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를 향하신 하나님의 뜻 (7)
[데살로니가전서 5장 16-22절 말씀 묵상]
마지막 다섯째로, 우리를 향하신 하나님의 뜻은 “범사에
헤아려 좋은 것을 취하고 악은 어떤 모양이라도 버리라”입니다.
오늘 본문 데살로니가전서 5장 21-22절을 보십시오: “범사에 헤아려 좋은 것을 취하고 악은 어떤 모양이라도 버리라.” 여러분, 우리는 건강에
관심을 가져야 합니다. 주님이 선물로 주신 몸입니다. 우리는 주님의 청지기로서 건강관리를 신실하게 해야 합니다. 그러기 위해선
먼저 우리는 우리 몸에 무엇이 유익(이익)이 되고 무엇이 해(손실)가 되는지를 구분해야 합니다. 그런 후 우리는 우리 몸에 해가 되는 것은 버리고 유익이 되는 것은 취해야 합니다. 마친 가지로, 우리는 우리 영적 건강에 지대한 관심을 가져야 합니다. 그리고 우리는 우리의 영적 건강관리를 신실하게 책임져야 합니다. 그러기
위해선 먼저 우리는 우리 영적 건강에 무엇이 유익이 되고 무엇이 해가 되는지를 구분해서 유익이 되는 것은 취하고 해가 되는 것은 배설물(쓰레기, 똥)로 여기고 버려야 합니다(빌립보서 3장 7-8절). 우리는 이 모든 것을 "그리스도를 위하여"(7절) 해야 합니다.
오늘 본문 데살로니가전서 5장 21-22절을 보면 사도 바울은 데살로니가 교회 성도들에게 "범사에 헤아려 좋은 것은
취하고 악은 어떤 모양이라도 버리라"고 권면했습니다. 이 권면대로 데살로니가 교회 성도들은 바울의 말씀처럼 환난 가운데서 좋은 것은 취하고 악은 모든 모양이라도 버리는 삶을 살았습니다. 그들은 환난 중에서도 하나님께서 주시는 좋은 것을 취하고 유혹하는 자의 유혹들을 뿌리쳤습니다. 과연 데살로니가 교회 성도들은 어떠한 좋은 것을 취하고 어떠한 악한 것들을 버렸습니까? 한 3가지로 생각해 보았습니다:
(1) 데살로니가 교회 성도들은 믿음을 취하고 불신을 버렸습니다.
데살로니가 교회 성도들은 예수님을 믿기 전에(불신자 때) 우상을 섬기면서 하나님을 모르는 이방인과 같이 색욕을 좇지 않았습니다(4:5). 오히려 그들은 유혹자의 유혹 가운데서도 하나님의 뜻대로 음란을 버리고 거룩한 삶을 살았습니다(3절). 한 마디로, 데살로니가
교회 성도들은 모든 유혹을 버리고 믿음에 견고히 서서(8절) 요동치 않았습니다(3절). 여러분, 사단은 우리를 미혹하여 하나님을 불신하게 만듭니다. 그 목적은 무엇입니까? 그 목적은 우리로 하여금 불만족 속에서 불평하며 원망하여 결국은 하나님께 범죄하게 만드는 것입니다. 왜 우리가 불만족합니까? 그 원인은 욕심입니다. 사단은 우리로 하여금 예수님 한분 만으로 자족하지 못하게 하고자 욕심이란 영적 암세포를 우리 안에 침투시켜 결국 불만족과 불평, 원망 속에서 결국 하나님께 범죄하게 만듭니다. 그 범죄는 바로 하나님을
불신하여 하나님을 배도하는 것입니다. 우리는 이러한 사단의 역사를 경계해야 합니다. 그러기 위해서 우리는 예수 그리스도의 말씀을 부지런히 듣고(롬10:17) 순종하여 살아 있는 믿음이 성장해야 합니다. 다시 말하면, 우리는 믿음을 취하고 불신을 버려야 합니다. 그리고 불신을 버리기 위해선
믿음을 부지런히 취해야 합니다. 믿음으로 불신을 이겨 나아가는 저와 여러분이 되야 합니다.
(2) 데살로니가 교회 성도들은 사랑을 취하고 미움을 버렸습니다.
데살로니가 교회 성도들은 주님 안에서 그들을 다스리며 권하는 자들인
바울과 그의 동역자들을 사랑 안에서 가장 귀히 여겼습니다(5:12-13). 또한 데살로니가 교회 성도들은 하나님의 가르치심을 받아 서로 사랑하였습니다(4:9). 더 나아가서, 그들은 온 마게도냐 모든 형제들도 사랑하였습니다(10절). 그리고 데살로니가 교회 성도들은 결코 분수를 넘어서 형제를 해아지
않았습니다(4:6). 오히려 그들은 형제 사랑에 관하여는 아무 할말 없을 정도로 하나님의
가르치심에 순종하여 서로 사랑하였습니다(9절). 하나님은 사랑이십니다(요일4:8). 그러나 사단은 거짓입니다. 사단은 거짓된 사랑인 미움이라는 영적 암세포를
우리 안에 침투시켜 우리로 하여금 서로 미워하게 만듭니다. 더 나아가서 사단은 우리로
하여금 하나님께서 우리를 미워하신다(신1:27)는 거짓된 생각을 품게
만듭니다. 그러므로 사단은 우리로 하여금 하나님의 사랑을 망각하게 만듭니다. 그 결과 우리는 서로 사랑하지 않을 뿐 아니라 사랑 할 수 없는 무능력하고 차가운 사람들로 만듭니다. 우리는 이러한 사단의 역사를 경계해야 합니다. 오히려 우리는 이러한 사단의
유혹과 싸워 이겨 나아가야 합니다. 그러기 위해선 우리는 하나님의 선택한 사랑(God’s chosen love)을 더욱더 깊이, 넓게, 많이, 높이 깨달아 가야 합니다. 창세 전부터 우리를 사랑하사 많고 많은 죄인들에 우리는 택하시사 보배로운 믿음을 선물로 주시고 예수 그리스도를 우리의 구세주로 영접케
하신 그 구원의 사랑을 우리는 더욱더 깊이 묵상하며 체험하며 누려야 합니다. 그리할 때
우리는 하나님의 신적 사랑으로 사단의 죄악된 미움을 이겨 나아가는 저와 여러분이 되야 합니다.
(3) 셋째로, 데살로니가 교회 성도들은 소망을 취하고 절망을 버렸습니다.
비록 환난 중에서 형제의 죽음을 통하여 소망 없는 다른이와 같이 절망
속에서 슬퍼할 수 있었음에도 불구하고(4:13) 데살로니가 교회 성도들은 오히려 예수님의 죽었다가 다시 사심을 믿는 믿음 안에서(14절) 예수님의 재림 때에(1:10) 예수님 안에서 잠자는 자들도 하나님이 데리고 오심을
참고 기다렸습니다(4:14). 그들은 예수님의 재림 때에 살아 남은 자들도 잠자는 자들과
함께 구름 속으로 끌어 올려 주님을 영접하므로 항상 주님과 함께 있을 것이라는(17절,
5:10) 소망 가운데서 모든 환난을 견뎌냈습니다. 그리고 그들은 하나님께서 자신들을 온전히 거룩하게 하시사 주 예수 그리스도 강림하실 때 흠없게 보전하시기를(5:23) 소망하면서 모든 환난을 견뎌냈습니다. 우리도 이러한 소망을 가지고 모든
환난을 참고 견뎌내야 합니다. 결코 우리는 낙망과 절망 가운데 하나님께 죄를 범해서는
아니됩니다. 사단은 우리로 하여금 환난 가운데서 절망하게 만들지만 우리 하나님은 환난
가운데서 우리로 하여금 더욱더 예수님의 재림의 소망을 품게하십니다. 우리는 잊지 말아야
합니다: “생각건대 현재의 고난은 장차 우리에게 나타날 영광과 족히 비교할 수 없도다”(롬8:18).
주님 안에서 취할 것과 버릴 것을 구분할 수 있는 지혜를 구하는,
제임스 김 목사 나눔
(2018년 10월 31일, 믿음, 사랑, 소망을 취하고 불신, 미음, 절망을
버리는 삶을 살길 기원하면서)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