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원망의 소리는 기회입니다. (1) (행 6:1-4)

저는 불평이 많은 남편입니다.  입술로도 불평을 많이 했지만 어제 경우 마음 속으로 엄청나게 많이 불평의 소리를 내는 죄를 범했습니다.  절제가 안될정도로 원망의 소리를 내는 죄를 범했습니다.  그 와중에서도 하나님께서는 긍휼과 자비를 베풀어주시사 하나님께서 일하고 계시는 것을 믿음의 눈으로 엿보게 하셨습니다.  부부 관계의 위기는 하나님의 놀라운 변화의 역사를 경험하는 좋은 기회입니다! https://youtu.be/Y7eYHZkZ7ts?si=WteWpYLRggq-43VA

"친밀한 관계를 위해… ‘솔직’과 ‘진실’의 다름을 알아야"

"친밀한 관계를 위해… ‘솔직’과 ‘진실’의 다름을 알아야​

[한승민의 인간관계 설명서]​

서양 여성 두명이 어깨동무하고 걸어가는 뒷모습
사진=클립아트코리아
진료실에서 만난 30대 여성 환자는 조심스럽게 털어놓았다. 친구가 많고, 겉보기에는 사람들과 두루 잘 지내는 것처럼 보이지만, 정작 자신은 어느 모임에서도 중심에 있지 못하고 늘 ‘겉도는 사람’으로 느껴진다고 했다. 몇 년째 이어온 단체 모임 메시지방에서도 자신만 소외되는 느낌이 들어 괴롭다고 했다. 심지어는 자신을 제외한 또 다른 대화방이 존재할지도 모른다는 상상에 잠 못 드는 날이 많다고 했다. 겉으로는 평온한 듯 살아가지만, 속으로는 외롭고 지쳐 있었다.

이 여성의 이야기는 사실 많은 사람들의 내면과 닮아 있다. 사람들과 잘 지내는 편이라는 말은 관계의 ‘넓이’를 말할 뿐, 그 안에 ‘깊이’가 존재한다는 의미는 아니다. 알고 지내는 사람이 많고, 연락할 사람이 있고, 일상적인 대화를 주고받는다고 해서 반드시 친밀함이 느껴지는 건 아니다. 오히려 이런 관계 안에서 “나는 왜 이렇게 외롭지?”라는 감정이 더 선명하게 드러나기도 한다.

친밀함은 위험을 감수한 진심의 공유 위에 쌓인다
우리는 종종 깊은 관계를 원하면서도, 그 깊이를 만들어줄 중요한 요소 하나를 회피한다. 바로 ‘내 약점을 드러내는 일’이다. 진짜 친밀감은 내가 두려워하는 것, 창피한 면, 상처받았던 기억들을 조금씩 꺼내놓는 데서 시작된다. 그럼에도 대부분의 사람들은 이를 주저한다. ‘혹시 상대가 나를 판단하지 않을까?’ ‘실망하지 않을까?’ ‘내 이야기를 흘려듣거나, 누군가에게 퍼뜨리면 어떡하지?’ 이런 걱정이 앞서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 불안은 어느 정도 타당하다. 실제로 사람은 예측할 수 없는 존재이고, 때로는 우리의 바람과 다르게 행동하기도 한다. 하지만 이런 불확실성 때문에 계속해서 무난하고 안전한 이야기만 반복한다면, 관계는 얕은 물 위를 맴도는 것처럼 깊어지지 못한 채 맴돌게 된다. 깊은 대화와 친밀한 연결은, 위험을 감수한 진심의 공유 위에 쌓인다.

솔직한 것과 진실한 것은 다르다
이쯤에서 ‘그럼 다 털어놔야 하나?’라는 생각이 들 수도 있다. 하지만 여기서 말하는 진실성이란, 단순히 감정을 무방비하게 흘려보이는 솔직함과는 다르다. 진실성은 내면의 가치관과 내가 하는 말과 행동이 일치할 때 자연스럽게 드러나는 태도다. 무언가를 굳이 증명하거나 꾸미려 하지 않아도, 사람은 본능적으로 ‘이 사람이 진짜인지 아닌지’를 감지할 수 있다. 진실한 사람은 내면에 대한 확신이 있다. 그래서 더 꾸미지 않아도 된다. 자신의 감정을 숨기거나 과장하지 않아도 되고, 관계 안에서 ‘이 정도면 됐겠지’ 하는 억측으로 자신을 꾸며낼 필요도 없다. 그런 사람 곁에 있으면 우리도 편안해진다. 판단보다는 공감이 먼저 오고, 경쟁보다는 지지가 먼저 떠오른다. 결국 그런 사람이 되어갈수록, 그런 사람들과의 연결이 자연스럽게 만들어진다.

‘괜찮은 사람’이 아니라, ‘부족한게 많은 사람’ 되기
우리는 종종 관계 안에서 좋은 사람이 되려 노력한다. 예의 바르고, 잘 들어주고, 불편한 말은 삼키며, 가능한 문제를 만들지 않는 사람. 그런데 그런 ‘좋은 사람’이 되려는 노력이 오히려 나를 점점 더 외롭게 만들기도 한다. 관계는 ‘적당히 잘 지내는 사람’이 되려 하기보다, ‘편안하게 진심을 꺼낼 수 있는 사람’이 되는 데서 깊어진다. 누군가에게 불편한 이야기를 했을 때에도 그 사람이 내 곁에 남아 있을 때, 관계는 한 걸음 더 깊어진다. 내 약점과 부족한 점들을 보여주었는 데도 그 사람이 등을 돌리지 않았을 때, 우리는 마음의 문을 조금 더 열 수 있게 된다. 그런 작은 순간들이 쌓일 때, 비로소 진짜 친밀감이 생긴다. 우리가 바라는 건 완벽한 사람이 아니라, ‘진짜 사람’이기 때문이다. 마음의 여백을 나눌 수 있는 사람, 서툰 모습을 보여도 괜찮다고 느껴지는 관계, 그 안에서 비로소 우리는 긴장을 풀고 나 자신으로 살아갈 수 있다. 진짜 관계는 잘 보이려는 애씀보다는, ‘이 사람이라면 내 마음을 알아줄 거야’라는 신뢰 위에서 피어난다.

좋은 사람 곁에 머무는 용기
그렇다고 모든 사람에게 진심을 꺼낼 필요는 없다. 오히려, 누구와 그 관계를 지속할지 선택하는 것이 더 중요할 수 있다. 나를 반복해서 불편하게 만들고, 내 감정을 무시하거나 이용하는 사람과의 관계는 애써 이어갈 이유가 없다. 좋은 관계를 위해서는, 좋지 않은 관계를 과감히 정리하는 용기도 필요하다. 이것 또한 자기 자신에 대한 진실성이다. 사람은 시간이 지날수록 점점 더 명확해진다. 어떤 말투로 말하는지, 갈등 상황에서 어떻게 반응하는지, 어려울 때 기꺼이 함께 있어주는지. 관계의 진실성은 말이 아니라 시간 위에 서서히 드러난다. 그렇기에 우리는 누군가의 언행을 통해, 나를 대하는 태도를 통해, 그 사람이 곁에 둘 사람인지 아닌지를 알아차릴 수 있다. 그 판단 앞에서 내가 나를 보호하고, 중심을 지키는 것은 망설일 필요가 없다. 오히려 더 진심으로 연결되기 위한 시작이다.

보여지는 관계에 너무 지쳤기에
진짜 관계는 수많은 사람 사이에 있는 것이 아니라, 마음을 놓을 수 있는 단 한 사람에게서 시작된다. 그래서 결국, 외로움에서 벗어나는 길은 더 많은 사람에게 다가가는 것이 아니라, 더 솔직한 나로 존재할 수 있는 사람을 곁에 두는 일이다. 누군가에게 보여지는 ‘괜찮은 나’가 아니라, 있는 그대로의 ‘진짜 나’를 내어놓을 때, 관계는 비로소 숨을 쉬기 시작한다. 그 연결 속에서 우리는 조금 덜 외롭고, 조금 더 단단해질 수 있다.

출처 :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5/07/10/2025071002037.html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