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불가능함은 기회입니다. (6)

불가능해 보이는 인간(부부) 관계, 어떻게 해야 하는 것일까요? 믿음이란 ... (1) 바랄 수 없는 것을 바라게 합니다. (2) 볼 수 없는 것을 보게 합니다. (3) 할 수 없는 것을 하게 합니다. https://youtu.be/LwfJR3i5w48?si=DeFjUqZG3WtAIYGA

왜 번제물의 가죽을 벗겨 태우지 않고 제사장에게 주었을까?

 번제물의 가죽을 벗겨 태우지 않고 제사장에게 주었을까



번제물의 가죽을 벗겨 태우지 않고 제사장에게 주었을까(레위기 1:6, 7:8)  

어쩌면 이유는

 

1. 죄인을 심판했다는 상징적인 의미가 있기에

     a.  이스라엘/유다가 이방인 적군들에게 침략을 당하였을 (‘벗기다’라는 단어의

           한가지 의미임) 이스라엘 백성들의 의복을 벗겼음(16:39, 23:26; 2:8)

     b.  요셉의 형들이 요셉의 채색옷을 벗김(37:23);

     c.  아론이 죽기 전에 그의 옷을 벗김(이스라엘의 과거의 죄로 인하여)(20:26, 28).

          (i)  진정한 아론이 되시는 의로우신 대제사장이신 예수님께서 우리의 모든 죄로

                인하여 하나님의 심판을 받으심?

 

2. 죄와의 싸움에 승리했다는 상징적인 의미가  있기에

         a.  전쟁에서 승리했을 죽은 또는 죽임을 당한 자를 벗겼음

              (삼상 31:8; 대상10:8)

              (i)  대제사장이신 예수님이 십자가에 속죄제물로 드려진바 되므로 죄와의

                    싸움에서 승리?

 

3. 죄인을 사랑했다는 상징적인 의미가 있기에

      a.  요나단이 자기 생명보다 사랑했던 다윗에게 자기가 입고 있었던 겉옷을 벗어

            주었음(삼상18:4)

            (i)  의로우신 대제사장이신 예수님께서 죄인인 우리를 자신의 생명보다

                 사랑하셨음.

 

4. 흥미로운 관찰:

        a.  예수님께서 십자가에 못박히시기 전에 옷을 벗기고 홍포를 입혔다가(27:28)

             회롱을 홍포를 벗기고 도로 예수님의 옷을 입혔음(31).

             (i) 예수님을 십자가에 박은 후에 그의 옷을 제비 뽑아 나눴음(35).


댓글