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바울의 3가지 마지막 권면 (11)

바울의 3 가지 마지막 권면 (11)       우리는 입술로만 아니라 생활로도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을 전해야 합니다 .   그러기 위해선 우리는 그리스도의 복음에 합당하게 생활해야 합니다 .     여기서 우리가 그리스도의 복음에 합당하게 생활한다는 말씀은 3 가지 의미가 있습니다 :   (1) 복음의 신앙을 위하여 한 마음 , 한 뜻으로 서서 서로 협력하는 것 ( 빌 1:27).   우리는 주님의 겸손한 마음으로 한 마음을 품고 서로 돕고 힘을 합쳐서 주님의 뜻을 이루어 드림에 있어서 같은 의지와 욕망으로 주님의 일을 해야 합니다 .     (2) 무슨 일에든지 대적하는 자들 때문에 두려워하지 아니하는 것 (28 절 ).   예수님과 그분의 복음 때문에 핍박을 받고 고난을 당하는 것은 우리에게는 구원받은 증거입니다 .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힘과 용기를 주시사 그 핍박과 고난을 견디며 이기게 하실 것입니다 .   그러므로 우리는 예수 그리 스도와 우리를 대적하는 자들을 두려워하지 말아야 합니다 .     우리는 이러한 두려운 상황에 처하게 되는 것을 두려워하기 보다 그 두려운 상황에 처하게 될지라도 그 상황을 극복해 나아갈 수 있는 믿음이 우리에게 없음을 두려워해야 합니다 .   (3) 그리스도를 위하여 믿음으로 고난을 받는 것 (29 절 ). 고난은 유익합니다 .     그 이유는 우리가 고난당하기 전에 그 릇행하였다가 고난을 통하여 우리가 주님의 말씀을 배우므로 그 말씀을 지키게 되기 때문입니다 ...

거짓 자아 vs. 참 자아

 

"남들이 나를 어떻게 생각하고 어떻게 말할지 여전히 의식하며 긍정적 반응을 얻어내는 쪽으로 행동하려 하는 한 우리는 아직도 우리가 살아가는 어두운 세상의 옥에 갇힌 피해자이다.  그 어두운 세상에서 우리 의 가치는 주위 사람들에 의해 결정된다 ... .  그 세상의 수중에 사로잡혀 있는 한 우리는 어둠 속에 사는 것이다.  자신의 참 자아를 모르기 때문이다.  우리는 자신이 그토록 갈망하는 사랑을 더 많은 성공과 칭 찬과 만족을 통해 얻을 수 있을지 모른다는 희망 속에 자신의 거짓 자아에 매달리게 된다.  그것이야말로 원한과 탐욕과 폭력과 전쟁을 낳는 옥토이다."     (헨리 나우웬, "꼭 필요한 것 한가지 기도의삶"에서).

-----------------

       거짓 자아에 대한 나우웬의 이 짧은 문구는 저로 하여금 자신을 더 깊이 살펴보게 만들고 있습니 다.  이 자아성찰이 힘든 것은 제 자신의 어두운 면즉 잘못된 가치관을 들쳐내야 하기 때문입니다그 러기 때문에 제 자신보다 다른 사람 (예를 들어 제 아내나 주위 형제자매들)에게 위에 문구를 적용해 보려는 유혹이 없지 않아 있습니다.  그러한 가운데에서도 이렇게 마음을 정돈하면서 글을 써 내려가므 로서 제 자신의 어두운 면을 빛 되신 예수님 앞에 인정하며 고백하는 가운데 참 자아를 발견하길 원하는 것입니다.

       '남들이 나를 어떻게 생각하는가?'란 질문은 의식적으로 혹은 무의식적으로 수 없이 자신에게 던지는 질문이 아닌가 생각됩니다.  이것은 우리 인간의 본능이라 생각합니다.  사람 앞에서가 아니라 하나님 앞에서 살아야 한다는 진리를 알면서도 사람의 눈을 의식하면서 혹은 두려워 하면서 살아 갈 때가 없지 않아 있는 것을 부인할 수 없습니다.   사람들의 반응에 제 마음이 더욱더 민감해 져 가고 있을 때에는 저도 모르는 사이에 그들로 하여금 긍정적인 반응을 얻어내고자 노력하는 제 모습을 발견하게 될 때도 있는 것입니다.  이러한 현상은 하루 아침에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어느 한 과정 속에서 저도 모르게 귀와 마음에 익숙해 져 가므로 나타나는 현상이라고 생각합니다.  예를 들어 사람들이 저를 칭찬할 때에 그 칭찬에 감사를 표명하면서도 점점 제 귀가 그 칭찬을 좋아하므로 그러한 칭찬에 귀를 기울이게 되는 가운데 제 마음조차 빼껴서 그러한 칭찬을 기대하는 자신을 발견하게 될 때도 있는 것입니다.  물론 그저 인사차 칭찬하는 말들은 어느 정도 알고 그러려니 하고 넘어갈 수는 있지만 칭찬에 익숙해져 가다 보면 그러한 인사차 칭찬들조차도 좋아하게 되지 않나 생각합니다.  이것도 어느 면으로 보면 중독 현상이라 할 수 있지 않나 생각합니다.  언제가 어느 웹사이트에서 운영자가 방문객들에게 그들이 원하는 것들을 주려고 노력하므로서 많은 칭찬을 받고 싶어서 꼭 칭찬을 하고 가지고 갈 것을 자기 사이트에서 가지고 가라고 부탁한 글을 읽은 적이 기억이 납니다.  그 웹사이트 운영자는 '난 조회수를 올리고 싶습니다'라는 솔직한(?) 고백까지 한 기억이 납니다.  저 또한 서현교회 있으면서 QT나눔을 통하여 칭찬을 들은적이 있습니다.  조회수가 200을 넘는 글도 있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제가 쓴 QT를 읽었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거기에 익숙해져 있다가 이렇게 승리교회 웹사이트에 쓰는 QT 나눔의 글의 조회수가 적을 때에 마음에 갈등이 없지 않아 있는 것입니다.  한쪽으로는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마음으로 서현교회 청년들 웹싸이트에 올릴 때가 있지만 또 한쪽으로는 '왜 많은 사람들이 내 글을 읽지 않는가'라는 교만한 마음 가운데 자랑하고 싶은 유혹도 있는 것입니다.  스스로 자신에게 말하기를 'QT란 하나님 앞에서 영적 거울이 말씀으로 자신을 살펴보면서 하나님과 나와의 관계 가운데 친밀감을 도모하는 방법 중 하나라고 말하면서도 이렇게 사람을 의식하며 그들로부터 긍정적 반응을 얻어내고자 하는 유혹이 없지 않아 있는 것을 고백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행동을 하는 저를 가리켜 나우웬은 '어두운 세상이 옥에 갇힌 피해자'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아마 그래서인지 칭찬을 받지 못하던지 제가 익숙해져 있는 혹은 기대하는 반응이 없을 때에는 피해의식 아닌 피해의식을 가질 때가 있지 않나 생각합니다.  예를 들어 제 글을 읽는 조회수가 적을 때에 '왜 사람들은 읽지 않을까'하고 의문하면서 속 안의 불평이 겉으로 어떻게 해서는 많은 이들로 하여금 읽도록 해야 겠다고 노력하는 것입니다.  의문 가운데 불평은 저도 모르는 사이에 순간적인 생각에서도 나오는 것입니다.  물론 불평의 표현은 다양할 수 있지만 저에게 있어선 '낙심'이 아닌가 생각됩니다.  결국하나님 앞에서 시작했던 QT 나눔이 사람 앞에서로 저도 모르는 사이에 바뀌어 간 것을 늦게나마 깨달을 때도 있는 것입니다.  QT에 가치는 하나님과 저와의 관계 안에서 제 자신의 참된 모습을 알아가는 가운데 하나님의 하나님 되심을 인정하는 자리까지 나아가야 함에도 불구하고 사탄의 유혹은 제 자신의 참된 모습을 '포장'해서 다른 사람들에게 나아가게 만들 때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포장'은 사람들을 의식한 '포장'이요 또한 하나님 앞에서 순수하지 못한 동기와 잘못된 가치관을 가지고 쌓 '포장'인 것입니다.  이러한 '포장'들은 저로 하여금 "세상에 옥"에 가둡니다.  자신의 자아를 자꾸만 거짓되게 포장하다보면 제 자신의 참 자아가 무엇인지도 잊어버릴 때가 많지 않나 생각합니다.  더 무서운 것은 포장이 너무나 뚜꺼워서 제 자신의 거짓 자아가 하나님 앞에서까지 참 자아인지 착각하며 살아가는 면이 있지 않나 생각이 드는 것입니다.

       거짓 자아에 매달려 헛된 소망 혹은 희망을 충족시키고자 방황하는 자신의 모습을 직시하는 시간을 갖는 다는 것은 저 자신의 영혼을 살찌게 하며 제 마음에 희망을 품게 합니다.    더 나아가서 거짓 자아를 벗어 버리면서 하나님 앞에서 제 참 자아를 회복하는 이 일이야 말로 자유와 평강을 누리는 귀한 은혜가 아닐 수 없습니다.  이 은혜를 말씀 중심 적 기도 가운데 누릴 수 있다는 것은 우리 크리스천들의 축복이 아닐 수 없습니다.  우리의 영적 거울인 하나님의 말씀에 우리의 삶과 마음을 비춰보는 기도 가운데 우리의 거짓 자아가 들춰지면서 주님 안에서 우리에게 은혜로 주신 참 자아를 발견하게 될 때에 하나님의 사랑과 은혜에 감사하지 않을 수 없는 것입니다.  나우웬이 말했듯이 "기도란 그 음성나를 '사랑하는 자'라 부르시는 분의 음성을 듣는 것"이기에 우리는 기도 가운데 우리를 사랑하셔서 기쁨을 이기지 못하시는 하나님께서 우리를 존귀히 여기시는 귀한 존재임을 깨닫게 될 때에 우리는 감사감격하게 되는 것입니다.  그 자아는 사람들의 말을 의식하여 민감하게 반응하지 않습니다.  또한 그 자아는 사람들의 칭찬을 먹고 자라나지 않습니다.   그 자아는 피해의식도 없고 어둠 속에 살고 있지도 않습니다.  빛 되신 주님의 품안에서 건강한 자아로서 마음 것 주님이 사랑을 하나님과 사람에게 표현할 줄 아는 자아입니다.  숨기려고하지도 않고 위선적인 삶을 살려고 하지도 않고 그 모습 그대로 하나님과 사람에게 나아갈 수 있는 건강한 자아인 것입니다.  진정한 자유를 선포하며 살도록 하는 이 참 자아로 말미암아 오늘도 하나님께 감사찬양경배를 드립니다.

 


자아를 회복시켜 주시는 하나님의 은혜에 감사하는 마음으로,

제임스 목사 나눔
(2004
 316 하나님의 승리장로교회 목양실에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