을 보는도다.”

1.    이 말씀을 보면 이라는 단어가 5번 나옴:

a.    한 법”(21), “하나님의 법”(22), “한 다른 법”(23), “내 마음의 법”(23), “죄의 법”(23).

(1)  5번 나오는 2개로 요약할 수가 있음:

(a)  죄의 법”(23): “한 법”(21), “한 다른 법”(23)

(b)  하나님의 법”(22): “내 마음의 법”(23)

(i)           그래서 하나님의 법과 죄의 법이란 제목 아래 오늘 본문 로마서 7 21-23절 말씀을 묵상하고자 함.

 

B.  우리가 하나님의 법과 죄의 법에 대해서 묵상하기 전에 오늘 본문 로마서 7 21-23절에서 말씀하고 있는 ”(21, 23)인 사도 바울에 대해서 먼저 생각해 보려고 함.

1.    우리가 이미 묵상했지만 오늘 본문에서 란 사도 바울을 가리키고 있지만 학자들은 3가지로 해석을 하고 있음:

a.    사도 바울이 예수님을 믿기(중생하기) 전이라고 해석.

b.    사도 바울이 예수님을 믿었지만 그가 그리스도 안에서 어린 아이였을 때라고 해석.

(1)  (고전 3:1-3) “형제들아 내가 신령한 자들을 대함과 같이 너희에게 말할 수 없어서 육신에 속한 자 곧 그리스도 안에서 어린 아이들을 대함과 같이 하노라 내가 너희를 젖으로 먹이고 밥으로 아니하였노니 이는 너희가 감당하지 못하였음이거니와 지금도 못하리라 너희는 아직도 육신에 속한 자로다 너희 가운데 시기와 분쟁이 있으니 어찌 육신에 속하여 사람을 따라 행함이 아니리요.”

(a)  그리스도 안에서 어린 아이와 같은 신앙인은 육신에 속한 자시기와 분쟁을 하는 사람임.

(2)  (벧전2:2) “갓난 아기들 같이 순전하고 신령한 젖을 사모하라 이는 그로 말미암아 너희로 구원에 이르도록 자라게 하려 함이라.”

(a)  그리스도 안에서 어린 아이와 같은 신앙인은 구원에 이르도록 자라나지 못한 신자임.

(3)  (5:12-14) “때가 오래 되었으므로 너희가 마땅히 선생이 되었을 터인데 너희가 다시 하나님의 말씀의 초보에 대하여 누구에게서 가르침을 받아야 할 처지이니 단단한 음식은 못 먹고 젖이나 먹어야 할 자가 되었도다 이는 젖을 먹는 자마다 어린 아이니 의의 말씀을 경험하지 못한 자요 단단한 음식은 장성한 자의 것이니 그들은 지각을 사용함으로 연단을 받아 선악을 분별하는 자들이니라.”

(a)  그리스도 안에서 어린 아이와 같은 신앙인은 하나님의 말씀의 초보에 대하여 누구에게서 가르침을 받아야 할 처지에 있는 사람이요, “의의 말씀을 경험하지 못한 자지각을 사용함으로 연단을 받지 못해 선악을 분별하지 못하는 자임.

c.    사도 바울이 신령한 자”(고전3:1) 또는 장성한 사람”(14:20; 5:14)이라는 해석.

(1)  (고전14:20) “형제들아 지혜에는 아이가 되지 말고 악에는 어린 아이가 되라 지혜에는 장성한 사람이 되라”[(현대인의 생각) “형제 여러분, 아이들처럼 생각하지 마십시오. 악에 대해서는 어린 아이가 되고 생각하는 일에는 어른이 되십시오”].

(2)  (5:14) “단단한 음식은 장성한 자의 것이니 그들은 지각을 사용함으로 연단을 받아 선악을 분별하는 자들이니라”[(현대인의 성경) “그러나 어른이 되면 단단한 음식도 먹게 됩니다. 성인은 지각을 사용하여 계속 훈련함으로써 선과 악을 분별합니다”].

(a)  우리는 오늘 본문 로마서 7 21-23절에서 를 세 번째 해석을 받아들임.  , “란 사도 바울은 신령한 자또는 장성한 사람이었을 때를 말씀함.

(i)           그래서 사도 바울은 고린도에서 로마서 편지를 썼는데 그가 고린도 교회 성도들에게 편지를 쓰면서 내가 그리스도를 본받는 자가 된 것 같이 너희는 나를 본받는 자가 되라고 말씀한 것임(고전11:1).

·         여기서 바울이 그리스도를 본받는 자가 되었다는 말씀은 그는 마음이 온유하고 겸손하신(11:29) 예수 그리스도이시요 세상에 있는 자기 사람들을 사랑하시되 끝까지 사랑하시사(13:1) 제자들의 발을 씻기신 예수 그리스도(3-14)를 본 받았다는 말씀임.

(ii)          이렇게 예수 그리스도를 본받고 있었던 사도 바울이 로마서 7장을 기록했다고 생각하는 또 다른 이유는 히브리서 5 14절 말씀처럼 사도 바울은 장성한 자로서 그의 지각을 사용함으로 연단을 받아 선악을 분별하는 자였기 때문.

·         그래서 그는 로마서 7장에서 내가 원하는 것”(15), 내가 원하는 바”(19) “선을 행하고 싶었지만(18) 자신이 선을 행하지 않고 도리어 미워하는 것”(15), 악을 행하는”(19절 자신의 모습을 인식하고 있었음.  , 사도 바울은 선악을 분별하는” “장성한 자였음(5:14).

 

C.  그래서 그는 오늘 본문 로마서 7 21절서 그러므로 내가 한 법을 깨달았노니 곧 선을 행하기 원하는 나에게 악이 함께 있는 것이로다고 말한 것임[(현대인의 성경) “여기서 나는 하나의 원리를 발견했는데 그것은 선한 일을 하려는 나에게 악이 함께 있다는 사실입니다”].

1.    여기서 사도 바울이 깨달은[혹은 발견한’(현대인의 성경)] “한 법이란 바로 내 지체 속에 있는 죄의 법(23).

a.    바울은 선을 행하기 원하는 자기에게 악이 함께 있는 것을 깨달았음(21).  그래서 그는 내가 원하는 바 선은 행하지 아니하고 도리어 원하지 아니하는 바 악을 행하는도다”[(현대인의 성경) “나는 내가 바라는 선한 일은 하지 않고 원치 않는 악한 일을 하고 있습니다”]라고 말한 것임(19).

(1)  그리고 바울은 만일 내가 원하지 아니하는 그것을 하면 이를 행하는 자는 내가 아니요 내 속에 거하는 죄니라”[(현대인의 성경) “만일 내가 원치 않는 것을 한다면 그렇게 하는 것은 내가 아니라 내 속에 있는 죄입니다”]라고 말한 것임(20).

 

2.    이렇게 악을 행하게 하는 내 지체 속에 있는 죄의 법”(23)내 마음의 법”(23)하나님의 법”(22)과 싸우고 있는 것임(23).

a.    , 사도 바울은 내 속사람”(중생한 사람, 새 사람)으로는 하나님의 법을 즐거하(22) 선을 행하고 싶어하지만(19) “내 지체 속에서 한 다른 법”(23)죄의 법나를 사로잡(23) 바울로 하여금 그가 원치 않고(16) 오히려 미워하는(15) 악을 행하게(19) 만들고 있다는 것임.

(1)  중생한 사람이요 새 사람인 내 속사람오직 여호와의 율법을 즐거워하여 그의 율법을 주야로 묵상하는”(1:2) “복 있는 사람”(1)이지만 내 지체 속에서 한 다른 법죄의 법(7:23) 하나님의 율법을 미워하고 그 율법의 불순종하는 것을 즐거워하여 악을 행하기를 즐거워함.

(a)  그래서 사도 바울은 내 지체 속에 있는 죄의 법으로 나를 사로잡는 것을 보는도다”(23)라고 말한 것임.  , 그는 자신이 죄의 법에 노예가 되는 것을 보았던 것임.

(i)           이렇게 장성한(성숙한) 사도 바울도 죄의 법의 노예가 되는 것을 보았기에 그는 오호라 나는 곤고한 사람이로다 이 사망의 몸에서 누가 나를 건져내랴”(24)고 탄식을 했던 것임.

 

D.  주님께서 이 세상에 다시 오실(재림) 때까지 하나님의 법”(7:22)죄의 법”(23)은 계속해서 싸울 것임. 

1.    우리는 죽을 때까지 우리가 즐거워하는 하나님의 법과 우리가 미워하는 죄의 법과 계속해서 싸워야 함.

a.    이 영적 싸움에서 승리할 수 있는 비결은 오직 성령님이심.

(1)  (8:2) “이는 그리스도 예수 안에 있는 생명의 성령의 법이 죄와 사망의 법에서 너를 해방하였음이라”[(현대인의 성경) “이것은 그리스도 예수님을 통해서 생명을 주시는 성령님의 능력이 죄와 죽음의 굴레에서 여러분을 해방시켜 주셨기 때문입니다”].

(a)  오직 성령님의 능력”(2, 현대인의 성경)으로만이 하나님의 법죄의 법과의 싸움에서 승리하여 우리가 마음으로 즐거워하는 하나님의 법에 순종하여 선을 행하면서 살아갈 수가 있음.

(i)           우리 모두 성령 충만하여 날마다, 순간마다 성령님의 능력으로 우리 지체 속에 있는 죄의 법과 싸워 승리하여 하나님의 법대로 살아가는 저와 여러분이 되길 기원함.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