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천국 시민이요 미국 시민인 "동전 목사님"의 책임?

천국 시민이요 미국 시민인 "동전 목사님"의 책임?       악한 포도원 농부 비유가 자기들을 가리켜 한 말인 줄 알고 예수님을 잡으려고 했으나 군중들이 두려워 예수님을 잡지 못하고 그냥 가 버렸던 대제사장들과 율법학자들 ( 서기관들 ) 과 장로들은 어떻게 해서든지 구실을 붙여 예수님을 잡으려고 바리새파 사람들과 헤롯 당원 중 몇 사람을 예수님께 보내 이렇게 물어보게 하였습니다 : “선생님 , 우리가 알기에 선생님은 진실하셔서 사람의 겉모양을 보지 않으시고 진리대로 하나님의 교훈을 가르치시기 때문에 누구에게도 거리낌이 없으십니다 .   그런데 로마황제에게 세금을 바치는 것이 옳습니까 , 옳지 않습니까 ?   우리가 바쳐야 합니까 , 바치지 말아야 합니까 ? ”   그러나 예수님은 그들의 위선을 아시고 “왜 나를 시험하느냐 ?   데나리온 하나를 가져와 내게 보여라”하고 말씀하셨습니다 .   그들이 그것을 가져오자 예수님은 “이 초상과 글이 누구의 것이냐 ? ”하고 물으셨습니다 .   그들이 “황제의 것입니다”하고 대답하자 예수님이 “황제의 것은 황제에게 , 하나님의 것은 하나님께 바쳐라”하고 말씀하셨습니다 .   그래서 그들은 예수님의 말씀을 듣고 말문이 막혀 버렸습니다 ( 마가복음 12:12-17, 현대인의 성경 ).   저는 이 말씀을 마태복음 22 장 15-22 절과 누가복음 20 장 19-26 절 현대인의 성경 말씀과 연관해서 묵상할 때 오늘은 예수님께서 “데나리온 하나를 가져와 내게 보여라” [“ 세금으로 바치는 돈을 내게 보여라 ”( 마태복음 22:19, 현대인의 성경 )] 하고 말씀하시자 바리새파 사...

우리의 약점을 책잡아 공격하려고 호심탐탐 기회를 노리고 있는 악한 사람들

우리의 약점을 책잡아 공격하려고 

호심탐탐 기회를 노리고 있는 악한 사람들

 

 

 

악한 포도원 농부 비유가 자기들을 가리켜 말인 알고 예수님을 잡으려고 했으나 군중들이 두려워 예수님을 잡지 못하고 그냥 버렸던 대제사장들과 율법학자들(서기관들) 장로들은 어떻게 해서든지 구실을 붙여 예수님을 잡으려고 바리새파 사람들과 헤롯 당원 사람을 예수님께 보내 이렇게 물어보게 하였습니다: “선생님, 우리가 알기에 선생님은 진실하셔서 사람의 겉모양을 보지 않으시고 진리대로 하나님의 교훈을 가르치시기 때문에 누구에게도 거리낌이 없으십니다.  그런데 로마황제에게 세금을 바치는 것이 옳습니까, 옳지 않습니까?  우리가 바쳐야 합니까, 바치지 말아야 합니까?”(마가복음12:12-14, 현대인의 성경).  저는 말씀을 마태복음 22 15-17절과 누가복음 20 19-22 현대인의 성경 말씀과 연관해서 묵상할 가지를 생각하게 됩니다:

 

(1)   적어도 대제사장들과 율법학자들(서기관들) 장로들은 예수님께서 악한 포도원 농부 비유를 말씀하셨을 악한 농부들이 자기들을 가리켜 하신 말씀이라는 것을 알았다는 것은 그들의 마음에 찔림이 있었다고 생각합니다. 

 

(a)   그런데 문제는 그들의 마음에 찔림이 그들로하여금 회개케하기보다(참고: 사도행전2:37-38) 오히려 예수님을 잡아 죽이려고 했다는 것입니다(참고: 7:54, 57-58).  

 

(2)   그래서 그들은 어떻게 해서든지 구실을 붙여 예수님을 잡으려고했습니다(마가복음12:13, 현대인의 성경).  마태복음은 어떻게 하면 말로 예수님을 함정에 빠뜨릴 있을까 하고 의논하였다(마태복음22:15, 현대인의 성경) 말씀하고 있고, 누가복음은 그들은 예수님을 세심하게 지켜보다가 첩자들을 냈다(누가복음20:20, 현대인의 성경) 말씀하고 있습니다.

 

(a)   마가복음 12 13 현대인의 성경 말씀에 구실을 붙여라는 말씀은 개역개정은 책잡으려 하여라고 말씀하였는데 말은 덫을 가지고 짐승을 사로잡는 것을 설명할 사용하는 로서(호크마) 마태복음 22 15 현대인의 성경은 함정에 빠뜨리려고 하였다는 말씀은 개역개정은 올무에 걸리게하려고 하였다고 말씀하고 있는데 말씀도 본래 사냥에 사용되는 말로서 대상에 대해 주도 면밀하게 함정이나 덫을 설치하는 것을 말합니다(호크마).  누가복음 20 20 현대인의 성경 말씀에 세심이 지켜보다가 말씀은 개역개정은 엿보다가라고 말씀하였는데 말씀은 주의깊게 몰래 지켜보는 것을 뜻하며 문맥상으로 예수님의 약점을 책잡아 공격하려고 호심탐탐 기회를 노리고 있다라는 뜻입니다(호크마).

 

(i)                  말씀들의 의미들을 생각할 대제사장들과 율법학자들(서기관들) 장로들은 예수님을 잡으려고 주도 면밀하게 함정() 설치하여 주의깊게 몰래 예수님을 지켜보면서 예수님의 약점을 책잡아 공격하려고 호심탐탐 기회를 노리고 있었다는 것을 우리는 수가 있습니다.

 

·         저는 말씀들의 의미들을 생각할 창세기 4 7 말씀이 생각났습니다: “네가 선을 행하면 어찌 낯을 들지 못하겠느냐 선을 행치 아니하면 죄가 문에 엎드리느니라 죄의 소원은 네게 있으나 너는 죄를 다스릴지니라.”  여기서 죄가 문에 엎드리느니라 말씀은 영어로 “sin is crouching at the door”인데 저는 영어 성경 말씀을 묵상할 오래전 중국 무협 영화인 와호장룡이란 영화 제목이 생각납니다.  이유는 영화 제목이 영어로는 “Crouching Tiger”이기 때문입니다.  영어 영화 제목의 "crouching"이란 단어는 마치 호랑이가 우리를 잡아먹으려고 날카로운 손톱을 지켜 세우고 문에 엎드려 있는 모습을 상상하게 만듭니다.  이와같이 죄가 우리를 삼키려고 우리 마음의 문에 항상 엎드려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것은 죄의 무서움 혹은 죄의 강력한 소원/원함(desire)입니다.  사실 성경은 "죄의 소원"(its desire is for you) 우리에게 있다고 말씀하고 있습니다(4:7).

 

-          마치 호랑이처럼 우리로 하여금 죄를 짖게 만들고자 강하게 역사하는 죄의 강력한 소원을 우리는 다스려야 한다는 것입니다.  이것에 어떻게 가능할까요? 

 

n  요한계시록 3 20 말씀이생각납니다: "볼지어다 내가 문밖에 서서 두드리노니 누구든지 음성을 듣고 문을 열면 내가 그에게로 들어가 그로 더불어 먹고 그는 나로 더불어 먹으리라."  예수님을 마음에 모시고 주님과 친밀한 교제를 지속적으로 나눌 때에 죄를 다스릴 있다는 말씀입니다. 

 

n  한가지는 창세기 47절에서 "선을 행치 아니하면"이란 말씀입니다.  악을 이길 있는 방법은 오직 선을 행하므로입니다.  그래서 사도 바울은 로마서 1221절에서 "악에게 지지 말고 선으로 악을 이기라" 말씀하였던 것입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